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국내 최대 규모의 수소 산업 전시회인 ‘H2 MEET’(H2 Mobility Energy Environment Technology)와 배터리 소재 부품을 총망라한 ‘이차전지 소재·부품 및 장비전’ (K-BATTERY SHOW 2023)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13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전시회는 차세대 에너지인 수소 산업과 이차전지 산업 생태계 전반을 총망라했다. 수소 에너지의 생산과 이동, 저장 분야와 배터리 4대 핵심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을 비롯해 이차전지 산업 생태계 전반이 소개됐다. 사진은 H2 MEET에 참가한 스웨덴무역대표부의 부스 전경.
[더테크=조재호 기자] 국내 최대 규모의 수소 산업 전시회인 ‘H2 MEET’(H2 Mobility Energy Environment Technology)와 배터리 소재 부품을 총망라한 ‘이차전지 소재·부품 및 장비전’ (K-BATTERY SHOW 2023)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13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전시회는 차세대 에너지인 수소 산업과 이차전지 산업 생태계 전반을 총망라했다. 수소 에너지의 생산과 이동, 저장 분야와 배터리 4대 핵심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을 비롯해 이차전지 산업 생태계 전반이 소개됐다. 사진은 포스코그룹 부스에서 청정 수소 생산 예시로 선보인 오만 그린수소 프로젝트 모형
[더테크=조재호 기자] 미래 에너지 대표 분야인 수소산업과 이차전지 소부장 기업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전시회가 동시 개최됐다. 현대차그룹과 포스코를 비롯해 국내 대기업뿐만 아니라 차세대 에너지 유망기업을 알리는 기회의 장이 열렸다. 수소 산업 전시회 ‘H2 MEET’(H2 Mobility Energy Environment Technology)와 이차전지 소재·부품 및 장비전 ‘K-BATTERY SHOW 2023’가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13부터 15일까지 동시 진행했다. 이번 연합 전시회는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인 수소 산업과 이차전지와 전기자동차 산업 생태계 전반을 총망라했다. 수소 에너지의 생산·이동·저장 분야와 이차전지 4대 핵심 소재인 양극재·음극재·분리막·전해질을 비롯해 전기차와 ESS, 재활용까지 산업 생태계 전반을 살펴볼 수 있는 자리였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 등으로 인해 올 한해를 강타한 배터리 파워를 느낄 수 있었던 전시회였다. 빠른 걸음으로 둘러본다면 그리 큰 규모는 아니었겠지만 관람객의 밀도가 달랐다. 부스마다 비즈니스 상담을 하는 관계자의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LS전선의 부스는 배터리 전시장 입구에서 관람객을 맞았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국내 최대 규모의 수소 산업 전시회인 ‘H2 MEET’(H2 Mobility Energy Environment Technology)와 배터리 소재 부품을 총망라한 ‘이차전지 소재·부품 및 장비전’ (K-BATTERY SHOW 2023)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13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전시회는 차세대 에너지인 수소 산업과 이차전지 산업 생태계 전반을 총망라했다. 수소 에너지의 생산과 이동, 저장 분야와 배터리 4대 핵심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을 비롯해 이차전지 산업 생태계 전반이 소개됐다. 사진은 ‘H2 MEET’ 전시장에 위치한 한화그룹의 부스.
[더테크=조재호 기자] 국내 최대 규모의 수소 산업 전시회인 ‘H2 MEET’(H2 Mobility Energy Environment Technology)와 배터리 소재 부품을 총망라한 ‘이차전지 소재·부품 및 장비전’ (K-BATTERY SHOW 2023)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13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전시회는 차세대 에너지인 수소 산업과 이차전지 산업 생태계 전반을 총망라했다. 수소 에너지의 생산과 이동, 저장 분야와 배터리 4대 핵심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을 비롯해 이차전지 산업 생태계 전반이 소개됐다. 사진은 LS전선이 ‘K-BATTERY SHOW’ 전시장에 마련한 부스 모습.
[더테크=전수연 기자] 글로벌 전기차와 배터리 시장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는 가운데, 국내 배터리업계를 대표하는 이른바 'K-배터리' 3개사가 한 자리에 모여 자사의 생산기술과 미래 전망을 밝혔다. 전기차 배터리 대응 전략 차원에서 '가격'과 '안전성'이라는 요소를 주목해볼 수 있었다. 에너지 산업 시장 조사 기업 SNE 리서치는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제14회 Korea Advanced Battery Conference 2023’ 컨퍼런스를 14일 개최했다. (관련기사: K-배터리, 성장세인데 글로벌 점유율 상승은?) (관련기사: LG마그나, 헝가리에 전기차 부품 공장 설립) (관련기사: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가격, 장기적 하향 안정화 전망) 컨퍼런스의 시작은 김광주 SNE 리서치 대표가 열었다. 김 대표의 설명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지속적 성장으로 올 상반기까지 전기차 판매량은 약 616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약 4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 수요도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65%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배터리 유형별로는 각형 배터리가 꾸준히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김광주 대표는 “LFP(리튬 인산철을 사용한 양극재
[더테크=전수연 기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설계·구축하는 DBA(Database Administrator,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중요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데이터 플랫폼 분야의 글로벌 기업 몽고DB(MonggoDB)가 데이터 관련 비즈니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사 소프트웨어 기술을 소개했다. 몽고DB는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몽고DB 닷로컬 서울(MonggoDB.local Seoul)’을 13일 개최했다. 기업들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시 많은 시간을 데이터 작업에 소요하고 있는 것이 현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사례를 언급하기 위해 사히르 아잠 몽고DB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업계의 성장과 전환, 변혁을 이끌 혁신가를 위한 소프트웨어와 데이터의 힘’을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섰다. 사히르 아잠 CPO는 “현대의 애플리케이션은 즉각적인 반응 및 개인화된 서비스가 요구된다”며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엣지 등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다. 몽고DB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회복력과 성능을 갖춘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몽고DB의 아틀라스(Atlas) 플랫폼이 그것이다. 아틀라스는 동적인 비즈니스 업계의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한다는 설명
[더테크=전수연 기자] 개발자 데이터 플랫폼 기업 몽고DB가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몽고DB 닷로컬 서울’을 13일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몽고DB는 기업이 혁신을 이루고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사 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해 발표했다. 신재성 몽고DB 코리아 지사장이 환영사를 했으며 사히르 아잠 최고제품책임자가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사진은 신재성 지사장의 모습.
[더테크=조재호 기자/서용진 PD] 국내 인공지능(AI) 업계의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인 솔트룩스가 지난 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솔트룩스 인공지능 컨퍼런스 2023’(SAC 2023)을 개최했다. (관련기사: 솔트룩스가 그리는, AI와 접목한 일상) 솔트룩스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루시아와 관련 서비스들을 공개했다. 모바일 AI서비스인 손비서와 미미의 모습을 영상으로 살펴본다.
[더테크=조재호 기자/서용진 PD] 국내 인공지능(AI) 업계의 대표적인 기업 중 하나인 솔트룩스가 지난 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솔트룩스 인공지능 컨퍼런스 2023’(SAC 2023)을 개최했다. (관련기사: 솔트룩스, 자체 LLM '루시아'로 B2B AI 공략 박차) 솔트룩스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루시아와 관련 서비스들을 공개했다.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더테크가 영상에 담았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물류 시장에서의 플랫폼 혁신이 어려운 이유 및 운송 미래를 예측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효율적인 물류 환경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공유되며 운송 시스템의 변화를 체크할 수 있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8일 진행한 ‘NEXT MOBILITY: NEMO 2023’에서다. (관련기사: [현장] 인공지능이 주도할 미래 모빌리티를 엿보다) NEMO 2023의 오후 프로그램은 LIFE △TECH △FUTURE로 나뉘어 진행됐다. 이 중 'LIFE 일상, AI로 변화하다' 세션에서 박지은 카카오모빌리티 미들마일 사업 리더는 ‘카카오모빌리티가 바라보는 플랫폼 물류의 미래’를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현재 물류 시장의 관계자들은 여러 가지 비효율을 겪고 있다”며 “효율적인 운영이 어려운 택시기사, 대기시간이 긴 승객 등 해결할 문제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특히 물류 환경은 수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전문성을 펼치고 있는 복잡도가 높은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박지은 리더는 “이러한 물류 시황에 카카오모빌리티가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일지 고민했다”며 “시장의 혁신은 분절된 관계자를 플랫폼으로 연결하고 기술을 중심으로 가치를 창출해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이를 해결
[더테크=전수연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인공지능(AI)의 존재감이 커질 미래에 대응하기 위한 AI 기반 기술과 서비스 비전을 공유했다. 컨퍼런스에서 소개된 미래 모빌리티 영역 패러다임 변화의 가장 중요한 점은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 영역 확대‘였다. 카카오모빌리티는 8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NEXT MOBILITY: NEMO 2023’을 개최했다. (관련기사: 카카오모빌리티의 미들마일 DX, 좋은 반응 이어갈까) 모빌리티의 발전과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모인 장내는 △LIFE △TECH △FUTURE 3가지 트랙으로 나뉘어 있었다. 각각의 트랙 모두 관심이 갈 만한 주제인 만큼, 참관객들은 이곳저곳 이동하는 모습이었다. 세션이 진행되는 장소 한 켠에는 카카오모빌리티가 개발 중인 AI 기술들이 전시돼 있었다. 특히 ‘지상의 모든 이동을 위한 디지털 트윈’ 모델이 눈에 띄었다. 디지털 트윈 구축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센서 간 통신과 장비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제작됐다. 또 최근 각광받고 있는 UAM(도심항공기체)도 볼 수 있었다. 담당자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 UAM은 탑승 전 카카오T 플랫폼을 통해 통합 여정 검색, 탑승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