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세계 AI CRM 시장을 선도하는 세일즈포스가 오는 6월 1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세일즈포스 월드투어 코리아 2024’를 개최한다. 세일즈포스 월드투어 코리아 2024는 지난해보다 확대된 행사 규모와 풍부한 세션 및 데모 부스를 통해 디지털 혁신 노하우와 인사이트를 공유할 계획이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AI CRM을 통한 고객 중심 비즈니스 혁신’을 주제로 산즈나 파울레카르 세일즈포스 제품 마케팅 부사장, 손부한 세일즈포스 코리아 대표 등이 기조연설에서 고객경험과 조직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제품 혁신과 비전을 발표한다. 아울러 다양한 산업군 및 업무 영역에서의 AI CRM 혁신과 관련된 35개 이상의 세션과 맞춤형 강연이 진행될 예정이다. 15개의 기업과 21개의 파트너사가 참여해 세일즈포스를 통한 디지털 혁신 노하우와 인사이트를 공유할 예정이다. 대표적으로 LG전자, 삼성바이오로직스, SK C&C, 교보생명, 버킷플레이스, 파르나스, TYM 등의 기업들을 포함하여 클라썸, 에어스메디컬, 스팬딧 등의 스타트업의 관계자도 연사로 등단할 계획이다. 세일즈포스는 CRM, 인공지능, 데이터, 신뢰라는 4가지 핵심 키워드를 바
[더테크=전수연 기자] AI CRM 전문기업 세일즈포스가 자사 지능형 생산성 플랫폼 슬랙(Slack)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세일즈포스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연례 IT 컴퍼런스 ‘트레일블레이저 디엑스(TrailblazerDZ, 이하 TDX)’에서 생성형 AI 기술을 탑재한 슬랙 AI를 공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슬랙 AI의 주요 기능은 △AI 기반 대화·맞춤형 검색 △채널, 스레드 요약 △다이제스트(출시 예정) 등이다. 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 업무 우선순위에 따라 원활한 데이터 공유, 협업이 가능한 업무 환경 구축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슬랙 AI를 통해 데이터 분석 등 고부가가치를 위한 업무에 시간을 할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기업은 내부 임직원들의 업무 생산성 향상과 연결성 확보를 위해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 할 수 있다. AI 기반 검색 기능은 사용자가 슬랙 내에서 궁금한 점을 질문하면 연관 슬랙 메시지를 기반으로 작성된 간결한 답변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마케팅 담당자가 새로운 마케팅 캠페인, 프로젝트, 회사 정책, 과거 의사결정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을 때 AI 기반 검색 기능을 사용하면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을
[더테크=전수연 기자]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 전문기업 워크데이(Workday)가 한국 비즈니스를 총괄하는 신임 워크데이코리아 지사장으로 정응섭 전 슬랙 한국지사장을 선임했다고 3일 밝혔다. 정응섭 신임 워크데이 코리아 지사장은 삼성물산과 i2테크놀로지(현 BlueYonder), SAP 등을 거치며 25여 년간 IT 관련 영업과 비즈니스를 경험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문가로서 각 조직의 성장을 주도했다. SAP에서는 석세스팩터스와 같은 클라우드 인사관리(HCM) 사업을 총괄했으며 10년 동안 다양한 리더 역할을 수행했다. 워크데이에 함류하기 전 정 지사장은 업무용 메신저인 슬랙의 초대 한국 지사장으로 슬랙의 한국비즈니스를 총괄했다. 워크데이는 오늘날의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기업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노력을 가속화해 비즈니스 가치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툴을 요구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AI와 머신러닝 기반의 워크데이 플랫폼은 사용자의 중요한 자산인 직원과 자금을 관리할 수 있는 지능형 디지털 백본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정응섭 지사장은 국내 기업이 이러한 비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기업, 공공 부문 사용자와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정
[더테크=조재호 기자] 세일즈포스의 슬랙(Slack)이 직장인 업무 성향을 5가지 페르소나로 분류하고 소통과 일하는 방식, 신기술 도입에 대한 인사이트를 포함한 ‘직장 내 페르소나’에 대한 연구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슬랙의 ‘직장 내 페르소나’ 연구를 13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시장조사기관 유고브(Yougov)와 협력해 한국을 비롯해 미국과 영국, 프랑스, 독일, 인도, 일본, 호주, 싱가포르 등 9개 시장 1만5000명의 사무직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응답자들은 업무와 소통 방식, 신기술 도입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는데 △탐구형 (30%) △자율형(22%) △사교형(22%) △문제해결형(16%) △표현형(10%) 등 5가지 유형의 페르소나와 그에 따른 업무방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유형, 성격, 나이 등에 따라 인공지능(AI)과 신기술을 바라보는 견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형의 46%, 표현형의 41%가 AI 활용이 업무 생산성을 올려준다고 생각한다. 이는 두 유형 모두 48%의 응답자가 AI에 흥미를 느끼는 비율로 이어져 긍정적인 견해로 나타났다. 크리스티나 잰저(Christina Janzer) 슬
[더테크=조명의 기자] 세일즈포스가 서울 논현동 에스제이쿤스트할레에서 ‘슬랙 투어 코리아(Slack Tour Seoul ‘2023)’ 행사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행사를 통해 세일즈포스는 지능형 생산성 플랫폼 ‘슬랙’의 강력한 기능을 소개하는 것은 물론 기업이 슬랙을 활용해 비즈니스 효율성을 높이고 협업 생산성 촉진을 위한 인사이트와 실제 도입사례를 소개한다. 아울러 조선대학교 부속고등학교, 에어프레미아, 삼성전자, 엔픽셀 등 실제로 현업에서 슬랙을 사용하고 있는 산업군의 디지털 혁신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기업은 슬랙 AI를 활용해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데이터 공유 및 활용 역량 강화를 지원함으로써 비즈니스 전반에서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해 협업을 촉진하고 데이터와 정보를 간단하게 공유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번 행사에서는 슬랙 코리아 정응섭 대표를 포함한 슬랙 관계자들이 기조연설자로 등단해 슬랙이 어떻게 AI와 자동화를 실현해 업무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지에 관한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슬랙 캔버스’, ’슬랙 리스트’, ‘슬랙 AI’, ‘슬랙 세일즈
[더테크=조명의 기자] 기업용 생산성 플랫폼 슬랙(Slack)에 대화형 AI 서비스가 탑재된다. 슬랙은 대화형 AI 서비스 ‘Slack GPT’를 포함한 신규 기능을 10일 발표했다. Slack GPT는 네이티브 AI 기능을 통해 대화 요약, 메시지 초안 작성 등을 지원하고, 다른 생성형 AI 앱과의 통합을 통해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네이티브 AI 기능은 슬랙 인터페이스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목적 지향형 AI 기능으로 대화의 맥락에 맞게 AI기능을 지원해준다. Slack GPT를 활용해 클릭 한 번으로 읽지 않은 메시지를 빠르게 확인하거나 자동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아울러 Slack GPT에게 허들 참여를 요청하면 미팅 내용을 실시간으로 요약해주고 그 다음 진행돼야 할 업무까지 제시해준다. 새롭게 출시된 슬랙 캔버스에도 AI 지원이 적용된다. 슬랙 네이티브 AI 기능은 현재 출시를 앞두고 있다. 통합(Integrations) 기능을 활용하면 고객이 이미 슬랙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형언어모델을 빠르고 안전하게 확장할 수 있다. 슬랙, 대형언어모델(LLMs) 및 소프트웨어 툴 생태계를 효율적으로 자동화하는 노코드 워크플로우를 생성하고, 슬랙의 워크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