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LG유플러스가 에릭슨엘지와 함께 5G 서비스 생태계 확장을 위한 플랫폼을 마련했다. LG유플러스는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에릭슨엘지와 손잡고 차세대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 검증을 완료하고 이를 활용해 5G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검증을 통해 LG유플러스는 5G 서비스에 필요한 네트워크·인증정보·위치정보 등 데이터를 국제 표준 API 형태로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API는 통신사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제휴 기업에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주는 함수를 말한다. 이번 플랫폼 검증에서 LG유플러스는API 형태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공공재난관제 △원격주행자동차 △VR·AR서비스 등에 활용하는 시연을 완료했다. 향후 LG유플러스는 연말까지 다양한 시연을 통해 5G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해 6월 3GPP(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 표준 기반의 원격자율주차 서비스 시연에 성공했다. 이번 API 기반 5G 네트워크 플랫폼 솔루션을 계기로 다양한 기업이 5G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5G 핵심 기능을 소프
[더테크=전수연 기자] 클라우드 기업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에 따르면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 되는 기술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많은 기업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온라인 위협 노출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클라우드플레어는 첫 번째 API 보안 및 관리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오늘날 API는 휴대폰, 스마트워치, 뱅킹 시스템, 쇼핑 사이트 등 모든 디지털 기기 간 통신을 지원하고 있다. 또 이커머스 사이트에서 결제를 수락하고 의료 시스템에서 환자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대중교통에서 실시간 교통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클라우드플레어는 현재 거의 모든 기업이 API를 사용해 더 나은 서비스를 구축, 제공하고 있지만 관리되지 않거나 안전하지 않은 API가 잠재적으로 민감한 정보를 유출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매튜 프린스(Matthew Prince) 클라우드플레어 CEO는 “API는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가 작동하는 방식에 핵심 역할을 하는 만큼 해커들의 새로운 표적이 되고 있다”며 “기업이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고 비즈니스를 보호하려면 모
[더테크=전수연 기자] 인공지능 전문 기업 스켈터랩스가 KB국민카드의 이벤트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LLM(초거대언어모델)을 통한 AI 서비스를 선보였다. 스켈터랩스는 KB국민카드와 LLM 기반 ‘이벤트 Q&AI’ 베타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 (관련기사: ‘고객 대응 전 사전 테스트’…스켈터랩스, 챗봇 솔루션 업데이트) (관련기사: 보안 지키고 데이터 불러오는 LLM 서비스 출시) 이벤트 Q&AI는 KB페이에서 운영하는 이벤트를 자연스러운 대화로 찾아주고 질의응답하는 LLM 기반 서비스다. KB국민카드는 이벤트 Q&AI 서비스를 통해 매일 업데이트되는 수많은 이벤트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한다. KB국민카드는 사용자가 이벤트에 참여하려면 직접 검색을 통해 정보를 탐색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해 LLM 도입을 계획했다. 이벤트 Q&AI 서비스는 사용자의 불편사항을 즉각 해소하고 사용자는 상담원과 대화하듯 다이얼로그를 통해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벤트 Q&AI는 스켈터랩스의 LLM 기반 질의응답 챗봇 솔루션 벨라 큐나(BELLA QNA)와 KB국민카드의 기업 이벤트 정보를 API로 연동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