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서명수 기자] HD현대의 로봇 계열사 HD현대로보틱스가 AI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로봇 제어기를 선보이며 작업 안전성과 확장성을 높였다. HD현대로보틱스는 1일, AI 기반 안전 제어 솔루션 ‘세이프스페이스(SafeSpace) 2.0’을 탑재한 산업용 AI 로봇 제어기 ‘Hi7’을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Hi7’은 ▲고도화된 안전 시뮬레이션 ▲정밀한 움직임 제어 ▲충돌 감지 기능을 제공한다. 센서로 수집된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잠재적 위험을 예측하고, 이상 상황 발생 시 즉시 로봇 동작을 멈춰 현장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특히 업계 최초로 라이다(LiDAR) 센서를 충돌 예방 기능에 연동, 사물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더욱 정밀한 안전 제어가 가능해졌다. 이 제어기는 협동로봇과 산업용 로봇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협동로봇의 경우 공정별 전용 소프트웨어와 다양한 통신 규격을 지원해 작업 범위를 확장하고 외부 장비와 유연하게 연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산업용 로봇 수준의 기능 구현이 가능해졌다. 또한 ‘Hi7’에는 로봇의 두뇌와 신경을 하나로 연결하는 ‘AI 모듈’이 탑재돼 있다. 이 모듈은 로봇의 제어 기능과 외부 AI·비전 솔루션
[더테크 서명수 기자] 한화비전이 9월 29일(현지시각)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글로벌 보안 전시회 ‘GSX(Global Security Exchange) 2025’에 참가해 엔드투엔드(end-to-end) 보안 솔루션을 선보였다고 1일 밝혔다. GSX는 미국산업보안협회(ASIS)가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 보안 전시회로, 올해는 500여 개 기업이 참여했다. 한화비전은 이번 전시에서 클라우드 기반 출입통제 솔루션 ‘OnCAFE’를 처음 공개했다. 별도 서버 없이 클라우드에서 시설 출입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서비스로, 작은 사무실부터 대규모 빌딩까지 폭넓게 적용 가능하다. 이름에는 ‘Cloud Access For Everyone’, 즉 모두를 위한 클라우드 출입통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미가 담겼다. 미주 영상 보안 시장은 글로벌 시장(중국 제외)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한화비전은 이 지역에서 점유율 3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미주 VSaaS(Video Surveillance as a Service) 시장은 매년 20~30%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어, 한화비전의 새로운 솔루션이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화비전은 여러 카메라에
[더테크 이지영 기자]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가 차세대 인공지능 패러다임으로 주목받는 ‘에이전틱(Agentic) AI’ 기술을 공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을 증명했다. 한컴은 자체 개발한 핵심 AI 기술 관련 논문 2편을 세계적인 연구 논문 공개 플랫폼 아카이브(arXiv.org)에 게재했다고 1일 밝혔다. 아카이브는 구글, 메타, 오픈AI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최신 성과를 공유하며 경쟁하는 무대다. 이번 게재는 한컴의 AI 기술력이 세계적으로도 인정받을 수준에 도달했음을 의미한다. 첫 번째 논문 ‘SLM-Based Agentic AI with P–C–G’는 기존 거대 언어 모델(LLM)의 한계를 넘어서는 ‘P-C-G(기획-호출-생성) 모델’을 제시한다. 이는 대규모 모델 하나가 모든 것을 처리하는 방식 대신, 소형 언어 모델(sLM)들이 ‘기획자(Planner)’, ‘실행자(Caller)’, ‘생성자(Generator)’ 역할을 나눠 협업하는 구조다. 한컴은 이 방식을 통해 복잡한 도구 호출이나 필요 도구 식별 등에서 거대 모델과 맞먹거나 더 나은 성능을 입증했다. 이는 ‘크기’보다 ‘효율적 협업’이 AI 성능의 핵심이 될 수 있음을 보여
[더테크 서명수 기자] 한국로봇산업협회(회장 김진오)가 협회 법인 명칭을 ‘한국AI·로봇산업협회’로 변경하며 새로운 출범을 알렸다. 협회는 30일 서울 강남 베스트웨스턴호텔에서 '2025년 임시총회 및 비전선포식'을 열고 회원사와 유관기관 관계자 200여 명과 함께 비전을 공유했다. 이번 총회는 단순한 조직 개편을 넘어, AI와 로봇 융합을 통한 산업 패러다임 전환을 공식 선언하는 자리였다. 협회는 휴머노이드, 피지컬AI, 제조·서비스 로봇 등 분야에서 기술 결합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반영해, ‘Next 로봇산업 생태계’ 조성을 핵심 비전으로 제시했다. 협회는 향후 AI·로봇 사업 추진 과정에서 회원사 간 교류와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산업 거점 기능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2026년부터는 회원사 참여형 협의회와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해 산업 전반의 성장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협회는 K-휴머노이드 연합에 합류해 관련 기업들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휴머노이드뿐만 아니라 부품, 소프트웨어, 서비스 기업까지 아우르는 통합적 산업 생태계 강화 전략으로 해석된다. 김진오 회장은 “법인 명칭 변경은 급변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 협회의 정체성을 재정립
[더테크 이지영 기자] 오픈소스 Postgres 데이터·AI 플랫폼 기업 EDB(지사장 김희배)가 PostgreSQL 18을 공식 출시하며 자사 핵심 기여 내용을 30일 발표했다. 이번 릴리스는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PostgreSQL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기업이 차세대 AI 및 데이터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안전하고 빠르게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EDB가 최근 진행한 글로벌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기업 임원의 35%가 차세대 AI 워크로드를 위해 PostgreSQL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데이터·AI 주권을 전략으로 삼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 대비 12.5배 높은 ROI를 기록했다. PostgreSQL 18은 200개 이상의 신규 기능을 탑재,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안전하고 고성능의 이식성 높은 애플리케이션 운영을 지원한다. 주요 기여 내용으로는 OAuth 인증 지원을 통한 기업용 ID 시스템 통합, 가상 생성 컬럼·강화된 NOT NULL 제약으로 표준 호환성 강화, 옵티마이저 개선으로 쿼리 성능 향상, Kubernetes 환경에서의 동적 확장 로딩 지원, 신규 벡터·분석 중심 인덱스 개발 기능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트랜
[더테크 이승수 기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LG전자, LG AI연구원과 협력해 한국형 차세대 휴머노이드 ‘KAPEX(케이팩스)’를 개발하며 글로벌 피지컬 AI 경쟁에서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미·중 양강이 주도하는 AI 휴머노이드 시장에서 출연연과 대기업의 공동 개발로 한국 독자 플랫폼이 세계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연구팀은 KAPEX의 차세대 기능을 연구·개발 중이며, 오는 11월부터 순차적으로 성과를 공개 한다고 30일 밝혔다. KAPEX는 기존 휴머노이드와 달리 스스로 학습하고 환경 변화에 적응하며 사람과 협업까지 수행할 수 있는 ‘지능형 동반자’다. 인간과 동등한 운동·조작 능력을 갖춰 가정과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작업 수행이 가능하며, 핵심 부품을 자체 개발해 기술 자립도를 높였다. 세 기관의 협력은 KIST의 AI·휴머노이드 기술, LG전자의 제품화·양산 역량,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 기반 로봇 브레인 기술을 결합해 차세대 한국형 휴머노이드 개발의 토대를 마련했다. 향후 4년 내 산업 현장 실증과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글로벌 로봇 시장은 Physical AI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휴머노이드 플랫폼은 이를 구현하는 핵심
[더테크 이승수 기자]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10 공식 지원 종료를 앞두고 사용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현대적인 컴퓨팅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로드맵을 30일 공개했다. 내달 14일 윈도우 10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면 정기 보안 업데이트와 기술 지원이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다. 보안 업데이트 중단은 악성코드나 바이러스 등 사이버 위협에 대한 노출 가능성을 높이며, 기업과 조직은 보안 리스크와 함께 규제 준수 부담도 안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개인 및 상업용 윈도우 10 PC에서 실행되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앱에 대해 2028년 10월까지 보안 업데이트, 2026년 8월까지 기능 업데이트를 제공해 전환을 지원할 방침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11을 “현존하는 운영체제 중 가장 안전한 플랫폼”으로 소개한다. 설계 단계부터 보안을 기본 적용했으며, TPM 2.0, 가상화 기반 보안, 스마트 앱 컨트롤 등 고급 보안 기능이 기본 탑재됐다. 또한 업데이트 구조 최적화를 통해 절전 모드 반응 속도, 웹 브라우징 속도,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을 끌어올렸으며, 실제로 윈도우 11 PC는 윈도우 10 대비 최대 2.3배 빠른 성능을 제공한다. 사용자 경험도 개선됐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산업 현장의 AI 전환(AX: AI Transformation) 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글로벌 센서 전문 기업 씨크(SICK) 가 30일 AI 기반 센서 솔루션 ‘Visionary AI-Assist’ 를 공식 발표했다. 새로운 솔루션은 AI가 일반 객체와 사람을 구분해 감지하며, 실외 충돌 방지와 환경 감지를 동시에 구현한다. 이를 통해 제조, 건설, 물류, 농기계 분야에서 생산성 향상·현장 관리 효율화·사고 예방을 동시에 지원하는 핵심 기술로 평가된다. Visionary AI-Assist는 ▲3D 스테레오 카메라 Visionary-B Two, ▲AI 기반 소프트웨어 AI-Assist 로 구성된다. 카메라는 실내외 환경에서 거리 측정과 물체·환경 감지를 수행하며, 소프트웨어는 구역 내 인체 분류와 위험 상황 판단을 통해 필요 시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단일 장치로 데이터 수집·처리·출력이 가능해 별도 센서, 제어기, 클라우드 연결 없이도 작동한다. 또한 카메라는 거친 산업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시야와 감지 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최대 37m) 사람·물체 감지 영역을 맞춤 설정할 수 있으며, 실시간 3D 포인트 클라우드 분
[더테크 서명수 기자] 삼성전자가 최신 AI 기반 홈 경험을 인도 시장에 선보이며 AI 홈 리더십 강화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24일 인도 뭄바이 플래그십 스토어인 삼성 반드라 쿨라 콤플렉스(Bandra Kurla Complex, BKC)에서 ‘AI 홈 – 미래 일상을 현실로(AI Home: Future Living, Now)’를 주제로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IFA 2025에서 공개된 삼성 AI 홈의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인도 시장에 소개하는 자리였다. 현지 주요 미디어와 거래선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삼성전자는 모바일 제품의 ‘갤럭시 AI’, 영상 디스플레이 제품의 ‘비전 AI’, 가전 제품의 ‘비스포크 AI’를 소개하고, 각 제품에 적용된 AI 홈 시나리오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삼성전자 서남아총괄 박종범 부사장은 “미래의 일상을 현실화한 삼성 AI 홈은 인도 가정에 더 건강하고 안전한 일상을 제공할 것”이라며, “인도 내 3개의 R&D 센터가 삼성의 AI 혁신을 현지 시장에 확산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신한카드(사장 박창훈)가 데이터 분석 역량이 부족한 중소 지방자치단체를 위해 AI 기반 상권분석 솔루션을 26일 선보였다. 이번 솔루션은 지역 간 균형 발전과 상생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됐다. 신한카드는 전국 226개 기초지자체 가운데 약 70%에 해당하는 중소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소비 데이터를 분석해 정책을 수립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반영해 현장 인터뷰와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솔루션을 설계했다. 솔루션은 신한카드가 보유한 방대한 카드 결제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지자체별 소비 패턴, 상권 변화, 지역경제 동향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주요 기능으로는 AI 기반 지역별 소비 현황 분석, 상권별 매출 변화 추적, 계절별 소비 변동성 분석, 인근 지역과의 비교 분석 등이 포함된다. 사용 편의성도 강조했다. 복잡한 데이터 처리 과정 없이 대시보드 형태로 시각화된 결과를 제공하며, AI가 자동 생성하는 리포트를 통해 정책 수립에 필요한 종합 분석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해당 서비스는 신한카드의 데이터 비즈니스 플랫폼 ‘데이터바다(DataBada)’에서 이용 가능하다. 모든 지자체를 대상으로 2개월간 무료 이용
[더테크 뉴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승수)와 로옴(ROHM)이 실리콘 카바이드(SiC) 전력 반도체 패키지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협력 범위는 온보드 충전기, 태양광 발전,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AI 데이터센터 등 차세대 고효율 애플리케이션에 집중된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SiC 전력 소자용 패키지의 세컨드 소스(second source) 역할을 상호 제공, 고객사의 설계 및 조달 유연성을 한층 높일 계획이다. 이에 따라 고객사는 인피니언과 로옴에서 호환 가능한 하우징 소자를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피터 바버 인피니언 친환경 산업용 전력 사업부 사장은 “로옴과 협력해 SiC 파워 스위치 시장 성장을 가속화하게 돼 기쁘다”며, “고객들은 더 많은 선택지와 유연성을 확보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탈탄소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로옴은 인피니언의 상단면 냉각(Top-Side Cooling) 플랫폼을 채택한다. 해당 플랫폼은 △TOLT △D-DPAK △Q-DPAK △Q-DPAK 듀얼 △H-DPAK 패키지를 포함하며, 모든 패키지에서 2.3mm 표준화
[더테크 이승수 기자] 스스로 움직이고 행동하는 차세대 인공지능 시대를 이끌 ‘피지컬AI 글로벌 얼라이언스’가 오는 9월 29일 공식 출범한다. 이번 얼라이언스는 피지컬AI 글로벌 주도권 확보를 목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 장관과 국회 정동영(더불어민주당)·최형두(국민의힘) 의원,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등 7인이 공동의장을 맡는다. 현대자동차, HD현대중공업, LG AI연구원 등 주요 수요·공급 기업은 물론 대학, 연구소까지 참여해 산·학·연·관 협업 플랫폼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출범식에는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임문영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부위원장, 산업부·중기부 차관, 국회의원 및 관련 협·단체장, LG AI연구원, 두산로보틱스, 카카오헬스케어, SK쉴더스, AWS 코리아, KAIST 등 국내외 피지컬AI 주요 기업과 연구기관 인사들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다. 행사에서는 피지컬AI 산업의 향후 비전과 얼라이언스 운영 방향이 공유되며,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한 의지를 다진다. 얼라이언스는 5개 생태계 분과(기술, 솔루션, 거버넌스, 인재, 글로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