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LS그룹이 하이니텔 양극재 회사와 협업해 전라북도 새만금에 제조공장을 착공할 예정이다. LS그룹은 전라북도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에서 새만금개발청 및 전라북도 군산시, 한국농어촌공사와 총 1조 8402억원 규모의 ‘이차전지 소재 제조시설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LS그룹은 이날 행사에서 올 6월 합작을 발표한 LS-엘앤에프 배터리솔루션을 중심으로 새만큼 산단 5공구에 양극소재인 전구체(Precursor) 제조 공장을 연내 착공하고, 직원 1400명 이상을 신규 채용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관련기사: LS, 양극재 기업과 JV설립…‘이차전지 소재 밸류체인’ 구축) 양사는 전북 새만금산업단지를 거점으로 2차전지 소재인 전구체 공장을 연내 착공해 2025~26년 양산 돌입 후 2029년 12만톤 생산을 목표로 우선 추진하기로 했다. 추진 배경에 대해 구자은 LS그룹 회장은 “80%에 달하는 전구체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이차전지 초강대국 K-배터리를 실현하기 위해 추진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구 회장은 “비철금속분야 LS와 양극재 선도회사 엘앤에프가 황산니켈·전구체·양극재로 이어지는 산업 밸류체인을 순수 국내 기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전문 벤처 투자사와 함께 글로벌 스타트업 투자 규모를 대폭 확대한다. LG전자 북미이노베이션센터(LG NOVA)는 최근 글로벌 벤처 투자기업 클리어브룩과 협약을 맺고, 혁신 기업에 투자하기 위해 오는 2024년 말까지 1억 달러 이상 글로벌 스타트업 육성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펀드 규모는 지난 2020년 말 LG NOVA 출범 당시 조성한 2000만 달러에서 5배 이상으로 확대됐다. LG전자는 기술 트렌드를 파악하고, 혁신 기업을 찾아내 지원·육성하기 위해 외부 전문 투자사와 협력하고 펀드 규모를 키우기로 결정했다. 투자 대상은 디지털 헬스케어, 친환경 에너지, AI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선도 기술과 솔루션을 보유한 글로벌 스타트업이다. LG전자는 가능성 있는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협업 기회를 찾을 계획이다. LG NOVA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새로운 사업모델을 발굴하고 혁신 스타트업과 협력을 가속화하기 위해 지난 2020년 말 설립된 조직이다. 이석우 전무는 IoT 분야 사업개발 전문가이자 미국 국립표준기술원 부국장을 역임하며 센터장을 맡고 있다. LG NOVA는 2021
[더테크=전수연 기자] KT가 국내 보안솔루션 기업들과 연합체를 구성하고, 이메일 해킹 방어를 위한 AI 지능형지속위협(APT) 분석 기술 기반 서비스를 선보였다. KT는 KT 시큐어 지능형위협메일 차단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KT와 연합체를 구성한 국내 이메일 보안솔루션 기업은 안랩, 지란지교시큐리티, 시큐레터, 넷엔씨큐다. 이들 기업은 스팸 차단, APT 관련 보안 특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KT 시큐어 지능형위협메일 차단 서비스는 △알려진 악성 메일과 광고를 차단하는 스팸 보안 △APT 위협을 탐지하는 동적 분석 샌드박스 △AI로 위협을 탐지하는 AI 분석 플랫폼으로 구성됐다. 스팸 보안은 지란지교시큐리티와 넷엔씨큐의 기술을 토대로 개발됐으며, 동적 분석을 위한 APT 보안은 안랩과 시큐레터의 기술이 적용됐다. AI 분석 기술은 KT의 AI 분석·탐지 모델이 적용돼 다양한 유형의 신종·변종 APT 해킹 공격을 방어할 수 있다. 차단 서비스는 2가지 AI 모델을 접목해 위협 이메일을 탐지,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악성 파일 코드를 이미지로 변환해 학습된 악성 코드와 유사도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일반 분석 방식보다 탐지 속도가
[더테크=전수연 기자] 한국전력(이하 한전)이 도미니카공화국 수도 지역 내 배전변전소를 신설 보강하는 과정을 수행했다. 한전은 3815만 달러 규모의 도미니카공화국 배전변전소 건설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도미니카공화국의 수도인 산토도밍고 내 배전변전소 3개소를 한전이 EPC 방식으로 신설·보강하는 내용이다. 한전은 본 사업의 계약자 선정을 위한 국제입찰에서 도미니카 현지와 스페인을 포함한 글로벌 5개 기업과 경쟁해 전체 변전소 4개소 중 3개 사업을 수주했다. 한전은 도미니카공화국의 전력설비 현대화에 총 5번 참여했으며, 이번 사업을 계기로 누적 수주액 2억 달러를 기록했다. 앞서 한국과 도미니카공화국은 전력기자재의 규격이 달라 국내 기자재 수출이 어려움에도 불구, 사업정보 입수 단계부터 기술규격 및 국내 조달 가능 여부를 분석하는 노력을 통해 국내 우수기자재 업체와 동반 진출해 누적 2070만 달러 규모 국내 기자재 수출을 달성했다. 한전은 국내 기업의 동반성장을 위해 도미니카공화국 진출을 지원하고, 인근 중남미 국가 등 해외시장 진출에서도 경쟁력을 높여갈 계획이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해외진출 협력사들과 생산성 개선 우수사례와 실행방안을 논의하고 제조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27일 베트남 하이퐁 법인에서 해외진출 협력사들과 ‘생산성 개선 우수사례’ 공유회를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공유회는 협력사의 제조공정 개선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협력사 간 공유하며 제조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LG전자 베트남 하이퐁 법인은 전장부품, 세탁기, 냉장고 등을 생산하는 복합 생산법인으로 협력사 7곳이 동반 진출한 상태다. 이번 공유회에서는 해외진출 협력사 6곳의 생산, 품질, ESG 등 다양한 영역의 자동화 및 디지털 전환(DX) 추진사례가 공유됐다. 우수사례로 소개된 베트남 법인의 가전부품 협력사는 세탁 시, 인쇄회로기관(PCB, Printed Circuit Board)에 부품을 투입 후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불량검사과정에 비전검사 장비를 도입해 수율을 개선했다. LG전자 관계자는 더테크에 “협력사마다 라인이나 특정 공정 사례가 있다”며 “검사 장비를 도입해 자동화가 이뤄지고 전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디지털 전환이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부품 협력사는 진행해 온 부품도장 과정에 신
[더테크=전수연 기자] 광통신망 및 셀룰러 디바이스 기업 우리넷이 특화망을 활용해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이음 5G 사업에 진출한다. 우리넷은 국내 최초 KC 인증을 받은 특화망 5G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국내 대기업의 미국공장에 구축할 이음 5G 사업에 참여한다고 1일 밝혔다. 우리넷은 수백대의 특화망 단말을 공급하고, 5G코어 연동·전용 FOTA(Firmware Over The Air) 개발 등의 사업 협력·추가 공급을 준비하는 등 해외 프라이빗 5G 단말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화망 5G 사업을 위해 우리넷은 전용 모듈의 국내 최초 3GPP 릴리즈16, NRDC(New Radio Dual Connect), 특화망 5G SA 지원 등 기술을 확보했다. 지난 5월에는 업계 최초로 KC 인증을 받은 디바이스를 출시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우리넷은 미국 통신사가 남미 지역에 우리넷 단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검증도 진행 중이다. 앞서 우리넷은 카가FEI와 ‘우리넷 5G솔루션의 일본 유통’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카가FEI는 무선모듈사업을 추진하며 네트워크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개발, 전파법 인증 취득 등 IoT솔루션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쿠팡의 자회사 쿠팡페이가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금융규제 전문가를 법무 총괄 부사장으로 선임했다. 쿠팡페이는 정찬묵 법무 및 대외협력 총괄 부사장의 취임을 1일 밝혔다. 정찬묵 부사장은 금융규제 및 핀테크 비즈니스 분야에서 전문가로, 앞으로 쿠팡페이의 법무와 정책 관련 모든 주요 의사 결정에 참여한다. 정 부사장은 법무법인 세종에서 금융규제그룹장으로 지내며 금융 플랫폼 비즈니스, 금융기업 신규 사업 진출, 전자금융거래법 등 여러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았다. 앞서 쿠팡페이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지문인식을 하지 않고 자체 개발한 부정거래 감지 시스템을 활용해 버튼을 누르면 결제되는 ‘원터치 결제’ 시스템을 도입한 바 있다. 정 부사장은 쿠팡페이가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새로운 서비스 제공을 통해 중소상공인의 사업 성장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준법경영을 주도할 계획이다.
[더테크 뉴스] KT가 사생활 노출 걱정 없이 소통할 수 있는 문자 서비스를 정식 출시할 예정이다. KT는 인천광역시교육청이 ‘양방향 문자 서비스’를 도입하고 1일부터 다음달 말까지 시범서비스 후 정식 서비스를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양방향 문자 서비스는 기업이나 단체에서 PC를 통해 사용자와 문자메시지로 실시간 대화 또는 알림 전달이 가능한 소통 플랫폼이다. 서비스는 교직원의 휴대폰 번호를 노출하지 않고 민원인과 소통하도록 구성됐다. 인천교육청은 교직원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이번 서비스를 도입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양방향 문자 서비스는 인천교육청 업무용 메신저에 통합된 형태로 도입돼 편의성이 높다. 이와 함께 교직원은 기존에 종이로 배포되던 공지사항을 문자 서비스의 메시지 형태로 발송하고, 실시간으로 답장을 보낼 수 있다. KT는 양방향 문자 서비스 외에도 공교육 현장에서 교직원이 유선 전화번호를 활용해 개인 정보 노출 없이 소통할 수 있는 ‘랑톡’ 서비스를 2021년 3월 출시해 서비스하고 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사용자 위치 데이터를 통해 교통신호 조절 기술을 개발한 데 이어, 이번에는 이동 차량의 거리와 속도를 분석해 탄소 배출량을 확인하는 기술을 보급한다. (관련기사: 차량 위치데이터 활용해 '교통 체증' 해소한다) SKT는 자사 AI 기반 위치분석 플랫폼 리트머스(LITMUS)를 활용해 특정 지역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과 자가용 차량의 탄소 배출량을 분석하는 기술을 상용화했다고 1일 밝혔다. 탄소 배출량 분석 기술은 기지국 정보와 AI 기술을 통해 특정 지역 내 △이동 수단(버스, 지하철 등) △이동 거리 △이동 목적·구간별 속도 분석(30분 단위 평균 속도) 등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활용해 해당 지역의 탄소 배출량을 도출한다. SKT 관계자는 더테크에 “리트머스는 실제 도로에서 일어나는 이동량을 AI로 파악하는 기술”이라며 “신호제어 기술과 탄소배출 기술 등에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기술은 지자체에 제공되며 탄소 감축을 고려한 교통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SKT는 탄소 배출량 분석 기술을 부산 스마트 시티 조성 사업에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SKT는 SK Open API를
[더테크=전수연 기자] 디지털 비즈니스 플랫폼 서비스나우(ServiceNow)가 생성형 AI를 활용해 반복적인 작업을 완화하는 기능을 선보였다. 서비스나우는 속도, 생산성을 향상 시키는 생성형 AI 기능 사례 요약(case summarication)과 텍스트 투 코드(text-to-code)를 발표했다고 31일 밝혔다. 두 기능은 서비스나우의 LLM(대규모 언어모델)으로 구동된다. 사용자는 서비스나우의 인스턴스를 △MS 애저 오픈AI 서비스(Microsoft Azure OpenAI Service) △오픈AI API LLM을 연결할 수 있는 생성형 AI 컨트롤러 △사용자의 지식을 기반으로 자연어 응답을 제공하는 검색용 나우 어시스트 △정보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는 버추얼 에이전트용 나우 어시스트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사례 요약은 기업이 자사 서비스 사례에서 세부 정보, 이전 기록 등을 읽고 요약해 정확한 요약 정보를 몇 초 안에 보고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간소화된 해결책을 제공 받고 수동 프로세스를 줄일 수 있다. 텍스트 투 코드는 코드 유형에 대한 일반 자연어 텍스트 설명을 작성하고 고품질 코드로 제안해 변환한다. 서비스나우 관계자는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유플러스(이하 유플러스)가 사내 해커톤 경진대회를 열었다. 대회에서 사업화 가능성 높은 서비스들은 사내 벤처로 연계돼 추진될 계획이다. 유플러스는 ‘고객가치혁신 임직원 해커톤 경진대회’를 개최하고 Z세대를 겨냥한 아이디어가 공유됐다고 31일 밝혔다. 지난 3월부터 3개월간 실시된 제1회 임직원 해커톤 경진대회에는 118명 직원으로 구성된 33개 팀이 참여했다. 유플러스는 기존의 개발자 중심 해커톤 방식에서 기획자, 디자이너 등 다양한 직무의 직원들로 확장해 아이디어를 창출하도록 개선했다. 해커톤은 한정된 기간 동안 참여자들이 팀을 이뤄 앱과 웹 서비스 또는 사업 모델을 만드는 행사다. 보통 해커톤은 1박 2일 가량의 짧은 기간 동안 진행되지만, 해커톤 경진대회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체계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3개월간 실시됐다. 이번 대회에서 1등을 차지한 팀은 사용자 취향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기반 와인 커뮤니티 플랫폼’을 제안한 코르크루였다. 이와 함께 △선물을 받는 사람이 자신에게 필요한 선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안한 기프티콕 △반려동물 호텔 예약과 가격비교 플랫폼을 선보인 도그바로 △해외숙소 전문 예약
‘리뷰T’는 더테크의 기자가 다양한 테크 서비스와 기기, 마케팅 현장 등을 직접 체험하는 콘텐츠입니다. 'T'는 더테크와 이야기(Talk)를 동시에 의미합니다. 딱딱한 기사형식에서 다소 벗어나 편안하고 톡톡 튀는 문체로 독자분들에게 편안하게 다가가겠습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직장인은 늘 바쁘다. 출근길부터 회의 준비까지 업무 피로는 만만치 않다. 기자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뭔가 색다른, 그러면서도 새로운 업무공간이 필요할 때가 있다. 그래서 들어가봤다. ‘메타버스 오피스’에. LG유플러스가 일부 신청자에 한해 베타버전을 공개한 메타버스 가상오피스 ‘메타슬랩(MetaSlap)’이 그 대상이 됐다. 선배들을 모았다. "갑시다, 메타버스로." 그들의 떨떠름한 반응은 가볍게 무시하고 메타버스 오피스에서의 일상을 시험해봤다. (관련기사: 직장인들에게 더 '쓸모있는' 메타버스 나온다) '메타버스=가상공간'이라는 공식은 자신을 표현하는 아바타가 중요하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실제 사무실이 아니기에 내 맘대로 꾸미는 재미가 쏠쏠하다. 문제는 패션센스. 평소에도 수수하게 다니는 기자는 프리셋에 있는 코디를 참고했다. '나'인듯, '나'아닌 '나'같은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