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네이버가 인텔의 가우디 기반의 인공지능(AI) 공동 연구에 나선다. 최근 AI칩 확보와 비용 부담을 덜고 하이퍼클로바X 중심의 AI 생태계 확장이 기대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인텔과 함께 국내 학계 및 스타트업 등과 공동 연구를 통해 ‘가우디(Gaudi)’ 기반의 새로운 AI 칩 소프트웨어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지난 9일(현지시각) 미국 피닉스에서 개최된 ‘인텔 비전 2024’에서 팻 겔싱어 인텔 CEO의 키노트를 통해 공개됐고 양사간 협약이 진행됐다. 양사는 국내 스타트업과 대학들이 AI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인텔의 AI 칩인 ‘가우디’ 기반의 IT 인프라를 제공하고 소프트웨어 개발과 산학 연구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양사는 ‘AI 공동연구센터(NICL: NAVER Cloud·Intel·Co-Lab)’를 설립한다. 이 센터는 카이스트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와 포스텍을 포함한 국내 20여개 연구실 및 스타트업이 참여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스타트업과 대학들은 AI칩 구매 부담을 덜고 함께 AI 리소스 환경 개선이 기대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AI 연구 활성화를 비롯해 AI칩 생태계 다양성 강
[더테크= 조재호기자/서용진 PD] 정보처리 기술의 발달은 지능형 로봇의 발전으로 이어진다. 아울러 이를 연결하는 통로인 통신 기술의 발전도 촉발한다. 원격 제어나 관제 플랫폼의 중요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팀그릿은 실시간 비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 처리 기술과 AI 모델을 융합한 웹 서비스와 솔루션을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이다.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연결 및 제어 기술로 로봇 청소기나 드론부터 군사용 장비까지 여러 영역에서 활약하고 있다. 이에 더테크는 김기령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차세대 로봇 산업 비전, 2024년 로봇 본격화에 앞서 대한민국 로봇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들의 주요 인사와의 대담을 진행합니다. 본 기사는 한국로봇산업협회와 협력해 회원사를 소개하고 제품과 개발현황, 비즈니스 그리고 산업 이슈에 대한 인사이트를 전합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로보틱스는 로봇을 설계하고 조립해 활용하는 하드웨어 분야와 제어와 센싱, 정보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포괄한다. 최근 인공지능(AI)이 주목받으며 정보 처리 분야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정보처리 기술의 발달은 지능형 로봇의 발전으로 이어진다. 아울러 이를 연결하는 통로인 통신 기술의 발전도 촉발한다. 원격 제어나 관제 플랫폼의 중요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나라가 강점을 보이는 정보통신 산업과도 밀접한 관계를 지녔다. 팀그릿은 실시간 비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 처리 기술과 AI 모델을 융합한 웹 서비스와 솔루션을 개발하는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이다.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연결 및 제어 기술로 로봇 청소기나 드론부터 군사용 장비까지 여러 영역에서 활약하고 있다. 이에 더테크는 김기령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팀그릿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서용진 PD] 국내 최대 생산제조기술전시회 ‘SIMTOS((Seoul International Manufacturing Technology Show) 2024’가 이달 1일부터 5일까지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이번 전시회는 ‘Be a Part of SIMTOS’를 주제로 △금속절삭 및 금형기술관 △소재부품 및 제어 기술관 △툴링 및 측정기술관 △절단가공 및 용접기술관 △프레스 및 성형기술관까지 5개의 전문관과 △로봇 및 디지털제조기술 특별전까지 6가지의 테마로 관람객을 맞이했다. 부대행사로는 SIMTOS의 강점 중 하나인 국내외 바이어 상담회(MatchMaking4U)와 국제디지털제조혁신 컨퍼런스, 디지털제조기술 테마관을 선보였다. 사진과 영상은 쿠카로보틱스의 부스로 '인텔리전스 4.0 - 자동화를 넘어서' 를 주제로 국내생산제조 업계의 자동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협동로봇과 AMR을 선보였다. 쿠카로보틱스 코리아는 LBR iisy cobot과 KR 스카라 로봇, 그리고 AMR 을 주요 전시 품목으로 선보였으며, IIQKA.OS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으로 관람객을 맞이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서용진 PD] 국내 최대 생산제조기술전시회 ‘SIMTOS((Seoul International Manufacturing Technology Show) 2024’가 이달 1일부터 5일까지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이번 전시회는 ‘Be a Part of SIMTOS’를 주제로 △금속절삭 및 금형기술관 △소재부품 및 제어 기술관 △툴링 및 측정기술관 △절단가공 및 용접기술관 △프레스 및 성형기술관까지 5개의 전문관과 △로봇 및 디지털제조기술 특별전까지 6가지의 테마로 관람객을 맞이했다. 부대행사로는 SIMTOS의 강점 중 하나인 국내외 바이어 상담회(MatchMaking4U)와 국제디지털제조혁신 컨퍼런스, 디지털제조기술 테마관을 선보였다. 사진과 영상은 인터엑스의 부스로 온디바이스 AI와 생성형 AI를 주축으로 한 공작기계 업계의 디지털 전환(DX) 트렌드를 제시했다. 인터엑스는 부스에서 △공작기계 산업의 자율공장(Autonmous Factory) △온디바이스AI(On-Device AI) △생성형AI(Gen AI) △소프트웨어 중심 기계장비 (Software Defined Machine) 등의 다수의 솔루션을 선보이며 부스 내에서
[더테크=조재호 기자, 서용진 PD] 국내 최대 생산제조기술전시회 ‘SIMTOS((Seoul International Manufacturing Technology Show) 2024’가 이달 1일부터 5일까지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진행됐다. 이번 전시회는 ‘Be a Part of SIMTOS’를 주제로 △금속절삭 및 금형기술관 △소재부품 및 제어 기술관 △툴링 및 측정기술관 △절단가공 및 용접기술관 △프레스 및 성형기술관까지 5개의 전문관과 △로봇 및 디지털제조기술 특별전까지 6가지의 테마로 관람객을 맞이했다. 부대행사로는 SIMTOS의 강점 중 하나인 국내외 바이어 상담회(MatchMaking4U)와 국제디지털제조혁신 컨퍼런스, 디지털제조기술 테마관을 선보였다. 사진과 영상은 한국지멘스의 부스로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혁신 가속화'를 주제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를 시연하는 공간과 함께 산업용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 프로그램 등으로 관람객을 맞이했다. 한국지멘스는 포괄적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인 △MACHINUM을 비롯해 CNC 컨트롤러 △SINUMERIK과 함께 828D의 업그레이드 모델인 ‘PPU.5’와 ‘PU272.5’를 공개하고 디지털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가 인구의 고령화 추세와 기후변화 적응 정책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카이스트는 9일 김승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고령화 현상과 기후변화 적응 간의 상호작용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 연구팀은 동남아시아 10개국을 대상으로 고령 인구 증가 현상이 기후변화 적응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리모트센싱과 이중차분법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고령 인구와 그린 인프라 변화 패턴 간의 시공간적 관계를 분석했다. 여기서 그린 인프라는 공원이나 산림, 수역 등과 같은 녹색 사회기반시설을 말한다. 분석 결과 고령 인구가 증가한 커뮤니티에서는 그린 인프라 공급이 줄어 기후변화 취약성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연구는 고령화 저출산 현상에 맞는 지역맞춤형 기후변화 적응 능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지난 20년간 동남아시아 10개국의 2만6885개 커뮤니티에서 기후 적용 정책 변화를 면밀히 추적하고 분석했다. 이를 통해 사회경제적 변화를 포함한 다차원적이고 융복합적인 기후변화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 영역을 개척했다. 이번 연구는 고령화와 그린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로템이 신형 고속철도차량의 안전한 영업 운행을 위해 사전점검을 실시했다. 현대로템은 9일 320km/h급 신형 동력분산식 고속차량인 ‘KTX-청룡’의 낲품 전 성능 검증을 마쳤다고 밝혔다. KTX-청룡은 최고속도 352km/h, 운행 최고속도는 시속 320km/h이다. 8량 1편성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번 사전점검은 16량 2편성으로 진행됐다. 1편성당 좌석 수는 515좌석이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고속차량에 대한 기술적 중요성을 높이 평가해 지난 2016년 ‘속도 350km/h 이상 고속차량 동력 시스템 설계 및 제조기술’을 국가핵심기술로 지정한 바 있다. 현대로템은 지난 2008년 동력집중식 고속차량인 ‘KTX-산천’을 세계에서 네 번째로 개발 및 상용화하고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지난 2012년 동력분산식 고속철도 시제차량(HEMU-430X) 국산화에 성공했다. 이후 지난 2021년 동력분산식 고속차량 KTX-이음을 선보였다. 현대로템은 KTX-청룡이 영업 운행에 투입되기 전 지난 2022년 10월부터 지난 1월까지 경부고속·호남고속·경강선 등에서 18만km 이상 시운전을 진행하며 성능 검증을 마쳤다. 아울러 승차감 향상을
[더테크=조재호 기자] 두산이 메모리·시스템 반도체, 5G 통신, 스마트 디바이스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하이엔드 동박적층판(CCL) 라인업을 선보이며 북미시장에서 적극적인 마케팅에 나선다. 두산은 미국 캘리포니아 애너하임 컨벤션센터에서 9일(현지시간)부터 11일까지 진행되는 ‘IPC APEX EXPO 2024’에 참가한다고 9일 밝혔다. IPC APEX EXPO 2024는 북미 최대 규모 인쇄회로기판(PCB) 및 반도체 패키징 기판 전시회이다. 올해는 레조낙, EMC, TUC 등 CCL을 제조하는 글로벌 경쟁사를 비롯해 한화정밀기계 등 430여 기업이 참가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두산은 △메모리·시스템 반도체 패키지용 CCL △통신네트워크용 CCL △스마트 디바이스용 연성동박적층판(FCCL) 등의 다양한 하이엔드 CCL 제품을 선보인다. 반도체 패키지용 CCL은 칩과 메인보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해 반도체를 보호하는 소재로 DRAM, Nand 등 메모리 반도체용과 CPU, GPU, AP 등 시스템 반도체용으로 구분된다. 전기신호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고 고온의 반도체 공정을 견딜 만큼 강도가 높다. 통신네트워크용 CCL은 데이터센터에 적용되는 제품으
[더테크=조재호 기자] 공작기계 시장을 선도하는 DN솔루션즈가 중국 화동 지역의 상하이 공작기계 전시회 ‘CCMT 2024(China CNC Machine Tools Fair)’에 참가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중국 시장에서의 영향력 확대에 나선다. DN솔루션즈는 8일 중국 상하이 국제 전시센터에서 개최되는 CCMT 2024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오는 8일부터 12일까지 5일간 개최되는 이번 전시회는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 공작기계 전시회와 더불어 중국 공작기계산업협회가 주최하는 박람회다. 이번 CCMT 2024에서 DN솔루션즈는 △신제품(New Product)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uring) △자동화(Automation) 세션을 마련하고, 최신 기술이 탑재된 7종의 기기를 선보일 예정이다. 중국 엔타이 시 공장에서 생산한 신기종 및 중국에 특화된 가공 솔루션 소개할 계획이다. 신제품 세션에서는 차세대 복합 가공기 ‘SMX 2100ST’와 세라믹 및 쿼츠 연마 가공기 ‘DNC 8060’을 전시한다. 자율제조 세션에서는 협동로봇 코보솔(COBOSOL)이 통합 구현된 콤팩트 터닝센터 ‘Lynx 2605SY’를 선보인다. 중국 공장에서 생
[더테크 뉴스] 전세계 전기차 시장의 2024년 1~2월 배터리 사용량이 집계됐다. 업계 전반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 3사의 점유율은 1.2%p 하락한 23.8%를 기록했다. 시장 수요 성장세 둔화가 본격화 됨에 따라 일부 업체는 역성장을 보였다. SNE리서치는 8일 2024년 1~2월 글로벌 전기차에 탑재된 총 배터리 사용량을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배터리 사용량은 약 92.4Gwh로 전년 동기 대비 27% 성장했다. 국내 배터리 3사의 점유율은 전년 동기보다 1.2%p 하락한 23.8%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4.8% 성장한 12.7GWh의 사용량으로 점유율 2위를, 삼성SDI는 국내 3사 중 가장 높은 47.4% 성장률을 보이며 5.2GWh로 5위를 차지했다. 반면 SK on은 –7.3% 하락한 4.2GWh로 역성장을 보였다.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 포드, GM 등 유럽과 북미에서 인기 차종의 판매량이 성장세를 견인했다. 향후 GM 신차 출시로 IRA를 충족하는 삼원계 배터리를 통해 북미 시장을 주도할 전망이다. 다만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에 따른 불확실성과 최근 CATL이 GM과 기술 라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가 유전자 가위 기술 기반의 항암 신약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유전자 교정 치료 및 다양한 암종에 적용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로 기대된다. 카이스트는 8일 정현정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항암 신약을 개발해 암세포 선택적 유전자 교정 및 항암 효능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번 신약은 크리스퍼(유전자 가위) 기반 표적 치료제로 항체를 이용한 크리스퍼 단백질을 생체 내 표적 조직에 특이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이다. 유전자 치료에 사용하는 바이러스 기반 전달 방법은 인체 내 면역 부작용이나 발암성 등 한계점을 지녔다. 이에 비 바이러스성 전달 방법으로 단백질 기반의 크리스퍼 기술이 전달은 높은 안정성을 지녀 치료제로서 개발이 적합한 방법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크리스퍼 단백질은 분자량이 커 전달체의 탑재가 어렵고 전달체의 세포 독성 문제 및 낮은 표적 세포로의 전달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크리스퍼 단백질에 특정 아미노산을 변경해 다양한 생체분자를 보다 많이 결합하고 생체 내 본질적인 생화학 과정을 방해하지 않는 단백질을 개발했다. 그 결과 기존 비 바이러스성 전달체의 문제 해결 및 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