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국내 전기차 보급이 올해 20만대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기·수소차 누적 보급량도 100만대 돌파를 눈앞에 두며, 한국의 친환경 차량 전환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김성환)는 2025년 11월 13일 기준 전기차 연간 보급대수가 20만 1천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종전 최고치였던 2022년 16만 4천대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2011년 보급사업 개시 이후 2021년에 최초로 연 10만대를 달성한 뒤, 4년 만에 두 배 이상 증가한 셈이다.
전기차 보급은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왔다. 2011~2016년 1만 2천대 수준에서 출발해 2018년 3만대, 2021년 10만대, 2022년 16만대, 그리고 올해 20만대를 넘어섰다.
차종별 보급량은 전기승용 17만 2천대, 전기승합 2천 4백대, 전기화물 2만 6천대이며, 국산 점유율은 승용 55%, 승합 64%, 화물 93%로 나타났다. 특히 전기버스 국산 비중은 2023년 46%까지 떨어졌으나, 2024~2025년에는 63% 수준으로 회복됐다.
수소차 역시 올해 5천 9백대가 보급되며 최근 2년 대비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기·수소차 누적 보급대수는 95만대에 도달해 내년 초 100만대 돌파가 확실시된다.
전기차·수소차 보급 확대의 주요 요인으로는 ▲연초 보조금 지침 확정에 따른 사업 조기 착수 ▲제조사의 신차 출시 확대 ▲충전 인프라 고도화가 꼽힌다. 국내 충전기는 2020년 대비 급속은 1만기 → 5만 2천기, 완속은 5만 4천기 → 42만기로 크게 증가하며 소비자 편의성을 높였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1년부터 전기차·충전 인프라 구축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기술 발전과 가격 경쟁력을 반영한 보조금 체계 개선을 지속해왔다. 특히 성능 대비 가격이 우수한 차량에 인센티브를 주어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전기차가 출시되도록 정책 방향을 강화하고 있다.
정부는 향후 보급세를 유지해 2030년·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보조금 체계를 고도화하고, 국내 부품 및 차량 제조 생태계 전반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을 확대할 방침이다.
김성환 장관은 “전기차 보급이 빠르게 늘며 탈탄소 전환의 핵심축이 본격적으로 자리 잡았다”며 “2030년 신차의 40%, 2035년 70% 이상이 전기·수소차가 되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 단순한 보급 확대를 넘어 자동차 산업 경쟁력과 일자리 창출까지 이어지도록 정책을 촘촘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