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지영 기자] 비투엔이 AI·클라우드 선도 기업 메가존클라우드와 ‘클라우드 기반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사가 보유한 기술 역량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AI·클라우드·데이터 전반에 걸친 실질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공동 사업 기회를 다각도로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양사는 협약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 AI 솔루션 및 생성형 AI 플랫폼 사업 발굴 △데이터 및 AI 구축·운영 서비스 협력 △클라우드 전환·구축·운영 등 클라우드 사업 전반에 걸친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양사가 보유한 유통망과 기술, 솔루션을 공동 활용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국내외 협업 기반의 신규 사업 발굴에도 힘을 쏟을 예정이다. 비투엔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생성형 AI 기술의 실용적 적용 가능성을 확대하고,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사업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이창현 비투엔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메가존클라우드와의 유기적인 협업 체계를 갖추게 됐다”며 “생성형 AI와 클라우드 분야에서 양사의 역량을 결합해 실질적인 사업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IT 전문 컨설팅 기업 에티버스와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가 제조 산업의 디지털 혁신 관련 기술 노하우 공유를 위한 자리를 마련했다. 다양한 제조 산업 분야를 아우르는 ‘디지털 전환’의 도입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클라우드 기술 등이 강조됐다. 에티버스와 AWS는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코엑스에서 ‘2024 제조 고객을 위한 AWS 파트너 클라우드 솔루션 컨퍼런스’를 21일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키노트 세션으로 시작을 알렸다. 첫 순서는 정승희 AWS 제조 담당의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제조 혁신’이었다. 정 담당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하는 조직이 되기 위해서는 문화, 인력, 프로세서, 기술 요구사항을 모두 다뤄야 한다”며 “제조업 디지털 혁신에는 기술적 인프라 외에도 데이터 역량 강화, 혁신 친화적 조직문화 조성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AWS는 공장 현장, 엣지, 디바이스 등에서 데이터를 저장·수집할 수 있는 엔드투엔드 기능을 마련했다. 제조 기업은 이를 기반으로 생산성, 품질 향상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AWS의 서비스는 기업 피드백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플랫폼에 새로운 디
[더테크=전수연 기자] IT 컨설팅 전문기업 에티버스와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가 제조 산업의 디지털 혁신 관련 기술 노하우 공유를 위한 자리를 마련했다. 에티버스와 AWS는 서울 강남구 인터컨티넨탈 코엑스에서 ‘2024 제조 고객을 위한 AWS 파트너 클라우드 솔루션 컨퍼런스’를 21일 진행했다. 사진은 김준성 에티버스 클라우드플랫폼 사업본부 전무의 발표 모습.
[더테크=전수연 기자] 삼성SDS가 28일 서울 잠실캠퍼스에서 클라우드와 데이터 사업 파트너사를 대상으로 ‘2024 상반기 클라우드 파트너스데이’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신규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과 로드맵을 소개하고 생성형 AI를 적용한 서비스, 프로젝트 성공 노하우를 공유하며 파트너사의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에는 SCP, 데이터 사업을 함께하는 메가존 클라우드, 에스넷시스템, 경포씨엔씨 등 73개 파트너 기업, 200여 명의 담당자가 참석해 삼성SDS 클라우드와 데이터 분석 사업전략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2024 클라우드 파트너스데이에서 삼성SDS는 △SCP 신규 솔루션과 로드맵 △생성형 AI 플랫폼 패브릭스(FabriX) 기능 △데이터 분석 플랫폼 브라이틱스 AI(Brightics AI) 활용 방법에 대해 소개했으며 삼성SDS와 파트너사가 함께한 프로젝트 성공 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고객사 레거시 인프라를 SCP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로 전환한 사례와 브라이틱스 AI를 통해 공공 치안 서비스를 혁신한 사례 등을 자세히 소개하며 참석자들에게 사업 수주, 프로젝트 성공에 대한 인사이트를 전달했다. 이와 함께 삼성SDS
[더테크=전수연 기자] 급변하는 디지털 산업의 현재와 미래 모습을 전망할 수 있는 전시회가 시작됐다. 2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막한 ‘2023 대한민국 디지털 미래혁신대전’이다. 이번 행사는 오는 27일까지 3일간 진행된다. 이번 전시회는 ‘대한민국 디지털 미래혁신대전'이라는 이름을 증명하듯 전시회 부스들 중 상당수가 익숙한 이름의 국내 기업들로 구성돼 있었다. 다만 메타버스나 가상인간 같은 체험형 부스보다 클라우드 활용 사례, 산업 기술 등의 설명으로 꾸며져 다소 정적인 분위기였다. 멀티클라우드, K-Security, 디지털헬스케어 등 각각의 분야별로 부스를 나눠 관람객의 동선을 고려한 모습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었다. 우선 행사장 입구부터 존재감을 뽐내던 LG AI 연구원 부스를 방문했다. 전자와 화학, 통신 등으로 구분돼 있었다. 이 가운데 눈에 띈 것은 일반인에게는 생소할 수 있는 화학 분야 AI 모델. LG AI 연구원 관계자는 “해당 모델은 초거대언어모델로 화학 전문가에게 도움을 준다”며 “분자 텍스트를 자동으로 인식해 이미지로 표현한다. 환각현상을 줄여 검증된 툴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입구를 지나 많은 관람객이 몰린 '배민로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