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2023년 리튬이차전지 양극재 수요량(사용량)이 219만 톤, 양극재 출하량은 294만 톤 수준을 기록했다. 작년 업체 M/S를 살펴보면 전체 양극재 출하량 293.8만 톤 중 LFP가 차지하는 출하량은 156.8만 톤으로 약 53%를 차지했다. SNE리서치는 2024년 1분기 LIB 4대 소재 분기별 시장 및 SCM 분석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삼원계와 LFP를 모두 합친 실적에서는 Hunan Yuneng이 50.7만 톤 출하로 1위를 기록했으며 Dynanonic이 21.4만 톤 출하로 2위, Hubei Wanrun이 16.4만 톤 출하로 3위를 기록했다. Lopal까지 10.7만 톤으로 작년 10만 톤 이상 출하를 기록한 업체가 집계됐다. 삼원계 양극재 업체만 보면 Ecopro가 12만 톤 출하로 1위를 기록했고 Ronbay가 9.95만 톤 출하로 2위, B&M 9.5만 톤, L&F 8.6만 톤, LGC 7.4만 톤으로 집계됐다. 그 뒤로 XTC, Umicore, Reshine, Easpring, SMM, Nichia, Cylico, PoscofutureM이 5~7만 톤 내외의 출하를 기록했다. 2024년
[더테크=이지영 기자] 포스코퓨처엠이 일본 혼다와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 합작사업에 나선다. 포스코퓨처엠은 혼다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합작사를 설립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올해 최종 계약 체결을 목표로 하며 합작사에서 생산하는 양극재는 혼다가 북미에서 제조하는 전기차 배터리용으로 공급한다. 이번 합의에 앞서 포스코 그룹은 혼다와 2023년 4월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인 양·음극재, 차세대 배터리 등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키로 했다. 이후 빠르게 성장하는 북미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 성능과 원가를 좌우하는 핵심 소재인 양극재를 현지에서 생산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합작에 나서기로 했다. 양사는 포스코퓨처엠의 배터리 소재와 혼다의 완성차 기술력을 결합해 성능과 안정성을 갖춘 전기차를 북미 시장에 공급함으로써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합작으로 포스코퓨처엠은 2030년까지 연간 200만대 이상의 전기차 생산체제 구축을 추진 중인 혼다를 새로운 고객으로 확보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하게 됐다. 한편, 포스코퓨처엠은 국내 배터리 소재 회사 중 처음으로 완성차사와
[더테크=이지영 기자] 에코프로가 이차전지의 핵심 광물인 니켈 확보를 위한 투자를 늘려가고 있다. 에코프로는 최근 1100만달러(약 149억원)를 투자해 중국 GEM이 인도네시아에서 운영 중인 니켈 제련소 ‘그린 에코 니켈’ 지분 9%를 취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에코프로는 투자 지분에 상응하는 니켈을 추가로 확보했다. 에코프로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대응을 위한 ‘그린 에코 니켈’의 지분을 점진적으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그린 에코 니켈’은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에 있는 제련소로 연간 2만톤의 니켈을 생산한다.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에서 니켈 매장량과 생산량이 가장 많은 나라로 꼽힌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오는 2027년까지 약 20만톤의 전구체 생산을 목표로 한다. 에코프로 내부적으로 이를 위해 10만톤의 니켈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서 에코프로는 모로왈리 산업단지(IMIP) 내 니켈 제련소 ‘QMB’ 1, 2기 지분 투자를 통해 니켈 공급망을 확대한 바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공급받는 니켈은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이차전지용 전구체 원료인 황산니켈로 전환한 뒤 전구체로 제조해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이엠 등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사업 확대를 위한 본격적인 공급망 구축에 나섰다. LG에너지솔루션은 22일 중국의 양극재 생산업체인 상주리원(常州锂源)과 전기차 및 ESS(에너지저장장치)용 LFP 배터리 양극재 장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급계약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LFP 배터리 시장 경쟁력 확대에 더욱 속도를 낼 전망이다. 공급물량은 LFP 배터리 양극재 16톤으로 올해부터 5년 동안 진행된다. 이는 400km 이상 주행할 수 있는 전기차 100만대 분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양사는 시장 상황에 따라 향후 추가 공급계약도 논의할 예정이다. LG에너지솔루션 측은 “30여년간 쌓아온 업력과 압도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품경쟁력도 한층 더 끌어올려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말부터 중국 남경공장에서 ESS용 LFP 본격 생산을 시작했다. 전기차용 LFP의 경우 2025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아울러 유럽, 북미 지역 내 신규 공급처 확보를 위해 다양한 고객사들과 논의 중이다. 상주리원은 2021년 중국 남경에서 설립된 LFP용 양극재 생산
[더테크=이지영 기자] 포스코퓨처엠이 광양에 이어 포항공장에서도 고성능 전기차 배터리 소재인 단결정 양극재 공급에 나섰다. 포스코퓨처엠은 미국 얼티엄셀즈에 공급하는 양극재를 예정보다 앞선 시기에 출하했다고 6일 밝혔다. 포항공장에서 양산하는 제품은 니켈 비중 86%의 NCMA 단결정 양극재로 제너럴모터스와 LG에너지솔루션의 미국 배터리 합작사 얼티엄셀즈에 공급된다. 포스코퓨처엠은 NCMA 단결정 양극재를 고온 소성·균질화 코팅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난 3월부터 광양공장에서 양산을 시작했다. 급증하는 주문에 대응하기 위해 포항공장 양산시점을 2024년 1월에서 2개월 가량 앞당겨 11월부터 라인 가동을 시작했다. NCMA 단결정 양극재는 핵심원료인 니켈(N)·코발트(C)·망간(M)·알루미늄(A)을 하나의 결정 형태로 결합해 에너지밀도를 높이고 열안정성과 수명도 향상시킨 고부가가치 제품이다. 전기차 고성능화 트렌드에 맞춰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향후 전기차의 주행거리뿐 아니라 안정성·수명 성능 극대화를 위해 국내외 양극재 생산기지에 단결정 라인을 지속 확대하고 다양한 입자 크기의 단결정 양극재를 양산할 계획이다. 아울러 포항 양극재 공장은 현
[더테크=문용필 기자] LS그룹이 이차전지 소재 분야 진출을 위해 설립한 LS-엘엔에프 배터리솔루션(이하 LLBS)이 국내외 정부당국의 설립 승인을 받고 ㈜LS의 자회사가 되됐다. LS그룹은 이차전지 양극소재인 전구체 생산을 위한 준비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LS, 양극재 기업과 JV설립…‘이차전지 소재 밸류체인’ 구축) 24일 LS에 따르면 LLBS는 한국과 중국, 폴란드, 베트남 등의 경쟁 당국으로부터 ‘양사의 신설회사 설립이 세계 전구체 시장과 전후방 시장에서 경쟁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판단을 받고 법인 설립 승인을 모두 획득했다. 이에 따라 LS는 전구체를 생산하기 위한 공장 및 설비 설계, 전문 인력 채용 등에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 LS는 2026년 초 초도 양산을 계획하고 있다. 앞서 LS는 구자은 회장 취임 이후 그룹의 성장을 위한 비전2030으로 ‘CFE(Carbon Free Electricity; 탄소 배출이 없는 전력)와 미래산업을 선도하는 핵심 파트너’를 선언하고 배터리와 전기차, 반도체 관련 사업에 뛰어들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아울러 지난 6월 하이니켈 양극재 전문회사 엘앤에프와 함께 양극재의 핵심 기
[더테크=문용필 기자] 배터리 양극재 생산기업인 에코프로비엠이 캐나다 퀘벡주에 공장을 설립한다. 지난 4월 헝가리 공장 착공으로 유럽 생산라인을 구축하게 된데 이어 북미지역으로도 영역을 확장하게 됐다. 특히 ‘K-배터리 3사’ 중 하나인 SK온, 글로벌 완성차 업체인 포드(Ford)사와의 양극재 합작공장이라는 점에서 안정적인 운영과 견고한 밸류체인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코프로비엠은 자사와 SK온, 포드 등 3사 경영진이 17일 캐나다 및 퀘벡주 정부 주관 발표행사에서 투자금액과 지역, 생산능력 등 투자 계획 및 일정을 상세하게 소개했다고 밝혔다. 해당 공장은 연간 4만5000톤의 이차전지 양극재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3사는 퀘벡주에 위치한 베캉쿠아시 산업단재 내에 총 12억 캐나다달러(약 1조2000억원)를 투자한 합작공장을 건설한다. 베캉쿠아는 세인트로렌스강과 통하는 항구를 보유하고 있어 물류시설과 산업 인프라가 갖춰져 있다. 아울러 퀘벡지역 자체가 니켈과 코발트 등 이차전지 핵심 광물이 풍부한 지역이기도 하다. 운영 주체는 에코프로비엠이 지난 2월 설립한 현지법인 ‘에코프로 캠 캐나다’. 여기에 SK온과 포드가 지분을 투자하는 형식이다.
[더테크=문용필 기자] ㈜LS가 양극재 핵심 기술 소재인 ‘전구체(선행물질)’ 사업을 위해 하이니켈 양극재 전문회사와 함께 합작회사를 설립한다. 이를 통해 원료가공부터 전구체와 양극재 생산까지 이어지는 ‘이차전지 밸류체인’이 완성될 전망이다. ㈜LS는 엘앤에프와 손잡고 ‘엘에스-앨엔에프배터리솔루션’(가칭)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양사는 전북 새만금사업단지를 거점으로 이차전지 소재인 전구체 공장을 연내 착공한다. 전구체는 니켈과 코발트, 망간 등이 혼합된 화합물인데 전구체에 리튬을 더하면 배터리 4대 물질 중 하나인 양극재를 만들 수 있다. 양극재는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등과 이차전지 핵심소재로 사용되고 전기차와 가전 등의 배터리로 사용된다. 양산 돌입 시기는 오는 2025년에서 2026년이다. 이후 지속적인 증산을 통해 2029년에는 12만톤을 생산한다는 원대한 목표를 잡았다. 총 사업규모는 1조원 이상에 이를 전망이다. 유망기업과 함께 전구체 생산라인을 갖추게 됨에 따라 LS그룹은 체계적인 이차전지 소재 밸류체인을 가동할 수 있게 됐다. 비철금속 제련 기업인 LS MnM이 제련 과정의 부산물과 광신원물, 공정 스크랩 리사이클링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