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지난해 국내 500대 기업의 영업이익이 지난 2023년 대비 66%, 73조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시장 호조로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의 영업익 증가 폭이 2023년 대비 850% 넘었다. 반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과 업황 부진 등의 여파로 배터리, 석유화학, 건설 업종은 실적이 급감했다. 특히 건설업 불황 여파로 현대건설의 영업익은 1년 새 2조원 넘게 감소했다. 2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2024년 지정 500대 기업 중 결산보고서를 제출한 상장사 253개사를 대상으로 지난해 연간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전체 매출액은 2523조908억원으로 2023년 2384조262억원 대비 5.8%(139조646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오름세는 더 가팔랐다. 지난해 500대 기업의 영업익은 183조6690억원으로, 2023년 110조6428억원 대비 66.0%, 금액으로는 73조262억원이나 급증했다. 또한 같은 기간 순이익도 78조4977억원에서 137조59억원으로, 무려 74.5%(58조5082억원) 확대됐다. 이같은 호실적은 글로벌 반도체 시장 호조로 SK하이닉스·삼성
[더테크 이승수 기자] 지난해 경기 부진 여파로 주요 대기업의 사외이사 평균급여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시가총액 500대 상장회사 중 이달 7일까지 주주총회소집공고를 공시한 기업 247곳을 대상으로 사외이사 평균급여를 조사한 결과 상위 10개 기업 가운데 7곳이 급여를 줄인 것으로 확인됐다. 평균 급여는 삼성전자가 1억8333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지난 2023년 2억316만원 대비 1983만원(9.8%) 감소했지만 1위를 지켰다. 평균급여는 사외이사의 보수총액을 연 평균인원으로 나눠 계산했다. 다만 평균급여의 계산 기준이 기업·연도별로 다르게 공시돼 개별 공시와는 차이가 날 수 있다. 2년 연속 2위를 지킨 SK텔레콤의 평균급여도 1억5677만원으로 전년 대비 1189만원(7.0%) 줄었다. 또 SK하이닉스(1억5367만원, 전년대비 699만원 ↓), SK(1억5200만원, 40만원 ↓), SK스퀘어(1억4600만원, 1350만원 ↓), SK아이이테크놀로지(1억2175만원, 175만원 ↓), 삼성물산(1억1400만원, 3220만원 ↓) 등도 평균 급여가 줄었다. 반면 POSCO홀딩스(1억3121만원,
[더테크=조재호 기자]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도 국내 100대 기업의 경제기여액이 전년보다 31조원 늘어난 1526조원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전자가 기여액 규모 1위를 지킨 가운데 현대차가 10조원 이상 늘어나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어섰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관련 기업들이 업황 호조로 경제기여액이 늘어났고 원유가 상승 여파로 석유화학 계열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경제기여액이란 기업이 경영활동으로 창출한 경제적 가치의 총액으로 기업이 이해관계자에게 지급한 비용의 합계를 말한다. CEO스코어는 10일 500대 기업 중 경제기여액을 산출할 수 있는 매출 상위 100곳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경제기여액은 1526조원으로 전년보다 2.1%인 31조 늘어났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100대 기업의 매출액은 1958조원으로 전년 대비 1.7%인 33조원이 줄었다. 글로벌 경기침체 여파로 수출이 줄고 내수 부진 등으로 매출액 자체는 줄었지만, 경제 전반에 대한 기여도는 늘어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100대 기업이 협력사를 통해 창출한 경제기여액은 1277조원으로 전년 대비 0.8% 증가했다. 이는 해당 기업이 협력사의 원재료나 서비스를 구매한 비용이다. 임직원의 급여,
[더테크=조재호 기자] 지난 1984년 ‘카폰’ 서비스를 시작으로 올해 40주년을 맞은 한국 이동통신 산업이 연간 78조원 규모에 경제적 유발효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통신 산업의 성장뿐 아니라 디지털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하면서 인프라를 고도화한 결과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지난 9일 국내 이동통신 산업의 연관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내놨다. 지난 2020년 국내 이동통신 산업의 총 생산유발액은 78조2102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이동통신 산업에서 파생된 직접 생산 유발액이 46조7599억원, 통신과 연관성이 큰 다른 산업 생산 유발액도 31조450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985년 2조 4105억 대비 32배 커진 수치다. 이번 조사는 CEO 스코어가 1984년 국내 이동통신 서비스 40주년을 맞아 관련 산업을 비롯해 전후방 산업이 어떤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했는지 조사하기 위해 한국은행이 작성한 산업연관표를 활용해 분석했다. 이동통신 서비스의 자체 생산유발액은 1985년 2조644억원에서 2020년 46조7599억원으로 약 22배 성장했다. 이동전화 시장은 지난 1991년 무선호출 83만7000명, 이동전화 16만3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자동차가 기업의 ESG 가치를 평가해 산정하는 그레이트 컴퍼니 종합평가에서 1위에 올랐다.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올린 현대차는 고속성장 분야를 비롯해 투자, 글로벌경쟁력 평가에서 1위를 기록했다. 현대차가 종합 1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까지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던 삼성전자는 2위를 기록했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2024년 선정 매출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비금융기업 413곳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273곳을 대상으로 경영평가를 실시한 결과 현대자동차가 800점만점에 최고점인 662.2점을 받아 종합 1위를 기록했다고 22일 밝혔다. 올해로 8회차를 맞이한 500대 기업 경영평가는 CEO스코어가 매년 국내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 데이터를 평가해 발표하는 종합평가로 △고속성장 △투자 △글로벌경쟁력 △지배구조 투명 △건실경영 △일자리 창출 △양성평등 △사회공헌 및 환경보호 등 총 8개 부문에 걸쳐 평가를 진행한다. 2024년 경영평가에서 현대자동차는 고속성장, 투자, 글로벌경쟁력 등 3개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종합점수 662.2점으로 사상 첫 1위 기업으로 선정됐다. 지난해까지 4년
[더테크=조재호 기자] 올해 1분기 국내 500대 중견기업의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7% 소폭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6.6%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 침체 장기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긴축 경영을 통해 수익성 개선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업종별로는 불닭볶음면의 세계적인 인기를 앞세운 삼양식품을 필두로 식음료 부문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IT·전기·전자 업종도 대기업에 이어 중견기업까지 좋은 실적을 보였다. 반면에 의료기기와 철강 부문은 각각 엔데믹과 시황 악화 등의 영향으로 부진했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매출 기준 500대 중견기업 중 이달 16일까지 실적을 발표한 496개사를 대상으로 2024년 1분기 실적을 조사했다. 그 결과 이들 기업의 1분기 매출액은 57조504억원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전년 동기 55조5596억원에서 2.7%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도 2조9487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16.6% 늘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전체 13개 업종 중 9개 업종의 영업이익이 증가세를 보였다. 이 중에서 IT·전기·전자 업종의 영업이익이 2264억원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지난해 반
[더테크=조재호 기자] 반도체를 포함한 IT·전기·전자 업황 회복으로 1분기 국내 500대 기업의 영업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7.1%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K-반도체를 필두로 주요 대기업들이 올해 상승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와 공기업 부문이 큰 폭의 성장세를 기록했고 자동차·부품의 영업익도 확대됐다. 반면 석유화학과 철강 등은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유가 상승, 수요 악화, 중국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부진한 모습이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17일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이달 16일까지 실적을 발표한 334개사의 1분기 실적을 조사했다. 이들 기업의 1분기 매출액은 772조7862억원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768조9852억원 대비 0.5% 증가한 수치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영업익은 큰 폭으로 개선됐다. 올 1분기 500대 기업의 영업익은 50조561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2조1749억원대비 57.1% 급증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19개 업종 중 절반 이상인 11개 업종에서 영업익이 증가했다. 이 중에서 IT·전기·전자 업종은 반도체
[더테크=조명의 기자] 현대모비스와 SK텔레콤, 고려아연, 신세계 등 10개 기업이 지난 2000년부터 올해 2분기까지 94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유럽 재정위기,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글로벌 경제위기를 이겨내고 23년 이상 매분기 흑자를 이어온 것이다. 13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내 500대 기업 중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352곳의 실적을 조사한 결과, 금융감독원에 분기보고서를 제출하기 시작한 2000년부터 올 2분기까지 94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한 기업은 KT&G, SK텔레콤, 한섬, 고려아연, 에스원, CJ ENM, 신세계, 현대모비스, 유한양행, 국도화학 등 10곳으로 집계됐다. 삼성화재(93분기), 금호석유화학(91분기), 광동제약(90분기), 고려제강(90분기), LG생활건강(89분기), 엔씨소프트(88분기), GS EPS(87분기), LS일렉트릭(87분기), 네이버(86분기), 카카오(86분기), 현대건설(86분기), 포스코인터내셔널(86분기) 등도 매 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오고 있다. 이 중 삼성화재, GS EPS, 네이버는 분기보고서를 제출하기 시작한 이후 매 분기 흑자를
[더테크=조명의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500대 중견기업은 영업이익이 19.6% 감소했지만 설비투자는 오히려 1.1%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천보, 금양 등 이차전지 관련 기업은 설비투자를 늘린 반면 네패스, 솔루스첨단소재 등 반도체 관련 기업은 투자를 줄였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중견기업 중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비교 가능한 490개 기업을 대상으로 상반기 설비투자액을 조사해 23일 발표한 결과, 총 6조8258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6조7543억원)보다 1.1%(715억 원) 늘어난 수치다. 이들 중견기업의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9.6% 감소한 5조8693억 원이다. 영업이익이 줄었음에도 미래를 위한 투자를 늘린 셈이다. 업종별로 보면 이차전지가 포함된 석유화학업종의 설비투자가 가장 크게 증가했다. 석유화학업종 42개사는 올 상반기 1조876억 원을 투자해 전년 동기 대비 3479억 원(47%)이나 증가했다. 2위는 자동차·부품 업종으로, 46개사가 올 상반기 7284억원을 투자해 전년 동기보다 2280억원(45.6%)을 늘렸다. 3위는 운송업종으로, 10개사가 2982억 원을 투자해 전년 동
[더테크=조명의 기자] 지난해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합산 경제기여액이 역대 처음으로 160조 원을 넘기면서 삼성전자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삼성전자 법인세가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삼성전자 개별로는 1위를 지켰다. 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500대 기업(공기업·금융사 제외) 중 경제기여액을 알 수 있는 매출 상위 100곳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100대 기업의 경제기여액은 1472조7942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7% 증가했다. 같은 기간 100대 기업의 매출액은 전년보다 20.9% 늘어난 1994조4791억 원으로 집계됐다. 경제기여액은 기업 운영과정에서 내는 세금, 협력사 매출, 주주배당 등 경제적 가치의 총액을 뜻한다. 항목별로 보면 100대 기업이 협력사를 통해 창출한 경제기여액이 1244조4023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임직원(172조80억 원), 주주(26조266억 원), 정부(15조835억 원), 채권자(14조870억 원), 사회(1조1869억 원)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채권자와 협력사 부문에서 큰 폭으로 확대됐다. 금융기관에 지불하는 이자비용으로 구성된 채권자 기여액은 지난해 36.2%가 늘며 가장 큰 증
[더테크=조명의 기자] 국내 상장 중견기업의 올해 상반기 순고용은 2080명으로 전년 말 대비 0.9%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고용을 0.6% 늘린 대기업보다 0.3%포인트 높았다. 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500대 상장 중견기업의 국민연금 가입자 기준 고용현황을 조사한 결과, 올해 상반기 순고용은 전년 말 대비 0.9% 늘었다고 밝혔다. 올해 상반기 순고용은 2080명이다. 순고용 인원은 국민연금 신규 가입자격 취득자에서 상실자를 뺀 수치다. 올해 상반기 중 상장 중견기업의 국민연금 가입자격 신규 취득자는 2만7927명, 상실자는 2만5847명이다. 업종별로는 전체 13개 업종 중 △생활용품(-1.0%, -135명) △유통(-0.9%, -20명) △IT전기전자(-0.3%, -125명) 등 3개 업종을 제외한 10개 업종에서 순고용이 늘었다.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운송업으로 6.2%(281명)가 늘었다. 의료기기업(4.5%, 117명), 조선·기계·설비업(2.9%, 365명)이 그 뒤를 이었다. 순고용 인원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업종은 서비스업(2.8%, 813명)과 제약·바이오업(1.6%, 397명)가 각각 1, 2위에 올랐다.
[더테크=조명의 기자] 국내 대기업들이 올 상반기 1만 명 가까이 고용을 늘린 것으로 집계됐다. 조선‧기계‧설비, 서비스, 식음료, 석유화학, 공기업, 건설‧건자재 등의 업종에서 1000명 이상씩 고용이 늘었고, IT전기전자, 유통, 증권 등 업종에서는 감소했다. 기업 중에는 삼성전자가 유일하게 순고용을 2000명 이상 늘려 500대 기업 중 순고용 증가 폭이 가장 컸다. 2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매출액 기준 500대 기업 중 합병·분할 등이 있었던 25곳을 제외한 475개 기업의 국민연금 가입자 기준 고용현황을 조사한 결과, 올 상반기 순고용이 전년말 대비 9314명 증가했다. 순고용 인원은 국민연금 신규 가입자격 취득자에서 자격 상실자를 뺀 수치로 순증감 인원을 의미한다. 조사결과 올 상반기 500대기업의 국민연금 가입자격 누적 취득자는 14만6970명, 상실자는 13만7656명이었다. 국민연금 상실자는 전년 상반기 15만232명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취득자는 전년 상반기 16만4877명 대비 큰 폭으로 줄었다. 업종별로는 전체 21개 업종 중 조선‧기계‧설비를 비롯한 18개 업종에서 순고용이 늘었다. 이중 조선‧기계‧설비 업종이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