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국내 첫 ESS용 LFP 배터리 생산…2027년 가동

글로벌 ESS 90% 채택한 LFP

 

[더테크 이승수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충북 오창에서 국내 최초로 ESS(에너지저장장치)용 LFP 배터리 생산에 돌입한다. 글로벌 시장에서 ‘완전한 대세’가 된 LFP 기반 ESS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오창 에너지플랜트가 한국형 LFP 생태계 구축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17일 충북도와 함께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 행사’를 열고, 국내 에너지 산업 생태계 강화와 기술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이외 지역 기업 중 유일하게 ESS용 LFP 배터리 양산 체계를 갖췄다. 2024년 중국 남경 공장에서 ESS용 LFP 생산을 시작했고, 올해 6월부터는 미국 미시간 공장에서도 생산을 확대했다.

 

이같은 양산 경험을 기반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글로벌 업체들과 대형 ESS 프로젝트를 다수 수주했으며, 2024년 3분기 말 기준 약 120GWh 규모 수주잔고를 확보했다. 추가 프로젝트 계약도 지속 논의 중이다.

 

회사는 해외에서 쌓은 성과와 노하우를 오창 플랜트로 이전, 국내 ESS 산업 생태계 강화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충북도 및 국내 소부장 기업과의 공동 기술 개발, 단계적 공급망 협력도 병행해 LFP 배터리 국산화 기반을 확대한다.

 

ESS 시장에서 LFP 배터리는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ESS의 90% 이상이 LFP 기반이며, 향후 비중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유럽 ESS 프로젝트 역시 대부분 LFP 기반으로 진행됐다. 

 

안전성 검증도 마쳤다. LG에너지솔루션의 LFP 제품은 UL9540A 기준 충족, 대형 화재 모의 시험에서도 열폭주 시 화염 없이 연기만 발생, 인접 모듈로의 전이도 없었다. 유해가스·폭압 역시 최소 수준에 머물러 구조적 안전성이 확인됐다.

 

회사는 올해 말 생산 라인 구축을 시작해 2027년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초기 생산량은 1GWh 규모로 시작하며, 시장 수요에 따라 생산능력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등 LFP 생태계 강화를 위한 협력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이복원 충북도 경제부지사는 “오창에서 국내 최초로 ESS용 LFP 배터리를 생산하는 것은 한국 ESS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하는 시점”이라며 “충북이 글로벌 이차전지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형식 LG에너지솔루션 ESS전지사업부장은 “오창 에너지플랜트는 제품 개발과 제조를 총괄하는 ‘마더 팩토리(Mother Factory)’”라며 “ESS용 LFP 배터리 생산은 국내 ESS 산업의 새로운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