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이자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인 아마존이 생성형 AI(인공지능) 개발 경쟁에 참전한다. 최근 ICT 분야의 뜨거운 감자인 생성형 AI 시장에서 후발주자인 아마존은 개인이 아닌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내놓았다. 아마존은 13일(현지 시각) 기업들이 AI를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 서비스 ‘베드록(Bedrock)’을 미리 보기 형태로 출시한다고 밝혔다. 챗GPT를 시작으로 글과 이미지 생성 서비스, 검색 엔진 등 다양한 B2C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는 AI 시장에서 기업을 대상으로 한 B2B 서비스로 차별화된 전략을 펼쳤다. 베드록은 챗GPT 같은 생성형 AI를 이용하는 서비스로 대화, 스토리, 이미지, 동영상, 음악 등 새로운 콘텐츠와 아이디어를 만들 수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아마존 웹 서비스(AWS)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이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것이다. 앤디 제시 아마존 CEO는 베드록을 출시하면서 “많은 기업이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하고 싶지만, 모델 훈련에만 수십억 달러가 들고 개발 기간도 수년에 달한다”면서 “기업들이 원하는 맞춤 기능이 바로 베드록”이라고 밝혔다.
[더테크 뉴스] 오라클이 가격 경쟁력을 갖춘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racle Cloud Infrastructure 이하 OCI)로 국내 디지털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클라우드 인프라는 하드웨어를 시작으로 가상화된 리소스,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 클라우드 컴퓨팅에 필요한 구성 요소를 말한다. 디지털 전환 생태계에서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기업들이 OCI를 도입해 안정적인 토대를 마련하면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시대의 서비스 역량을 강화했다는 평가가 나올 수 있다.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은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외산 업체와 네이버 클라우드 등 국내 업체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오라클은 지난해부터 가격 경쟁력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영향력 확대에 나섰다. 백영훈 한국 오라클 상무는 <더테크>와 통화에서 “디지털 전환 생태계에서 사업 성장을 도모하는 기업에게 클라우드 환경 구축은 매우 중요한데, 많은 기업이 OCI를 선택했다. OCI는 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하면서 이중 리전(Region, 데이터 센터)를 지원하는 등 기존 오라클의 강점을 모두 갖춘 서비스”라며 “오라클은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