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지영 기자] 네이버랩스 유럽이 ‘AI for Robotics’ 워크샵을 통해 공간지능 기반 로봇 연구의 최신 성과를 공개하며 글로벌 로보틱스·AI 연구 생태계에서 영향력을 더욱 확대하고 있다.
네이버랩스 유럽은 20~21일(현지시간) 제4회 ‘AI for Robotics’ 워크샵을 개최하며 공간지능을 중심으로 한 차세대 로봇 AI 기술을 논의했다. 2019년부터 2년 주기로 열리는 이 행사는 전 세계 로보틱스 및 AI 연구자들이 모여 로봇이 사람처럼 세상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하기 위한 핵심 기술을 공유하는 자리다.
올해의 주제는 ‘공간지능’이다. 해당 용어를 처음 제안한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앤드류 데이비슨 교수를 포함해 약 150명의 연구자가 참석해, 공간지능이 로봇의 인지·판단·행동 능력을 어떻게 고도화할지 논의했다.
공간지능은 단순한 공간 인식 수준을 넘어 사물·사람의 위치·움직임·관계 등을 통합적으로 이해해 실제 환경의 맥락까지 파악하는 기술이다. 이를 적용한 로봇은 3D 공간을 실시간 모델링하며 다양한 상황에서 더 자연스럽고 적절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
마틴 휴멘버거 네이버랩스 유럽 연구소장은 네이버랩스의 공간지능 연구 방향을 설명하며 “새로운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과 기존 모델의 통합을 통해 비전문가도 실제 환경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지능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동환 네이버랩스 리더는 로봇·AR/VR·스마트시티 등 실사용 사례와 향후 확장 전략을 소개했다.
네이버랩스는 이번 행사에서 로봇의 공간 및 사람 이해 능력을 확장하는 AI 모델 ‘더스터2(DUSt3R-2)’와 ‘애니’를 공개했다.
‘더스터’는 단 한 장의 사진으로 3D 공간을 재구성하는 모델로, 지도 제작 없이도 로봇이 새로운 공간을 빠르게 파악하도록 돕는다. 새 버전인 ‘더스터2’는 다양한 파생 연구를 통합하고 상용화를 염두에 둔 모델로 로보틱스를 비롯해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장 가능성이 크다.
새로 공개된 3D 바디 모델 ‘애니’는 메이크휴먼 커뮤니티 데이터와 WHO 인구 통계를 기반으로 개인정보 침해 없이 다양한 연령·신체 조건을 반영한 인체 모델을 생성한다. 애니는 11월 6일 오픈소스로 공개돼 로봇 연구 생태계 확장에도 기여하고 있다.
고도화된 공간지능 기술이 적용되면 로봇은 사람의 행동·상황을 깊이 이해해 더욱 자연스러운 사회적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대화 중인 사람을 방해하지 않고 우회하거나, 호출하는 사람을 정확히 인식해 반응하는 등 인간 중심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진다.
프랑스 그르노블에 위치한 네이버랩스 유럽은 26개국의 연구자가 참여하는 글로벌 연구 조직으로, 로봇의 범용성을 높이는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로보틱스’를 선도해왔다. 비전·액션·인터랙션 프로젝트를 모두 파운데이션 모델 중심으로 전환한 세계 최초 수준의 연구기관으로 평가된다.
현재는 로봇이 세상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을 통합한 ‘범용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 중이다. 이 기술은 로봇이 장소나 상황의 제약 없이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서비스하는 미래 로봇 대중화 시대의 핵심 기반이 될 전망이다.
이동환 리더는 “네이버랩스는 2016년부터 공간지능과 물리지능 연구에 집중하며 1784를 포함한 다양한 테스트베드에서 실증 경험을 축적해왔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연구 생태계를 확장하고, 로봇을 위한 AI 개발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