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국립전파연구원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가 11월 18일부터 서울에서 IEC 산하 고주파수 전자파 내성시험 국제표준화 회의를 공동 개최한다. 5G·6G 시대의 고주파 환경 대응과 자율주행, 항공·철도 안전 장비의 국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국립전파연구원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 11월 18일부터 21일까지 서울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강남에서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산하 기술위원회 SC77B 고주파수 전자파 내성시험 국제회의(WG10)를 공동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 미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등 14개국에서 애플, 지멘스 등 글로벌 기업 전문가 30여 명이 참석한다.
이번 회의에서 논의될 '전자파 내성시험'은 외부 전자파 간섭에도 장비가 정상 작동하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으로, 스마트폰, 자율주행차, 항공·철도 제어장치 등 산업 안전과 직결되는 핵심 기준이다.
최근 5G 및 6G 이동통신 시대에 들어서면서 장비와 기기가 광대역 고주파수를 사용함에 따라 전자파 간섭 문제가 국제적으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전파 간섭으로 장비 오작동이나 신호 왜곡이 발생할 경우, 자율주행차, 철도, 항공 등 안전 분야에서는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더욱 엄격한 시험 기준이 필요하다.
한국은 2019년 '광대역 신호 방사 내성 시험방법'을 국제표준으로 최초 제안하고 개발을 주도했으며, 2024년 11월 IEC 61000-4-41로 최종 국제표준 발간에 성공했다. 현재 해당 국제표준을 국내 전자파적합성 기준과 국가표준으로 도입·개정 중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시험 주파수 상한을 기존 6GHz 이하에서 6GHz 이상으로 확장, 시험 신호 대역폭도 100MHz 이상으로 확대하는 개정 작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는 향후 6G 및 관련 산업 장비에 적용 가능한 선제적 전자파 내성시험 기준을 마련한다는 의미다.
정창림 국립전파연구원장은 “고주파수 전자파 환경 대응 표준은 첨단 산업 경쟁력과 직결된다”며, “이번 회의를 계기로 한국이 국제 전자파 안전·신뢰성 기준을 주도하며, 산·학·연 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전자파 표준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