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LG유플러스가 회사 차원에서 사이버 금융 범죄 관련 피해 보상을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객들에게 차별적인 가치를 제공하면서 장기 고객의 로열티를 제고할 계기가 될 전망이다. LG유플러스는 국내 이동통신사 중 처음으로 고객의 사이버 금융 범죄에 대한 피해 보상을 제공하는 ‘피싱·해킹 안심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 서비스는 KB손해보험과 함께 ‘피싱·해킹 안심서비스’는 피싱(Phishing), 해킹(Hacking), 스미싱(Smishing), 파밍(Pharming) 등 금융 범죄에 따른 고객 피해 발생 시 1인당 최대 300만원을 보상해주는 서비스다. 1회 신청 시 4개월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고객의 피해 구제에 앞장서며 금융 범죄에 대한 불안 해소 및 민생 안전에 기여하기 위해 이동통신사를 대표해 피싱·해킹 안심서비스를 기획하게 됐다고 LG유플러스는 설명했다. 아울러 보험 판매나 중개하는 방식이 아닌 장기고객 혜택 차원으로 무상 제공한다. 이번 서비스 대상은 2023년 11월 30일 기준 통신사 이용 기간이 2년 이상인 개인 고객이다.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고객은 LG유플러스 공식 고객센터 앱 ‘당신의U+’ 또는 공식 홈페이
[더테크=전수연 기자] 포티넷 코리아(이하 포티넷)가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이 사이버 보안 업계 전반에서 새롭게 확인된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을 활용하는 속도, 산업·OT 분야를 타깃으로 하는 랜섬웨어·와이퍼의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티넷은 자사 보안연구소인 포티가드랩의 ‘2023년 하반기 글로벌 위협 동향 보고서(FortiGuard Labs 2H 2023 Global Threat Landscape Report)'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 포티가드랩은 취약점의 초기 배포 이후 익스플로잇으로 전환되는 데 걸리는 시간, 높은 익스플로잇 예측 점수 시스템(Exploit Prediction Scoring System, 이하 EPSS)을 가진 취약점이 더 빠르게 악용되는지 여부, EPSS 데이터를 사용해 평균 악용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지의 여부 등을 파악하려고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하반기 공격자들의 새로 공개된 취약점을 악용하는 속도는 2023년 상반기보다 43% 빨라졌다. 이는 공급업체들이 익스플로잇의 발생 전 내부적으로 취약점을 발견하고 패치를 개발하는 데 전념해야 한다는 점을 나타낸다. 포티가드랩은 사용자 스스로
[더테크=전수연 기자] 포티넷 코리아(이하 포티넷)가 ‘새로운 가능성이 펼쳐지는 플랫폼 시대의 시작’을 주제로 컨퍼런스를 진행했다. 포티넷은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포티넷 액셀러레이트(Accelerate) 2024’를 28일 개최했다. 사진은 기조연설이 진행된 무대 모습.
[더테크=전수연 기자] 포티넷 코리아(이하 포티넷)가 ‘새로운 가능성이 펼쳐지는 플랫폼 시대의 시작’을 주제로 컨퍼런스를 진행했다. 기술 환경의 변화로 보안 취약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AI 기반 ‘통합 보안 솔루션’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포티넷은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포티넷 액셀러레이트(Accelerate) 2024’를 28일 개최했다. 포티넷의 AI 기술 혁신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참관객이 모인 가운데, 조원균 포티넷 지사장은 환영사로 행사의 시작을 알렸다. 조 지사장은 “2024년 사이버 보안이 당면하고 있는 과제에는 새로운 형태의 위협, 새로운 복잡성, 새로운 요구사항 등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보안 위협 형태 역시 △47억 건에 달하는 위협 존재 △56%의 조직에서 2023년 대비 랜섬웨어 위협 증가 △대응 복잡성 △다양한 기술 환경 변화 △많은 벤더의 솔루션, 툴 △사업의 연결성으로 인한 취약성 증가 △보안 운용관리의 복잡성 △인력과 전문성의 부족 △증가되는 규제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조 지사장은 “디지털 혁명에 의해 모든 산업이 모바일로 연결되고 취약성이 노출되고 있다”며 “보안관리의 복잡성도 함께 증가할 수밖에
[더테크=전수연 기자]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이하 DDI)이 오는 28일 서울 중구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에서 ‘AI를 위한 보안, 보안을 위한 AI(AI for Security, Security for AI)’를 주제로 사이버보안 포럼을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DDI는 AI 기술을 활용해 점차 고도화되고 있는 사이버 공격 관련 기업 차원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인사이트를 공유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특히 이달 초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RSA Conference 2024에 참가해 얻은 글로벌 사이버보안 트렌드와 지난주 미국 보스턴에서 진행된 IBM Think 2024 행사에서 로버트 오 DDI 부사장과 모하마드 알리 IBM 컨설팅 수석 부회장의 패널 토의 내용도 포함된다. DDI는 최근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이버 공격도 지능·정교화돼 사전 탐지조차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특히 제조, 금융, 유통 등 다수의 기업이 AI를 활용한 딥페이크, 피싱, 랜섬웨어, 공급망 위협 등의 표적이 되고 있으며 공격 방식 또한 다양화되면서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 이번 포럼에서는 사이버보안·컨설팅 전문가가 연사로 나서 AI 기반의 사이버보안
[더테크=전수연 기자] 국내 이동통신3사(이하 이통3사)가 추석을 맞아 고객들을 위한 다양한 '준비'에 나섰다. 특히 명절에 증가하는 스미싱 보안 문제와 이동통신 품질 관리 등을 지원해 명절기간 원활한 소통을 도울 예정이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KT는 추석 명절부터 연말까지 증가하는 스팸, 피싱, 스미싱 메시지로 인한 사용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업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브랜드 등록 지원센터’를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브랜드 등록 지원센터는 기업이 발송하는 메시지에 전화번호 대신 각 기업이 브랜드 프로필로 등록한 로고나 브랜드 이미지 등을 삽입하는 방법과 절차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곳이다. 이통3사는 지난해 말부터 기업이 로고나 브랜드 대표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는 브랜드 프로필 기능을 RCS비즈센터에서 제공 중이다. 기업은 해당 기능을 활용해 특정 기업에서 보낸 메시지임을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특히 한 번의 등록으로 일반메시지(SMS·LMS·MMS)와 RCS(채팅플러스)에 모두 적용된다. 기업은 등록한 이미지의 도용을 막을 수 있어 스팸, 피싱, 스미싱 메시지로 오인 받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이
[더테크=문용필 기자] ‘팬데믹’ 이후 약 4년만에 열리는 오프라인 개최다. 삼성전자가 보안기술 포럼을 통해 보안 기술 분야의 최신 기술과 동향을 공유했다. 삼성전자는 22일 서울R&D 캠퍼스에서 ‘제 7회 삼성 보안 기술 포럼’(이하 SSTF)을 개최했다. 주제는 ‘보안을 위한 해킹: 해킹이 어떻게 보안혁신을 이끄는가’이다.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CTO 겸 삼성리서치 연구소장(사장)은 환영사에서 “해킹 수법이 진화할수록 보안기술도 같이 성장해 왔다”며 “삼성전자는 고객에게 더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해커의 시선으로 보안 취약점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서 기조강연에 나선 황용호 삼성리서치 시큐리티 & 프라이버시 팀장(상무)는 “해킹은 지금까지 간과하거나 혹은 대비하지 못한 부분까지 살피며 보안의 혁신을 이끌어가는 핵심 요소”라며 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안했다. 이어 보안기술 분야 석학들의 초청강연이 진행됐다. 신강근 미국 미시간대 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는 해킹으로 발생하는 반자율 시스템으로 인한 잘못된 의사결정 위험성과 해결방안을 소개했으며 윤인수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