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해 소재부품기술개발에 8410억원 투입..."해외의존도 완화"

 

[더테크 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2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으로 지난해 대비 22% 증가한 8,410억원을 지원한다고 3일 밝혔다. 

 

핵심소재 개발을 시작으로 소재-부품-모듈-수요 간 모든 단위기술에 걸쳐 연계 가능한 ‘패키지형’ 과제로 7,358억원을 지원하고, 이종기술 결합, 업종 연계 및 단기 사업화를 위해 도전적 융·복합 소재부품을 개발하는 ‘이종기술융합형’ 과제로 1,052억원을 지원한다.

 

소부장 경쟁력강화를 위해 185개 소부장 핵심품목의 공급안정성 강화를 흔들림없이 추진하고, 으뜸기업 전용R&D, 수요-공급기업 협력모델, 특화단지 공동R&D 등 수요기업과 협력을 지원한다.

 

희소금속 대응 과제 신설, 미래선도품목 투자를 통해 한계 극복 및 차세대 소부장 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또한 투자기관 연계하여 다양한 통로로 우수한 소부장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주관연구개발기관 등을 선정하기 위해 올해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의 신규기획 74개 과제 및 자유공모형 1차 과제를 공고했다. 

 

이번에 공고한 74개 과제는 산업계 수요조사를 통해 접수된 886건을 중심으로 산업 분야별 기술위원회와 산·학·연 평가 등을 통해 선정되어 최근 기업의 니즈와 산업계 트렌드가 적극 반영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공급망 위기 극복 경험을 계기로 첨단 소부장 국산화를 위한 수요-공급기업, 대-중-소 기업간 연대와 협력이 확산되기를 기대한다”며, “그간 발표한 소부장 정책 및 기술개발 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하여 해외의존도가 높은 핵심품목에 대해서 대외리스크에 흔들리지 않는 확실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