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헥사곤이 자사 플랫폼을 활용해 미래 모빌리티 주행 성능 개선한 개발 사례를 공유했다. 헥사곤은 지난 20일 소노캄 거제에서 열린 2024 한국자동차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 참가해 현대자동차와 함께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을 활용한 미래 모빌리티 주행 성능 버추얼 개발’을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다고 21일 밝혔다. 현대자동차가 주관하고 헥사곤이 후원한 이번 발표는 100여명의 모빌리티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자동차 산업 분야의 엔지니어링 프로세스에 AI와 ML 기반의 예측 모델 도입과 미래 모빌리티 주행 성능 향상에 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세션의 세부 프로그램은 △AI/ML을 활용한 미래 모빌리티 주행성능 버추얼 개발 △AI 툴을 활용한 엔지니어링 고도화 △소음 예측을 위한 차량과 e-파워트레인의 모델링 통합과 활용 △AI/ML을 활용한 EV 구동모터의 방사 소음 예측 △AI/ML을 활용한 PBV의 실시간 버추얼 개발 △헥사곤의 자동차 산업 AI/ML 연구동향 및 사례로 구성됐다. 발표된 연구에서 다양한 주행 상황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아담스(Adams)’, 다분야 구조해석 솔루션 ‘나스트란(Nastran)’, 음향
[더테크=전수연 기자]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가 초기 단계 스타트업이 AI,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AWS 크레딧, 멘토링 등을 진행한다. AWS는 글로벌 스타트업의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개발 가속화를 위해 2억3천만 달러를 지원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AWS 생성형 AI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의 두 번째 그룹에 대한 자금을 지원한다. AWS 생성형 AI 엑셀러레이터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상위 80개 초기 단계 스타트업에 업계 전문 지식, 최대 100만 달러의 AWS 크레딧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스타트업은 AWS 크레딧을 사용해 AWS 컴퓨팅, 스토리지와 데이터베이스 기술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적인 AI칩 AWS 트레이니움, AWS 인퍼런시아2를 이용할 수 있다. 이 크레딧은 기업이 자체 FM을 구축, 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 ‘아마존 세이지메이커’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아마존 베드록을 통해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모델, 툴에 접근할 수 있다. AWS 엑셀러레이터는 금융, 의료, 미디어, 비즈니스, 기후 변화 등의
[더테크=전수연 기자] 글로벌 기술 기업 지멘스(siemens)가 신규 반도체 설계·소프트웨어 검증 솔루션을 공개했다. 지멘스는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호텔에서 지멘스 EDA의 하드웨어 지원 인증 및 검증 시스템(hardware-assisted verification and validation system)인 ‘벨로체 CS(Veloce CS)’ 3종을 25일 발표했다. 사진은 간담회가 진행된 현장 모습.
[더테크=전수연 기자] 글로벌 기술 기업 지멘스(siemens)가 신규 반도체 설계·소프트웨어 검증 솔루션을 공개했다. 지멘스 EDA(전자 설계 자동화)에서 개발된 하드웨어 에뮬레이션 엔터프라이즈 프로토타이핑과 소프트웨어 프로토타이핑을 통합해 디버그 시간 가속화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멘스는 서울 강남구 조선팰리스 호텔에서 지멘스 EDA의 하드웨어 지원 인증 및 검증 시스템(hardware-assisted verification and validation system)인 ‘벨로체 CS(Veloce CS)’ 3종을 25일 발표했다. 이날 행사는 지멘스 EDA의 비제이 초비사(Vijay Chobisa) 제품 관리 수석 이사제품 관리 총괄 디렉터(Senior Director of Product Management)이 업계 동향 및 신제품을 소개하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우선 지멘스는 벨로체 CS 시스템을 개발하며 중요한 점으로 속도와 트랜스포메이션을 꼽았다. 이는 요구사항과 시장이 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더 짧은 시간 안에 방대한 검증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초비사 총괄은 최근 업계 트렌드에 대해 “기술 트렌드에서는 다양한 설계가 점점 더 크고 복잡
[더테크=전수연 기자] 오라클(Oracle)이 자사 기술을 바탕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데이터 배포, 배치 정책을 관리할 수 있는 제어 권한을 제공한다. 오라클은 오라클 글로벌 분산형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Oracle Globally Distributed Autonomous Database)를 정식 출시한다고 5일 밝혔다. 기업은 이를 통해 어디에서나 자동으로 데이터를 배포, 저장, 공유할 수 있다. 또 확장성, 가용성 확보와 함께 데이터 주권 요구사항을 지원하는 등 자율운영 기능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다. 오라클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는 대부분의 데이터 유형, 워크로드, 프로그래밍 방식을 대규모로 지원해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분산형 데이터베이스의 개발, 사용 절차를 간소화한다. 기존 SQL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다면 재작성 없이 분산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 충족을 위해 오라클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는 더 많은 데이터 배포, 복제 방식도 지원한다. 오라클은 일반 분산형 데이터베이스가 많은 수의 서버 때문에 관리, 배포가 어려울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는 AI, 머신러
[더테크=전수연 기자]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가 중소기업의 다양하고 진화된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지원하는 새로운 제품을 선보였다. AWS는 중소기업이 요구하는 조건에 따라 전문가와의 협력을 돕는 AWS SMB 컴피턴시(AWS Small and Medium Business Competency)를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AWS SMB 컴피턴시 파트너들은 중소기업의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마이그레이션, 현대화, 보안, 데이터 스토리지, 재해 복구, AI, 머신러닝(ML) 등을 제공한다. 특히 이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아키텍처, 사례 세부 검토를 포함한 AWS 솔루션 기술 검증과 평가도 거친다. 이러한 AWS 컴피턴시 프로그램에 소속된 파트너에는 우선 스마일샤크(SmileShark)가 있다. 스마일샤크 AWS 전문팀은 기업이 클라우드를 성공적으로 탐색하는 데 필요한 지침을 제공한다. 또 맞춤형 솔루션으로 인프라를 최적화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성공을 지원한다. 케이렌트 포드(Caylent Pods)는 설계 모범 사례, 구현, 현대화까지 돕는 클라우드 엔지니어링 전문가 팀이다. 수십 년간 AWS에서 설계된 솔루션을 구축한
[더테크=전수연 기자] 엔터프라이즈 아이덴티티 보안 기업 세일포인트가 모든 아이덴티티(계정)에 안전한 접근을 부여하고 비정형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공개했다. 이를 통해 기업 애플리케이션 보안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세일포인트는 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새로운 세일포인트 아틀라스(SailPoint Atlas) 아이덴티티 보안 플랫폼을 선보였다. 세일포인트 아틀라스는 엔터프라이즈급 아이덴티티 보안 프로그램을 구축, 유지, 확장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공급하는 멀티 SaaS(Software as a Service) 플랫폼이다. 해당 플랫폼의 출시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 챈위 보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 사장이 발표에 나섰다. 보이 사장은 “지난 2년간 트렌드를 보면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가 부상하고 기업 환경 내 접목하고자 하는 노력이 돋보였다”며 ”다양한 사람들이 시스템에 접근하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이 디지털전환을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일포인트는 기업이 수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업무 내용을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이 점점 더 가속화될 것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세일포인트가 주목한 것은 제로 트러스트였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네트워킹 보안 솔루션 기업 포티넷 코리아가 기업이 하나의 플랫폼 내에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선보였다. 이를 통해 기업은 클라우드, SaaS 등 다양한 위치의 데이터를 한 번에 관리하고 높아지는 보안 위협을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포티넷 코리아는 서울 강남구 에스타워에서 시큐어 네트워킹 포트폴리오와 SIngle OS를 기반으로 향후 전략을 발표하는 간담회를 6일 개최했다. 로버트 메이(Robert May) 포티넷 제품 관리 총괄 부사장은 포티넷 보안 패브릭 비전 및 전략 발표를 진행했다. 메이 부사장이 강조한 주요 보안 위협 동향에는 △피싱, 딥페이크 △운영 시설 공격 △랜섬웨어 △클라우드 위협 △공급망 공격 등이 있었다. 이에 대해 메이 부사장은 “현재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 활용으로 사용자 보안 위협이 증가했다”며 “포티넷이 많은 기술을 개발해왔지만 기업이 신속하게 적용하지 못하는 모습도 많이 보게 됐다”고 말했다. 기업의 보안 위협 방지를 위해 포티넷은 기술 투자에 집중했다고 밝혔다. 메이 부사장은 “기업의 민감한 데이터가 온프레미스, 퍼블릭 클라우드, SaaS 등에 분산돼 있다”며 “사용자는 다양한
[더테크=전수연 기자]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가 ‘차세대 혁신을 열다(Unveil the Next Wave of Innovations)’라는 주제로 컨퍼런스를 열었다.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의 확대에 따라 ‘데이터 클라우드’의 수요가 늘고 있는 가운데, 클라우드 플랫폼이 나아갈 방향 및 활용 사례를 제시했다. 스노우플레이크는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데이터 클라우드 월드 투어 2023’을 5일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 참여한 프랭크 슬루트만 스노우플레이크 CEO는 현재 데이터 클라우드의 방향성부터 설명했다. 슬루트만 CEO는 “데이터 클라우드는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데이터는 분절돼 있다”며 “데이터를 하나의 유니버스로 만들기 위해 AI, ML의 잠재력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근본적인 데이터 클라우드의 컨셉과 목적은 데이터 사일로(Data Silo, 조직 내 정보의 집합이지만, 다른 부서는 접근할 수 없는 분리된 정보)를 제거하는 것”이라며 “시스템 간 경계가 생기면 사일로가 발생한다. 텍스트, 오디오 등 비정형 데이터를 어떻게 통계로 보낼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통합관리에 대해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