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한국로봇산업협회가 미국 대표 물류 공급망 전시회에서 국가관을 운영한다. 한국관은 국내 대표 물류로봇·솔루션 전문기업이 참여해 북미 진출을 타진한다. 한국로봇산업협회(이하 로봇협회)는 오는 3월 11일부터 14일까지 4일간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는 ‘2024 미국 물류산업전시회(이하 MODEX)’에 참가해 한국관을 운영한다. MODEX는 북미를 대표하는 물류 공급망 전시회다. 주요 전시분야로는 IT솔루션, 운송·물류 솔루션, 배송·풀필먼트 솔루션, 제조·조립 솔루션이다. 비슷한 전시회로는 ProMat이 있는데 교차 개최된다. 물류산업을 대표하는 전시회인 만큼 지난 전시회에서 아마존, 타겟, 세븐일레븐, 갭, 코스트코, 이케아, 오피스디포 등 주요 도소매 기업 관계자를 포함해 약 4만명의 참관객이 방문했다. 로봇협회는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관을 운영해 국내 기업의 북미 진출을 지원한다. 한국관 참여 기업으로는 △다임리서치 △레인보우로보틱스 △ 바이오플레이 △ 세코어로보틱스 △에이딘로보틱스 △에이아이엠 △코모텍 △트위니 △플로틱 등 총 9개사이다. 코트라(KOTRA)는 2024년 미국 소매시장 혁신기술 트랜드 보고서에서 온·오프라인 소매 시
[더테크=조재호 기자] HD현대중공업이 필리핀을 거점 삼아 동남아시아 함정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HD현대중공업은 최근 마닐라 보니파시오(Bonifacio Global City)에 특수선 엔지니어링 오피스를 개소하고 K-방산 경쟁력 확대에 나섰다고 7일 밝혔다. 개소식 행사에는 HD현대중공업 특수선 사업부 임원들과 필리핀 정부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해외 기술 거점 구축은 국제 정세 속 증대되는 방산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함이다. 필리핀은 태평양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관문으로 해군력 증강에 대한 수요와 의지가 큰 만큼 잠재 역량을 갖춘 시장으로 꼽힌다. HD현대중공업은 필리핀 엔지니어링 오피스에 특수선 사업부 소속 △설계 엔지니어 △MRO △영업 담당 직원들을 파견해 현지 수요에 최적화된 기술 사양과 인도된 함정의 기술지원 및 보증수리 컨설팅을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필리핀 사업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국가들로 수출 시장을 확대할 방침이다. 영국의 군사정보기업 제인스(Janes)에 따르면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해양 방산 지출 규모는 2023년 80억 달러에서 2030년 100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HD현대중공업은 필리핀과 태국,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자동차가 전기차(EV)를 전자기기처럼 살 수 있는 보상판매 제도를 도입했다. EV를 구매하려는 소비자의 부담을 줄이고 국내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다. 인증 중고차 판매도 이달 안으로 시작한다. 현대자동차는 7일 신형 EV 구입 시 기존 차량에 대한 보상판매(트레이드-인)를 이달 1일부터 도입했다고 밝혔다. 기존 차량은 인증 중고차 서비스를 통해 매각하고 아이오닉이나 코나 일렉트릭 등 현대차 EV를 신차로 구매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보상판매는 주로 스마트폰 시장에서 소비자의 가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활용하는 방법이다. 기존 제품을 중고로 반납하는 조건으로 소비자는 출고가보다 낮은 가격에 새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현대차가 도입한 보상판매를 예로 들자면 2022년형 아이오닉 5를 보유한 고객이 자신의 차량을 중고로 팔면서 ‘더 뉴 아이오닉 5’를 출고가 대비 저렴하게 살 수 있다. 보상 판매를 희망하는 고객은 신차 출고 15일 전에 현대·제네시스 인증 중고차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사이트의 ‘내 차 팔기’ 서비스에서 기존 차량을 매각하면 된다. 현대차는 보상판매에 참여하는 고객에게 특별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현대차나 제네시스를 보
AI 프론티어, 인공지능의 시대를 맞아 대한민국의 AI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들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본 기사는 한국인공지능협회와 협력해 회원사들을 소개하고 제품 개발현황과 비즈니스 그리고 AI 이슈에 대한 인사이트를 나눕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클래스팅의 조현구 대표의 이력은 조금 특별해 보였다. 스타트업 대표로 드물게 초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기 때문이다. 물론, 컴퓨터교육과였던 만큼 IT나 인공지능(AI)에 익숙했을 것으로 보인다. 공교육의 최전선에 있었던 만큼 경험을 녹여낸 서비스를 선보였다. 조 대표가 2012년 창업한 클래스팅의 시작은 개인화된 공교육을 목표로 했다. AI 기술에 필요한 데이터를 쌓기 위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학습관리시스템(LMS)를 결합한 디지털 교실을 만들었다. 이를 기반으로 공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AI 기반 지식추적엔진과 현장에 특화된 프라이빗 거대언어모델(LLM)을 구축했다. 클래스팅은 최근 교육계의 화두인 교육의 디지털 전환에 앞서 이를 준비한 기업이다. 이에 더테크는 조 대표를 만나 에듀테크와 AI 이슈에 대해 알아봤다. 클래스팅의 간략한 소개와 근황이 궁금합니다. 클래스팅은 개인화된 교육 서비스
[더테크=조재호 기자] 팀 네이버가 ‘기회의 땅’ 사우디아라비아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팀 네이버는 5일(현지시각) 사우디 아람코의 자회사인 ‘아람코 디지털(Aramco Digital)’과 사우디 및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아람코 디지털은 글로벌 에너지와 화학 통합기업인 아람코의 디지털·기술 전문 자회사로 디지털 전환과 기술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사우디를 포함한 중동 지역에 최적화된 소버린 클라우드와 슈퍼앱을 구축하고 아랍어 LLM 기반의 소버린 AI 개발에 협력한다. 팀 네이버는 ‘소버린 AI’라는 큰 방향성 하에 현지 문화와 언어에 최적화된 AI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팀 네이버는 LLM을 사전학습 단계부터 자체적으로 개발해 운영하는 기업으로 글로벌 무대에서도 손꼽히는 기술력을 보유했다. 고비용 LLM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최적화 기술과 인프라, 솔루션까지 제한할 수 있는 기업은 미국과 중국의 빅테크를 제외하면 네이버가 유일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팀 네이버가 보유한 클라우드, 로봇, 디지털트윈 등의 기술력을 활용해 스마트 빌딩과
[더테크=조재호 기자]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가 미디어 컨퍼런스와 전시회를 통해 지능형 디지털 플랫폼 구축을 통한 배터리 생태계 순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는 오늘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배터리 산업 전시회 ‘인터베터리 2024’에 참가한다. 전시에 앞서 ‘EV배터리 생태계 순환성을 지원하는 지능형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주제로 기자 간담회를 열고 배터리 산업의 미래를 주도할 인사이트와 솔루션을 공유했다. 간담회에서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프랑수아 베르킨트(François Verkindt) EV배터리 사업부 리더가 연사로 나서 배터리 생태계 성장에 따른 디지털화의 필요성과 함께 회사의 디지털 트윈 솔루션에 대해 소개했다. 전 세계적으로 EV배터리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데 2022년 맥킨지 배터리 인사이트 팀의 분석에 따르면 리튬 이온 배터리 사슬은 2022년부터 2030년까지 매년 30% 이상 성장하며 총 4000억달러 이상의 가치와 4.7TWh(테라와트씨) 이상의 규모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2026년부터 시행 예정인 배터리 여권(Battery Passport) 제도의 도
[더테크=조재호 기자] HD현대가 세계 해상 원자력 분야 첫 국제 민간기구 설립을 주도하며 이 분야 ‘퍼스트무버’로 나선다. HD현대 조선 중간 지주사 HD한국조선해양은 6일 ‘해상 원자력 에너지 협의기구(NEMO, Nuclear Energy Maritime Organization)’를 글로벌 원자력 선도 기관들과 공동 설립했다고 밝혔다. 영국 런던에 사무국을 둔 NEMO는 국제해사기구(IMO),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함께 해상에서의 원자력 배치·운영·해체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표준과 규정을 수립하고 해상 원자력 상용화를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NEMO에는 HD현대를 비롯해 빌 게이츠가 설립한 소형 모듈 원자로(SMR) 기업인 테라파워(Terrapower),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 EC), 로이드선급(Lloyd Resister), 시보그(Seaborg) 등 7개국 총 11개의 원자력 분야 선도기업들이 참여한다. NEMO의 초대 의장을 맡게 된 맘도우 엘-샤나와니(Mamdouh el-Shanawany) 前IAEA 안전 부문 책임자는 “NEMO 출범이 해상 원자력 시대를 앞당길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기대가 크다”며, “우리의
[더테크=조재호 기자] 스켈터랩스가 네이버클라우드가 인공지능(AI) 생태계 확장을 위해 손을 잡았다. 스켈터랩스는 네이버클라우드와 대화형 AI 서비스 고도화 및 상용화를 위한 MSP(Managed Service Provider)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6일 밝혔다. 양사는 스켈터랩스의 LLM 기반 챗봇 솔루션 ‘벨라 큐나(BELLA QNA)’에 네이버의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를 연동하고 공동 마케팅과 사업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등 긴밀한 협력 관계를 이어 나갈 계획이다. 스켈터랩스의 벨라 큐나는 기업 환경에서의 활용을 위해 개발된 LLM 기반 및 Q&A 챗봇 솔루션으로 범용 LLM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 특징이다. 사용자의 질문 목적에 맞는 답변을 생성하기 위해 ‘검색 증강 생성(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RAG)’ 및 ‘하이브리드 검색’을 채택하는 방식으로 답변 정확도를 높였다. 스켈터랩스는 이번 협력으로 벨라 큐나에 하이퍼클로바X를 연동해 한국 문화와 언어 맥락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는 챗봇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한국 시장에 최적화된 서비스 제공해 스켈터랩스는 네이버클라우드와 함께 커머스·공공·금융 등 다양한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국내 판매 중인 전기차 충전기 전체 라인업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LG전자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EV트렌드코리아’에 참가해 주택, 상업 공간, 충전소 등 다양한 쓰임새에 최적화한 전기차 충전 솔루션을 선보인다. 7kW 완속 충전기와 100kW·200kW 급속 충전기 등 국내에 판매 중인 전기차 충전기 전체 라인업을 전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180㎡ 규모 전시관을 주택, 상업 공간, 충전소 등 여러 콘셉트로 꾸몄다. 관람객은 충전기 제품뿐만 아니라 전력량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관제 솔루션인 ‘이센트릭(e-Centric)’ 또한 체험할 수 있다. 서흥규 LG전자 EV충전사업담당은 “LG전자가 쌓아온 제조 역량과 다양한 공간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맞춤 전기자 충전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번에 전시된 전기차 충전기 중 주택용 7kW 완속 충전기는 터치스크린을 탑재해 사용이 편리하고 벽부형·스탠드형 2가지 타입이 있어 공간 맞춤 설치가 가능하다. 100kW 급속 충전기는 상업용 주차장으로 꾸민 공간에서 선보인다. 차량
[더테크=조재호 기자] 국내 연구진이 국군방첩사령부 산하 연구기관과 손잡고 우리나라 군의 우주 및 사이버보안 연구개발에 나선다. 한국전자통신원(ETRI)는 국방보안연구소와 협력해 군사용 위성 보안 및 사이버보안 분야 연구개발을 수행해 국가 안보에 앞장서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양 기관은 △군의 우주 및 사이버보안 분야 공동 연구개발 추진 △군의 첨단 무기체계 구현을 위한 ETRI 보안기술 지원·협력·교류 △군의 첨단 무기체계에 연구개발을 통한 보안 기술 적용 협력 △기타 군 첨단 기술 적용을 위한 우주 통신 보안 분야 협력 △군 통신위성·정찰위성 보안기술 로드맵 작성 등을 추진한다. ETRI는 현재 방위사업청 주관사업의 일환으로 △사이버전장 위협 상황인지 기술 △사이버전장 위협 능동대응 기술 △사어비전장 악성봇 서비스 거부 공격 예방 기술 등을 연구 중이다. 연구진은 본 연구개발을 통해 사이버전장 환경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보안상황을 사전에 인지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사이버 공격확산을 조기에 방지하는 지능형 위협 상황인지 기반 능동대응 기술을 연구 수행 중이다. 조일연 ETRI 인공지능컴퓨터연구소 소장은 “국방 보안기술 및 제
[더테크=조재호 기자] 삼성SDI가 업계 최고의 에너지 밀도 전고체 배터리 양산 준비 로드맵과 초급속 충전, 초장수명 등 ‘초격차 기술’ 배터리를 대거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6일부터 3일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인터베터리 2024’에 참가해 전고체 배터리 리더십을 공고히 하고 ‘초격차 기술력’를 바탕으로 배터리 시장을 이끌어 나갈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공개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삼성SDI는 업계 최고의 에너지 밀도를 자랑하는 900Wh/L ASB(All Solid Battery)의 양산 준비 로드맵을 처음으로 대중에 공개한다.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ASB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화재의 위험성을 줄이고 주행거리가 길어 배터리 업계에서 주목하는 차세대 배터리다. 삼성SDI는 현재 양산 중인 각형 배터리(P5)와 비교해 약 40% 가량 향상된 에너지 밀도 900Wh/L의 전고체 배터리 개발 맟 양산 준비 계획을 공개할 예정이다. 독자 조성한 고체 전해질 소재 개선과 무음극 기술을 통해 음극의 부피를 줄여 양극재를 추가하면서 업계 최고의 에너지 밀도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삼성SDI는 지난해 말 신설된 ASB사업화추진팀을 중심으로 전고체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가 당뇨병 등 상처 부위의 온도 변화와 무선 열전달 특성을 통해 치유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카이스트는 권경하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과 류한준 중앙대학교 교수와 상처 치유 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해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피부 손상은 집중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감염과 관련된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당뇨병 환자는 정상적인 혈액 순환과 상처 치유 과정에 문제가 생겨 만성 상처가 쉽게 발생한다. 만성 상처의 재생을 위해 미국에서만 매년 수백억달러의 의료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환자별 맞춤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연구팀은 상처 부위와 주변 피부 사이의 온도 차이를 활용해 상처 내 발열 반응을 추적했고 열 전송 특성을 측정해 피부 표면의 수분 변화를 관찰해 흉터 조직의 형성 과정을 파악했다. 연구팀은 당뇨병이 있는 쥐를 통해 실험을 진행해 수집된 데이터가 상처 치유 과정의 흉터 조직 형성을 정확히 추적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아울러 연구팀은 상처가 치유된 후 기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