[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 다양한 양자 기술과 이를 활용한 제품을 선보인다. SKT는 25일부터 사흘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양자로 이어지다’는 주제로 열리는 퀀텀코리아 2024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SKT는 참가 기업 중 가장 큰 규모의 부스를 운영하고 엑스퀀텀 멤버사들과 함께 ‘AI&퀀텀’. ‘일상 속의 퀀텀’ 등을 테마로 대한민국의 양자 산업을 대표하는 기술과 제품들을 소개한다. 엑스퀀텀은 지난 3월 SKT가 양자 분야 핵심 기술과 부품을 보유한 기업들과 함께 설립한 연합체다. SKT를 비롯해 양자 산업을 주도하는 에스오에스랩, 엑스게이트, 우리로, 케이씨에스, 노키아, IDQ코리아 등이 멤버사로 참여 중이다. SKT는 비전AI의 알고리즘과 양자암호칩이 탑재된 카메라인 ‘퀀텀 AI 카메라’를 전시한다. 이 제품은 객체 인식과 행동 분석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정확한 분석과 예측을 제공하고 강력한 암호화 및 보안성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하는 제품이다. 엑스퀀텀 소속사인 케이씨에스와 협력한 차세대 양자암호칩 Q-HSM과 함께 별도의 개발 없이 네트워크에 장치를 설치하는 보안 솔루션 ‘구간 암호화 솔루션’도 선보인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SDT가 양자 가상화 실험실을 비롯한 양자 기술 기반 제품의 상용화 성과들을 소개한다. SDT는 오는 25일부터 사흘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퀀텀코리아 2024’에 참가해 양자 컴퓨팅, 양자센싱, 양자보안 등 핵심 양자기술을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올해로 2회차를 맞이한 퀀텀코리아는 국내외 양자과학기술 연구자와 관련 기업, 기관이 참여해 양자과학기술 트랜드를 조명하고 다가올 혁신을 조망하는 전시회다. 양자기술 전문성을 바탕으로 국내외 연구기관들과 협력을 진행해온 SDT는 이번 전시회에서 다수의 양자 QPU 플랫폼과 양자 계측·제어장비, 클라우드 서비스 등 양자기술 상용화 성과들을 소개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SKT 양자 가상화 실험실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등 가상실험실 구동에 필요한 모든 기술 요소를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제공해 연구자들이 효율적으로 양자 실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국산화에 성공한 CCU(Coincidence Counting Unit)와 TTMU(Time Tagging Measurement Unit)을 비롯해 QC(Qubit Controller), PG(Pulse Ge
[더테크=조재호 기자] 국내 최대 규모의 양자팹이 카이스트 대전 본원에 건립된다. 카이스트는 27일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 구축 사업’ 공모의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양자 과학기술의 경쟁력 강화와 신산업 육성에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과학정보기술통신부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부터 2031년까지 8년간 양자 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구비한 양자팹을 구축한다. 이를 바탕으로 높은 수준의 공정환경을 보장하는 동시에 사용자 중심의 개방형 운영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사업은 카이스트가 주관기관을 맡고 나노종합기술원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공동기관으로 참여하며 SK텔레콤, 대전테크노파크가 위탁 기관으로 컨소시엄을 이뤘다. 이와 함께 대전시의 지방비 투입과 더불어 카이스트는 건립부지와 운영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카이스트는 △양자 과학기술 분야의 핵심 교수진들의 연구 역량 △미래융합소자동의 클린룸 운영 경험 △중앙분석센터의 장비 예약 및 사용자 지원 경험 △양자대학원의 교육 역량 및 국내외 네트워크 등을 발판 삼아 전문성·안전성·공공성을 갖춘 개방형 양자팹을 구축할 방침이다. 구축 사업 책임을 맡은 조용훈 카이스트 물리
[더테크=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서울대학교와 양자암호통신, 양자센싱, 양자컴퓨터 등 다양한 양자 분야 핵심 요소기술에 대한 공동연구개발을 진행하고 개발된 기술의 상용화 방안도 논의한다. SKT는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서울대학교 연구부총장 겸 산학협력단장 김재영)과 SKT-서울대 양자기술 분야 공동 연구개발 및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SKT는 서울대와의 협력을 통해 확보한 양자기술, AI 기술을 결합해 ‘보다 안전한 통신’, ‘더 멀리 볼 수 있는 센싱’, ‘더 빠른 컴퓨팅’ 기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SKT는 국내 양자 대표기업들과 함께 지난 3월 결성한 ‘퀸텀 얼라이언스(Quantum Alliance, 가칭)’와 서울대 간 기술 교류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SKT는 대한민국 양자 분야를 이끌 인재 발굴·육성을 통해 우리나라 양자 분야 생태계 선순환도 이끌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KT는 최근 정부가 발표한 2023 양자정보기술백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양자 관련 핵심 인력의 규모가 대략 400명 수준으로 양자 분야를 선도할 관련 인재들의 육성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가 8일부터 양자 인재 육성을 위한 ‘KAIST-MIT 양자 정보 겨울학교’를 대전 본원에서 개최한다. 이번 겨울학교는 카이스트와 MIT 교수진 6명이 참여해 강의를 진행한다. 양자 정보 과학 분야의 흥미를 유발하고 국내 우수 이공계 학생들에게 깊이 있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8일 열린 개교식에서는 2001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볼프강 볼프강 케털리(Wolfgang Ketterle) 교수가 기조 강연을 진행한다. 개교식 후에는 볼프강 케털리, 세스 로이드(Seth Lloyd), 윌리엄 올리버(William Oliver) 등 MIT 교수진의 1주 차 강연이 이어진다. 15일부터 시작되는 2주차에는 문은국·최재윤 물리학과 교수와 배준우 전기및전자공학부 등 카이스트 교수진이 강연을 진행한다. 카이스트 양자대학원은 이번 겨울학교를 위해 양자 정보 과학에 관심이 있는 전국 대학의 3~4학년 학부생을 선발했다. 그 결과 카이스트 재학생을 포함해 서울대·포스텍·고려대 등 전국 13개 대학 소속 38명의 학생이 참여한다. 참여 학생들은 양자 통신, 양자 센싱, 양자 컴퓨팅, 양자 시뮬레이터 등 양자 정보 과학 전반에 걸쳐 기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 양자 인재 양성과 생태계 확산을 위해 산학연 컨소시엄과 손을 잡았다. 양자기술은 국가 미래 전략기술 중 하나로 꼽히며, SKT가 오랜 기간 공을 들여온 분야다. (관련기사: SKT, 양자컴퓨터 공격 막는 암호기술 개발) (관련기사: SKT, 보안성 대폭 강화한 양자암호통신 기반 VPN 선보여) SKT는 양자 사피엔스 인재 양성센터와 양자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및 교류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SKT와 양자 사피엔스 인재 양성센터는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양자통신과 양자암호, 양자컴퓨팅, 양자센싱, 양자 기반의 AI 등 양자기술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공동 연구 등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SKT 관계자는 더테크에 “양자과학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공동 연구 등에 협력해 양자 생태계를 넓혀갈 것”이라며 “AI와 6G 등의 발달로 양자암호통신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진 만큼 해당 분야에서도 협력을 강화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양자 사피엔스 인재 양성센터는 2022년 설립된 국내 유일의 산학연 컨소시엄이다. 양자기술 시대를 선도할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현대자동차와 삼성SDS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