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구글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주최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글 인공지능 위크’ 행사가 13일 개막했다. 오는 15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과기정통부가 구글이 협력해 국내에서 처음 진행하는 최대 규모의 AI컨퍼런스다. AI연구자와 개발자, 관련 업계 종사자 등이 최신 AI기술의 현황과 비전을 공유하게 된다. 행사장에 많은 참석자들이 모여 든 모습이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구글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주최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글 인공지능 위크’ 행사가 13일 개막했다. 오는 15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과기정통부가 구글이 협력해 국내에서 처음 진행하는 최대 규모의 AI컨퍼런스다. AI연구자와 개발자, 관련 업계 종사자 등이 최신 AI기술의 현황과 비전을 공유하게 된다. ‘인공지능위크 2023’ 행사 참가자들이 성황을 이루는 모습.
[더테크=조재호 기자] 구글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주최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글 인공지능 위크’ 행사가 13일 개막했다. 오는 15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과기정통부가 구글이 협력해 국내에서 처음 진행하는 최대 규모의 AI컨퍼런스다. AI연구자와 개발자, 관련 업계 종사자 등이 최신 AI기술의 현황과 비전을 공유하게 된다. 사진은 ‘인공지능위크 2023’의 행사장 모습.
[더테크=전수연 기자]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역대 2분기 최고 매출액을 달성한 LG전자가 미래 사업 전략을 발표했다. 특히 개인의 삶을 이어주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사업을 강조했다. LG전자는 12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기자간담회는 LG전자의 중·장기 미래비전과 사업전략을 발표하기 위해 마련됐다. 수많은 기자들 앞에서 당당히 무대에 올라 회사의 비전을 발표하는 조주완 사장의 목소리는 자신감이 가득 차 보였다. (관련 기사: 또다시 ‘역대급’…LG전자, 2분기 최고 매출액 달성) 현재의 실적에 안주하지 않겠다고 말한 조 사장은 이동 공간·가상 공간·메타버스 등 모든 공간에서의 경험을 연결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을 강조했다. 그는 “LG전자는 더 이상 기기만 제조하는 것이 아닌, 전 세계에 판매되는 모든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WebOS 플랫폼 공급을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와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으로 사업을 확대할 뜻을 나타냈다. LG전자가 주목하는 중·장기 변곡점은? 이날 간담회에서 LG전자는 △Non-HW 사업(스마트홈, 구독 등 관계 중심 순환형 사업 구조)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12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조주완 사장과 각 부문별 사업본부장들이 참석해 회사의 중, 장기 미래비전과 사업전략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LG전자는 고객 접점과 경험을 확장하기 위한 3대 축으로 ‘Non-HW 사업모델 혁신’과 ‘B2B 영역 성장’ ‘신사업 동력 확보’ 등을 제시했다. 조 사장은 “앞으로 LG전자는 좋은 제품을 만드는 최고 가전 브랜드에 그치지 않고 사업모델과 방식의 혁신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공간과 경험을 연결, 확장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변화, 도약하는 담대한 도전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조주완 사장이 기자들 앞에서 발표를 하고 있는 모습.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12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조주완 사장과 각 부문별 사업본부장들이 참석해 회사의 중, 장기 미래비전과 사업전략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LG전자는 고객 접점과 경험을 확장하기 위한 3대 축으로 ‘Non-HW 사업모델 혁신’과 ‘B2B 영역 성장’ ‘신사업 동력 확보’ 등을 제시했다. 조 사장은 “앞으로 LG전자는 좋은 제품을 만드는 최고 가전 브랜드에 그치지 않고 사업모델과 방식의 혁신을 통해 고객의 다양한 공간과 경험을 연결, 확장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변화, 도약하는 담대한 도전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LG전자 임원들의 모습.
[더테크=전수연 기자/서용진 PD] 삼성전자가 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 ‘삼성 강남’을 운영 중이다. 삼성 강남은 서울 강남대로 중심 상권에 위치해 있으며, 지하 1층부터 지상 5층까지 약 2,000㎡ 규모로 구성돼 지난달 29일 오픈했다. 삼성전자의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 생활 가전 제품을 직접 체험해보는 것은 물론, 게임 등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플레이그라운드 콘셉트로 꾸며졌다. <더테크>가 삼성 강남을 방문해 이모저모를 스케치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주변 친구들에게 ‘갤럭시’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를 물었을 때, 대부분의 반응은 그리 긍정적이진 않았다. '디자인보다는 실용적인 면을 추구하는 느낌' '30대 이상이 쓸 것 같다' '특유의 감성이 없는 것 같다' 등 ‘젊은’ 느낌하곤 거리가 멀다는 의견이 많았다. 참고로 기자의 나이는 20대 중반이다. 갤럭시 스마트폰의 기능이 떨어진다는 이야기는 결코 아니다. 여전히 갤럭시는 안드로이드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브랜드다. 글로벌 폴더블 폰 시장의 강자다. 문제는 기자에게 다가오는 '감성'이 덜 느껴진다는 것 뿐. 이런 생각을 하는 기자 또래의 소비자들을 의식한 것일까. 삼성전자는 지난달 '유행의 중심' 강남 상권에 플래그십 스토어를 열었다. 누구나 제품을 경험하고 자유롭게 즐길 수 있게 한다는 '플레이 그라운드' 콘셉트를 내세웠다. (관련기사: 강남에 뜬 삼성의 체험형 스토어...'삼성 강남' 29일 오픈) 강남 삼성의 1층에 들어서자, 갤럭시 제품들이 다양하게 전시돼 있었다. 그런데 그보다 더 눈에 띄는 건 귀여운 허그베어 조형물. 버려진 어망과 생수통을 활용해 제작했다고 한다. 폐휴대전화를 기부받는 캠페인의 일환으로 마련된 수거함도 볼 수
[더테크=전수연 기자] 삼성전자가 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 ‘삼성 강남’을 운영 중이다. 삼성 강남은 서울 강남대로 중심 상권에 위치해 있으며, 지하 1층부터 지상 5층까지 약 2,000㎡ 규모로 구성돼 지난달 29일 오픈했다. 삼성전자의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 생활 가전 제품을 직접 체험해보는 것은 물론, 게임 등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플레이그라운드 콘셉트로 꾸며졌다. 사진은 삼성 강남의 건물 외부 모습이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삼성전자가 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 ‘삼성 강남’을 운영 중이다. 삼성 강남은 서울 강남대로 중심 상권에 위치해 있으며, 지하 1층부터 지상 5층까지 약 2,000㎡ 규모로 구성돼 지난달 29일 오픈했다. 삼성전자의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 생활 가전 제품을 직접 체험해보는 것은 물론, 게임 등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플레이그라운드 콘셉트로 꾸며졌다. 사진은 콘셉트에 따라 제품을 구성하고 VR 기기로 체험해보는 공간이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삼성전자가 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 ‘삼성 강남’을 운영 중이다. 삼성 강남은 서울 강남대로 중심 상권에 위치해 있으며, 지하 1층부터 지상 5층까지 약 2,000㎡ 규모로 구성돼 지난달 29일 오픈했다. 삼성전자의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 생활 가전 제품을 직접 체험해보는 것은 물론, 게임 등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플레이그라운드 콘셉트로 꾸며졌다. 사진은 삼성 강남에 마련된 삼성전자 핸드폰 역사존이다.
[더테크=조재호 기자/서용진 PD] 지난 7월 5일부터 7일까지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된 ‘나노코리아 2023(NANO KOREA 2023)’이 막을 내렸다. 나노기술 연구개발 및 상용화에 특화된 전시회인 나노코리아 2023은 올해가 21번째 행사로 나노와 첨단세라믹, 접착코팅필름, 레이저기술, 스마트센서 등 첨단 기술 분야의 400여 기업이 참여해 자사의 기술과 제품을 선보였다. 아울러 다양한 심포지엄과 부대행사가 진행돼 참여 기업과 관람객들이 첨단 나노기술 트렌드 및 상용화 현황, 국내외 유명기업들의 인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더테크가 나노코리아2023의 다양한 모습을 영상으로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