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전 세계 장애 청소년들의 AI 역량을 강화하며 이들의 적극적인 사회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LG전자는 16~17일 양일간 ‘2024 글로벌장애청소년IT챌린지(이하 GITC)’ 예선을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GITC는 장애 청소년들의 정보 활용 능력을 높여 사회 진출의 기반을 마련하도록 2011년부터 진행해 온 대회다. 올해는 LG, 보건복지부, 필리핀 정부가 주최하고 LG전자, GITC 조직위원회, 필리핀 국가장애위원회(CNDA)가 주관한다. 또한 현재까지 13년간 총 40개국에서 5천여 명의 장애 청소년이 참여했으며 한국, 중국, 베트남, 태국 등 아시아를 넘어 중동, 북아프리카 지역으로 참가국이 확대되며 글로벌 대회로 성장하고 있다. 올해는 총 16개 국가에서 600여 명이 넘는 장애 청소년들이 참가해 열띤 경쟁을 펼쳤다. 특히 올해는 챗GPT,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구글 제미나이 등 생성형 AI 기술 활용 능력이 새로운 평가 요소로 추가됐다. 최근 생성형 AI가 글로벌 IT 업계의 화두로 떠오른 것에 따라 글로벌 디지털 인재로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번 예선을 통과한 장애 청소년들은 오는 11월 3일부터
[더테크=전수연 기자] 몽고DB가 개발자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구축 AI 기능을 새롭게 선보였다. 몽고DB는 AWS, 구글 클라우드와의 협력 확대를 13일 발표했다. 몽고DB는 날리지베이스 포 아마존 베드록에 몽고DB 아틀라스 벡터 서치를 정식 통합해 기업이 완전관리형 파운데이션 모델로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구축하도록 지원한다. 또 수많은 개발자, 사용자가 비즈니스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해 사용 중인 몽고DB에서 구글 클라우드의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를 최적화하며 애플리케이션 개발, 현대화를 위한 경험을 제공한다. 아마존 베드록은 AWS의 완전관리형 서비스로 단일 API를 통한 다양한 고성능 파운데이션 모델을 지원하고 보안, 개인정보 보호·책임감 있는 AI 역량을 갖춘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지원 기술을 제공한다. 이번 통합으로 개발자는 자체 데이터를 활용해 복잡한 작업을 자동화하고 엔드 유저의 요구사항에 따라 정확하고 신뢰 가능한 최신 응답 제공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기업은 아틀라스 벡터 서치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AWS에서 빠르게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고 관련성 높은 응답을 제공할
[더테크=전수연 기자] 오라클이 AI 코딩 동반 툴인 오라클 코드 어시스트(Oracle Code Assist)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속도 향상과 코드 일관성 개선 계획을 13일 발표했다. 오라클 코드 어시스트는 LLM을 기반으로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에서 실행되며 OCI 기반 자바, SQL,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최적화됐다. 기업의 모범 사례, 코드베이스 맞춤화로 대부분의 모던 프로그래밍 언어 코드를 업데이트하고 업그레이드, 리팩터링(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기존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코드의 구조와 디자인을 개선하는 과정)에도 활용될 수 있다. 오라클은 AI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이 소프트웨어의 개념화, 생성, 테스트, 관리 방식에 혁신을 불러일으켰다고 판단했다. 개발자는 AI 지원 도구를 사용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신규, 업그레이드, 리팩터링된 코드를 위한 지능형 제안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일상 작업 자동화 기능을 통해 AI 도구가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 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핵심 부분으로 자리잡게 됐다. 코드 어시스트는 코드스니펫, 종속성 분석, 오류 완화 대안, 테스트 사례, 주석, 요약과 문서화를 제공해 개발 수명 주기의 각 단계를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SK그룹의 대표 개발자 커뮤니티 데보션(DEVOCEAN)의 스터디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SKT는 ‘데보션 오픈랩(DEVOCEAN OpenLab)’을 열고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1일 밝혔다. 데보션은 SKT, SK하이닉스, SK㈜C&C, SK브로드밴드, SK플래닛 등 SK ICT패밀리사 AI 개발 전문가들과 외부 기술 인재 간 소통, 공유를 위한 디벨로퍼 릴레이션(Developer Relations) 채널로 지난 2021년 론칭됐다. SKT는 데보션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데보션 전문가가 주도하는 AI 중심의 스터디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지식을 공유하고 소통, 공유를 기반으로 한 건강한 성장 개발 문화를 구축하고자 데보션 오픈랩을 신설했다. 또한 스터디 프로그램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데보션에서 활동 중인 AI전문가들이 데보션 오픈랩에 직접 참여할 예정이다. 데보션 오픈랩은 4월부터 7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생성형 AI, Open LLM, LLMOps, 등 AI 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백엔드(Backend), 네트워크(Infra) 등 AI 개발자에게 필요한 총 10개의 스터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SKT는 데보
[더테크=전수연 기자] 개발자 데이터 플랫폼 기업 몽고DB(MonggoDB)가 다양한 언어를 개발하는 개발자에게 맞춤 콘텐츠와 코드를 제공하기 위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업한다. 몽고DB는 AWS가 몽고DB에서 아마존 코드위스퍼러(Amazon CodeWhisperer) 최적화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현대화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데 협력한다고 7일 밝혔다. (관련기사: 실시간 데이터관리 지원하는 '몽고DB 아틀라스' 공개) 아마존 코드위스퍼러는 수십억 줄의 아마존 및 공개 사용 가능한 코드를 기반으로 학습하고 자연어 주석이나 기존 통합 개발 환경(IDE) 코드로 작합한 코드 생성을 제안하는 AI 기반 코딩 툴이다. 몽고DB는 이번 AWS와의 협력을 통해 몽고DB 사용자에게 맞춤형 학습 데이터를 제공하고 학습 과정 전반에 아마존 코드위스퍼러 작업물을 분석해 고품질 코드를 제안할 수 있다. 이번 양사의 협력을 통해 개발자는 한층 개선된 코드 제안을 받을 수 있어 아이디어 도출과 새로운 기능을 시범 활용할 수 있다. 앤드류 데이비슨 몽고DB 제품부문 수석 부사장은 “생성형 AI는 앤드 유저가 최신 애플리케이션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개발자의 애
[더테크=전수연 기자]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SW 기업 SAP가 AI 시대의 모든 개발자가 비즈니스를 강화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선보였다. SAP는 SAP 테크에드(SAP TechEd) 컨퍼런스에서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벡터 데이터베이스 기능 부문 혁신을 2일 소개했다. (관련기사: SAP, 클라우드 이점 극대화하는 신규서비스 발표) (관련기사: “비즈니스 재정의 가능” SAP, AI 비서 ‘쥴’ 발표) SAP는 현재 모든 개발자가 AI 개발자로 거듭나야 하는 비즈니스 환경이 주어졌으며, 기업이 생성형 AI를 통해 비즈니스 하는 과정에서 전문 개발자와 일반 개발자 간의 협업이 필수라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 SAP는 작년 SAP 테크에드에서 공개했던 로우코드 SAP 빌드 솔루션을 사용하는 전문가와 협업을 간소화한 SAP 빌드 코드 솔루션을 출시한다. SAP 빌드 코드는 개발자를 위한 AI 기반 생산성 도구를 제공해 자바, 자바스크립트 개발에 최적화됐다. 또 SAP의 차세대 AI 코파일럿 쥴의 역량을 기반으로 데이터 모델, 애플리케이션 로직, 테스크 스크립트 작성을 위한 코드 생성 기능 등을 내장했다. 이와 함께 벡터 데이터 저장소는 텍스트, 이미
[더테크=전수연 기자] 개발자 데이터 플랫폼 기업 몽고DB(MonggoDB)가 네트워크 불안정 상태에서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동기화를 돕는 기능을 선보였다. IoT 디바이스에서 실시간 데이터 저장 및 처리도 가능해 애플리케이션 관리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몽고DB는 디바이스,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 주요 클라우드 등 실시간 데이터가 생성·처리·저장되는 모든 곳에서 기업의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지원하는 기능 ‘몽고DB 아틀라스 포 더 엣지(MongoDB Atlas for the Edge)’를 공개했다고 19일 밝혔다. 아틀라스 포 더 엣지는 데이터 소스 및 경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시간 동기화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기업은 해당 기능을 통해 엣지 환경에서 분산된 애플리케이션 운영 시 발생하는 문제를 줄이고 가상환경에서 액세스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배포할 수 있다. 몽고DB는 엣지 디바이스가 제한된 데이터 스토리지, 비정기적 네트워크 액세스 등의 제약으로 지속된 최적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아틀라스 포 더 엣지는 단일된 통합 인터페이스에서 엣지, 클라우드 등 일관된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포 더 엣지의 주요 기능 중 고안전성 보장 및 엣지
[더테크=전수연 기자] 오라클(Oracle)이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사용되는 언어 및 플랫폼 자바(Java)의 성능과 안전성이 개선된 버전을 내놓았다. 개발자의 편의를 돕는 여러 기능이 추가돼 프로그램 운영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오라클은 프로그래밍 언어와 개발 플랫폼인 자바의 최신 버전 ‘자바 21’를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자바 21(오라클 JDK 21)은 성능, 안전성, 보안성이 개선된 형태로 개발자를 지원하는 플랫폼이 포함된다. 최신 자바 개발 키트(Java Development Kit, JDK)는 15개의 JDK 개선 제안(JDK Enhancement Proposals, JEPs)을 통해 업데이트와 개선 사항을 제공한다. 자바 21은 △오픈 JDK 프로젝트 앰버(Amber)의 언어 개선 △프로젝트 파나마(Project Panama) 개선 사항 △프로젝트 룸(Project Loom) 성능 업데이트 △유지 관리 및 폐기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젝트 파나마는 외부 함수·메모리 API를 도입해 자바 프로그램이 자바 런타임 외부 코드·데이터와 상호 운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PI는 자바 네이티브 인터페이스(Java Native Interface,
[더테크=조명의 기자] 두들린은 기업용 채용 관리 솔루션 ‘그리팅’과 그렙이 운영하는 개발자 평가·채용·교육 플랫폼 ‘프로그래머스’의 코딩 테스트를 연동했다고 18일 밝혔다. 그리팅은 대규모 채용 및 수시채용에 특화한 기업용 채용 관리 솔루션(ATS)이다. △여러 채용 사이트로 접수된 지원자 정보 통합 관리 △기업별 채용 단계 커스터마이징 △손쉬운 면접 일정 조율 △중복지원자 확인 등이 가능해 지원자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돕는다. 프로그래머스는 개발자들의 커리어 성장을 돕는 플랫폼으로 △개발자 커뮤니티 △개발자 채용 △코딩 테스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프로그래머스가 제공하고 있는 코딩 테스트는 프로그래밍 테스트와 실무 역량 테스트 두 가지로 구성돼 기본적인 코드 작성 능력뿐만 아니라 웹, 모바일, 머신러닝 등 직무에 대한 전문성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프로그래머스와의 연동을 통해 그리팅을 이용하는 채용 담당자들은 간편하게 코딩 테스트를 시행할 수 있게 됐다. 그리팅에서 테스트를 요청할 지원자를 선택하고 ‘코딩 테스트 요청하기’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지원자에게 코딩 테스트가 발송된다. 채용 담당자들은 코딩 테스트를 요청하기 위해
[더테크=전수연 기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설계·구축하는 DBA(Database Administrator,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중요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데이터 플랫폼 분야의 글로벌 기업 몽고DB(MonggoDB)가 데이터 관련 비즈니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사 소프트웨어 기술을 소개했다. 몽고DB는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몽고DB 닷로컬 서울(MonggoDB.local Seoul)’을 13일 개최했다. 기업들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시 많은 시간을 데이터 작업에 소요하고 있는 것이 현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사례를 언급하기 위해 사히르 아잠 몽고DB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업계의 성장과 전환, 변혁을 이끌 혁신가를 위한 소프트웨어와 데이터의 힘’을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섰다. 사히르 아잠 CPO는 “현대의 애플리케이션은 즉각적인 반응 및 개인화된 서비스가 요구된다”며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엣지 등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다. 몽고DB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회복력과 성능을 갖춘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몽고DB의 아틀라스(Atlas) 플랫폼이 그것이다. 아틀라스는 동적인 비즈니스 업계의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한다는 설명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유플러스(이하 유플러스)가 우수 개발인력 영입을 위해 자사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기술력을 소개하는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유플러스는 내부 개발자들과 네트워킹을 강화하는 데브렐 컨퍼런스인 'TECH+U+'를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 TECH+U+는 기술 현황을 소개하는 컨퍼런스와 데브렐(DevRel, Developer Relations) 이벤트를 결합한 것으로 올해 처음 실시된다. 이와 관련 유플러스 관계자는 더테크에 “일반적으로 해커톤은 미션을 주고 참가자들이 미션을 해결하는 방식의 공모전”이라며 “TECH+U+는 기술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예비 개발자들이 서로 소통하는 활동”이라고 말했다. 데브렐은 회사와 개발자 간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교육·커뮤니티·브랜딩·조직문화 개선 등의 활동을 의미한다. 유플러스는 플랫폼 사업자로 전환하겠다는 전략 하에 개발자 중심의 조직문화 조성을 위해 데브렐을 확대 시행하고자 컨퍼런스를 마련했다. TECH+U+는 국내 주요대학 컴퓨터공학 전공 졸업자 및 관련 업계 경력 엔지니어 등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유플러스는 자사 기술 개발 실무자와 임원이 직접 기술 현황을 소개하는 테크컨퍼런스와 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