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엔비디아가 시총 1위에 올랐다. 이전까지 게이밍 하드웨어로 제조사로 그래픽처리장치(GPU) 제조사였던 엔비디아는 암호화폐와 메타버스 열풍을 지나 AI 시대의 중심으로 우뚝 섰다. 엔비디아는 18일(현지시간) 장 마감 기준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등극했다. 이날 엔비디아의 주식은 3.51% 오른 135.58달러로 마감해 시가총액이 약 3조3350억달러를 기록한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3조3170억달러와 애플의 3조2850억달러가 그 뒤를 이었다. 지난 6일 애플을 제치고 2위를 기록한 엔비디아가 마이크로소프트까지 넘어서면서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으로 자리했다. 이는 1993년 회사 설립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로이터를 비롯한 주요 외신은 엔비디아의 놀라운 시장 가치 급등은 AI에 대한 월스트리트 열광을 상징한다고 평했다. 아울러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최근 세계 부자 11위를 기록 중이다. 차세대 그래픽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포부로 설립된 엔비디아는 회사 이름처럼 모두의 부러움을 사는 기업이 됐다. Nvidia에서 NV는 다음 버전(Next Version)을 뜻하고 부러움이라는 영단어 envy의 라틴어 표현인 invidia(
[더테크=조재호 기자] 반도체 설계기업 Arm의 주가 거칠게 상승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시대의 최대 수혜주로 꼽히는 엔비디아에 이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기업이 됐다. Arm의 주가가 12일(현지시간) 기준 148.97달러를 기록했다. 전 거래일보다 29.30% 상승한 가격이다. 지난주 수요일 실적발표 이후 100% 급등했다. 이는 지난해 9월 기업공개(IPO) 이후 약 3배 상승한 가격이다. Arm은 지난 7일 실적발표에서 매출 8억2400만달러(1조941억원), 주당 순이익 0.29달러를 기록했다. 시장의 전망치였던 7억6100만 달러를 상회하고 전년 대비 매출도 14% 증가했다. 주주서한을 통해 Arm은 “스마트폰 시장 회복과 함께 자동차 및 클라우드 업체에 대한 매출 증가로 인해 실적이 늘었다”며 “반도체 시장 회복 조짐과 함께 스마트폰의 성장세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Arm의 높은 수익에는 반도체 산업 전반의 업황 반등이 있었다.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인 만큼 주 수입원인 로얄티 매출이 4억7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4억2500만달러와 전 분기 4억1800만달러 보다 큰 폭으로 올랐다. 이후 시장에서 Arm의 주가는 급등했다.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