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다소 아쉬운 실적 전망을 발표했다. 올해 한층 더 심각해진 전기차 시장의 분위기를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는데, 미국 IRA 세액공제를 제외하면 사실상 마이너스 성장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8일 2024년 2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액은 6조1619억원, 영업이익은 1953억원을 기록했다. 직전 분기보다 매출은 0.5%, 영업이익은 24.2% 증가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29.8%, 영업이익은 57.6% 크게 줄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첨단제조 생산세액공제(AMPC) 제도에 따른 세제 혜택은 4478억원으로 해당 금액을 제외하면 영업손실 2525억원을 기록했다. 올 연말 미국 대선과 함께 다소 불안한 IRA 환경을 고려하면 마이너스 성장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 유럽의 전기차 수요 회복도 지연되면서 폴란드 공장의 가동률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가동 공백에 따른 비용 부담도 누적되고 있다. 회사 측에서는 이 같은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투자 및 비용 효율성을 높이는데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일부 전기차 라인을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전환하는 방향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
[더테크 뉴스] LG전자가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 LG전자는 4일 2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매출 21.7조원, 영업이익 1.1조원으로 역대 2분기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5%, 영업이익은 61.2% 올랐다. 이번 실적은 상반기 기준으로도 지난해보다 매출이 5.9%, 영업이익은 13% 상승한 수치다. LG전자의 상반기 매출액은 3년 연속 40조원을, 영업이익의 경우 4년 연속 2조원을 상회했다. 이번 실적은 LG전자가 주력 사업과 미래 성장사업이 균형 잡힌 질적 성장을 지속한 결과로 해석된다. 강세를 보인 생활가전과 함께 전장 사업의 프리미엄 제품 판매 비중 증가, 홈 엔터테인먼트사업과 비즈니스솔루션 부문까지 고른 성장이 이뤄졌다. LG전자는 이러한 호실적에 대해 미래 지향적 사업 체질개선과 사업방식의 변화 노력이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지속적인 미래 성장동력 발굴과 함께 재투자도 꾸준히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B2B 분야에서는 냉난방공조가 AI 인프라 후방산업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전장 사업도 전기차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B2C는 초기 구매 부담을 낮추고 서비스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이 2024년 1분기 잠정 실적을 5일 발표했다. LG엔솔은 매출 6조1287억원, 영업이익 1573억원을 기록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9.9% 감소, 영업이익은 75.2% 감소했다. 전기 대비 매출은 23.4%, 영업이익은 53.5% 감소했다. 미국 IRA(Inflation Reduction Act)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ion Credit) 제도(45X)에 따른 Tax Credit은 1889억원으로 동 금액을 제외한 영업이익은 –316억원이다. 이번 잠정 실적은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된 결과이며 투자자들의 편의를 위해 제공됐다.
[더테크=문용필 기자] 이른바 ‘K-배터리’의 선두주자로 꼽히는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나가는 분위기다. 영업이익이 전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성장세’ LG엔솔, 전분기比 영업익 줄어든 이유는?) LG엔솔이 11일 발표한 잠정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8조 2235억원, 영업이익은 7312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0.1%, 전분기 대비 58.7% 늘어났다. 매출의 경우에는 젼년 동기보다 7.5% 증가했지만 전분기보다는 6.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LG엔솔은 지난 2분기 매출액 8조7735억원, 영업이익 4606억원의 성적표를 받아든 바 있는데 매출은 분기 기준 최대치였다. 영업이익의 경우 미국 IRA 세액공제 금액이 반영돼 1분기에 비해 27.3% 줄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LG엔솔의 승승장구는 계속되는 모양새다. SNE리서치가 11일 발표한 올 1~8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누적 사용량을 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58.5%의 성장률로 14.2%의 점유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1위인 중국의 닝더스다이(CATL)의 점유율 36.9
[더테크=문용필 기자] 이른바 ‘반도체 겨울’이 계속되면서 하강곡선을 그리던 삼성전자의 실적이 반등의 모멘텀을 맞이한 것으로 보인다. 전분기 대비 200% 이상의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집계된 올 3분기 잠정실적이 나온 것. 삼성전자는 11일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매출액은 67조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2조 400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액은 11.65%, 영업이익은 258.21% 증가한 수치다. (관련기사: 삼성전자 올 2분기 실적은? 매출 60조·영업익 0.67조) 2분기 실적발표에서는 매출액 60조100억원, 영업이익 6700억원이라는 결과가 나온 바 있다. 보다 정확한 수치는 확정된 실적발표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영업이익이 올해 처음 조 단위로 복귀했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작지않아 보인다. 이에 앞서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을 2조 2085억원으로 전망한 바 있다. 로이터통신은 10일(현지시간) LSEG 스마트에스티메이트를 인용해 2조1000억원대의 영업이익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다만 실적이 완전한 상승곡선을 그리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영업이익이 2조
[더테크=문용필 기자] 이만하면 ‘역대급’이라는 수식어가 결코 과하지 않아 보인다. 올 2분기 LG전자의 잠정실적(연결기준) 이야기다. 20조원에 육박하는 매출액을 기록해 역대 2분기 매출 최대 기록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 LG전자가 7일 발표한 2분기 잠정실적에 따르면 매출액은 19조 9988억원, 영업이익은 8927억원을 기록했다. 역대 2분기 기준으로 매출액은 최대이며 영업이익은 2번째라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자타가 공인할만한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1분기(매출 20조 4159억원, 영업이익 1조4974억원)에 비해 다소 줄어들었지만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2.7%나 증가했다. (관련기사: 매출액 20조…LG전자, ‘역대급’ 분기 실적 달성) 회사 측은 “매출액의 경우, 사업 구조적 측면에서 전장 사업 등 B2B 비중을 확대했다”며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회복 지연 및 시장 내 경쟁 심화에도 불구하고 달성한 성과라 의미가 크다”고 자평했다. 영업이익에 대해선 “전사 워룸 태스크 등 사업의 근본적 체질 개서늘 위해 기울인 노력이 가시화된 결과”라며 “잠정실적에 인적 구조 선순환과 관련한 비경상 비용이 포함돼 있는 점을 감안하면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