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국내 기업의 78%가 이미 AI 에이전트 도입 단계에 있으며, 재무 부문을 중 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워크데이는 30일 글로벌 AI 에이전트 연구인 ‘AI Agents in the Workforce Study’의 한국시장 주요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고 직무 만족도를 개선하는 데 높은 기대를 걸고 있으며, 동시에 신뢰 기반의 거버넌스 구축을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다. 한국 기업의 78%는 AI 에이전트 도입을 위한 초기 프로덕션(42%) 또는 롤아웃(36%) 단계에 있으며, 재무 부문에서는 83%가 이 단계를 밟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3년 내 재무 기획과 보고 등 주요 기능에서 AI 에이전트 활용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부분의 기업(40%)은 자체 개발보다 사전 구축형 AI 에이전트를 조직 맞춤형으로 수정·적용하고 있으며, 완전한 자체 개발은 1%에 불과했다. 이러한 전략은 확장성과 보안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실용적 접근으로 평가된다. 윤리와 거버넌스는 AI 도입의 핵심 과제로 꼽혔다. 응답자의 71%가 편향, 데이터 프라이버시, 규
[더테크 이승수 기자]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이 2025 APEC 정상회의 CEO 서밋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한-호주 공급망 협력 성과와 비전을 30일 밝혔다. 장 회장은 이번 연설에서 포스코가 호주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중심으로 철강, 이차전지 원료, 청정에너지 등 핵심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포스코그룹의 호주와의 협력은 1971년 철광석 공급을 시작으로 반세기 동안 이어져왔다. 현재 호주는 포스코가 사용하는 원료의 약 70%를 책임지는 주요 공급자이자 미래 성장산업의 전략적 동반자로 자리 잡고 있다. 장 회장은 철강 산업의 저탄소 전환, 이차전지 원료 확보, 청정 에너지 생태계 조성 등 세 가지 핵심 분야에서 호주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철강 분야에서는 포항제철소에서 수소 기반 제철 공정인 HyREX를 통해 CO2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혁신적 생산 체계를 준비 중이며, 호주의 재생에너지 기반 청정 수소를 활용해 탄소저감 철강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차전지 원료 분야에서는 리튬, 니켈, 희토류 등 미래 산업 핵심 자원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위해 호주와 협력하고 있다. 장
[더테크 이승수 기자] HD현대가 글로벌 리더들과 함께 미래 조선업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HD현대는 27일 경주엑스포대공원 문화센터 문무홀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퓨처 테크 포럼: 조선’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Shaping the Future of Shipbuilding’을 주제로 진행됐다. 정기선 HD현대 회장을 비롯한 HD현대 임직원, 헌팅턴 잉걸스, 안두릴, 지멘스 등 주요 연사와 조선업계 관계자, 학계 및 정부 관계자 등 총 600여 명이 참석했다. 정 회장은 기조연설에서 혁신 기술을 통한 조선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며 글로벌 협력을 당부했다. 정 회장은 “인공지능(AI)은 선박의 지속가능성과 디지털 제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서는 산업의 경계를 넘어서는 긴밀한 글로벌 혁신 동맹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HD현대는 첨단 역량을 기반으로 미국의 해양 르네상스를 위한 든든한 파트너로 여정에 함께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AI 혁신 기술, 스마트 조선, 미국과의 전략적 협력 등 조선업의 미래 비전과 혁신 방향을 공유했다. HD현대의 협력 파트너
[더테크 이지영 기자] 세종 국가시범도시 분석 통해 TUE(기술-사용자-환경) 프레임워크 최초 적용한 모델이 입증됐다. 27일 건국대학교는 건축학부 최준호 교수가 세종 국가시범 스마트시티 시민을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기술 수용 요인을 ‘기술-사용자-환경(TUE)’ 프레임워크로 분석하고, 시민 중심의 스마트시티 수용 모델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기존의 기술수용모형(TAM)과 조직-환경(TOE) 모형을 확장해 개인 수준에서 기술, 사용자, 환경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새로운 TUE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세종 국가시범도시를 사례로 한 실증 분석을 통해, 스마트시티 기술이 시민의 일상 속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활용되는지를 체계적으로 규명했다. 연구 결과, 사용자 관련 요인이 기술적 또는 환경적 요인보다 스마트시티 서비스 수용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세대와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시민의 수용 경향을 도출하고, 맞춤형 스마트시티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세종 국가시범도시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시민 중심 스마트시티 수용 분석으로, 기술 인프라 중심의 기존 접근에서 벗어나 '시민 경험과 인식 중심의 정책 설계'로의 전환
[더테크 이지영 기자] 네이버가 인공지능(AI)과 데이터를 결합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선보이기 위해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인바디(INBODY) 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 네이버㈜는 30일 성남 1784 사옥에서 ‘네이버-인바디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협약식’ 을 열고, 인바디의 지분 8.5%를 확보했다고 31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네이버 최인혁 테크비즈니스 대표와 인바디 박하진 부사장 등 양사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투자는 네이버가 AI 기술 역량과 데이터 분석 기반을 바탕으로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다. 인바디는 미국, 일본, 유럽, 인도 등 13개 해외 법인을 통해 110개국에 체성분 분석기, 자동혈압계, 데이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글로벌 헬스케어 선도 기업으로, 체성분 분석기 분야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다. 인바디는 병원과 피트니스센터, 학교, 관공서, 일반 소비자 대상의 체성분 분석 솔루션 외에도 체성분 데이터 관리 플랫폼 ‘LB(LookinBody)’ 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네이버 최인혁 대표는 “체성분 분석 글로벌 1위 기업 인바디와 함께, 온·오프라인이 유기
[더테크 서명수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정의선 회장이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면담하며 현지 성장 전략과 미래 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방문은 현대차그룹과 사우디 정부 간 협력 강화를 위한 첫 단독 면담으로, 정의선 회장은 현대자동차 생산 공장 건설 현황과 중장기 전략을 점검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에너지 중심 산업에서 제조업과 수소에너지 등으로 산업 구조를 다변화하는 ‘비전 2030’을 추진하며, 중동 최대 자동차 시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 국부펀드를 중심으로 글로벌 자동차 기업 유치에 나서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사우디아라비아 현지 생산법인 HMMME를 건설 중이다. HMMME는 연간 5만 대 생산 규모로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를 혼류 생산하며, 현대차 30%, 사우디 국부펀드 70% 지분 구조로 내년 4분기 가동을 목표로 한다. 정의선 회장은 HMMME 공장을 방문해 현지 임직원들을 격려하고, 사우디 산업 수요와 기후 특성에 맞춘 특화 설비 적용과 생산능력 확대 계획을 점검했다. 현대차는 고온·사막 환경에 대응할 냉방·방진 설비를 적용하고, 다차종 생산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 설계를 도입해 HMMME를 중동 시
[더테크 이승수 기자] 삼성SDI가 독일 프리미엄 완성차 브랜드 BMW, 미국 배터리 소재 전문기업 솔리드파워(Solid Power)와 함께 전고체 배터리의 자동차 탑재를 위한 기술 검증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삼성SDI는 31일 BMW, 솔리드파워와 전고체 배터리 개발 및 실증을 위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삼성SDI는 솔리드파워의 고체 전해질 기술을 활용해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을 높인 전고체 배터리 셀을 공급하고, BMW는 해당 셀을 기반으로 모듈 및 팩을 개발해 실제 차량 실증에 나설 예정이다. 최종 목표는 BMW의 차세대 테스트 차량에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해 성능을 검증하는 것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차세대 전지 기술로, 안전성이 높고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동일 용량의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더 가볍고 주행거리도 길어, 전기차 성능 혁신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이번 협력은 배터리 셀(삼성SDI), 완성차(BMW), 소재(솔리드파워) 등 각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이 기술력을 결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세 회사는 전고체 배터
[더테크 서명수 기자] 폭스바겐그룹이 올해 1~9월 실적을 발표하며, 글로벌 경기 둔화와 무역 장벽 강화 등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전기차 판매 확대와 구조개혁을 통한 의미 있는 성과를 달성했다고 31일 밝혔다. 올해 9개월간 그룹 매출은 2,387억 유로로 전년 동기(2,373억 유로) 대비 1% 증가했다. 코어 및 프로그레시브 브랜드 그룹의 성장세가 스포트 럭셔리 브랜드 부문의 하락을 상쇄한 결과다. 같은 기간 차량 판매량은 660만 대로 전년 동기(650만 대)를 소폭 웃돌았다. 남미(+13%), 서유럽(+4%), 중·동부 유럽(+11%) 시장의 견조한 성장세가 중국(-2%)과 북미(-11%) 시장의 부진을 보완했다. 폭스바겐그룹은 유럽 전기차 시장에서도 여전히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재 유럽에서 판매되는 전기차 4대 중 1대는 폭스바겐그룹 차량으로, 전동화 전략이 시장에서 본격적인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서유럽의 BEV(배터리 전기차) 주문량은 64% 급증해 전체 주문의 22%를 차지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54억 유로로 전년 동기(128억 유로) 대비 58% 감소했다. 이는 마진이 낮은 전기차 생산 확대, 미국 관세 인상, 포르쉐의 제품
[더테크 서명수 기자] 호주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가 3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방문하며, 한·호 양국이 자원·소재·미래 에너지 분야에서 협력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호주 총리의 포스코 방문은 2003년 존 하워드 전 총리 이후 22년 만이다. 앨버니지 총리는 이날 포항제철소 원료부두를 찾아 호주산 철광석과 원료탄이 실제 제철 공정에 투입되는 현장을 둘러보고,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 기술 ‘하이렉스(HyREX)’의 기술 개발 현황을 직접 확인했다. 포스코그룹은 1971년 호주 철광석을 처음 도입한 이래 지금까지 약 15억 톤 이상의 호주산 철광석과 원료탄을 사용해 왔다. 이는 양국 간 자원 및 철강 산업 협력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앨버니지 총리는 “호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자원 보유국으로, 핵심 광물 투자를 통해 산업을 성장시킬 수 있는 무한한 기회의 땅”이라며 “한국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글로벌 경제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호주는 철강을 넘어 이차전지 소재와 에너지 등 미래산업을 함께 개척하는 전략적 동반자”라며 “이번 총리의 방문이 양국 간 신뢰와 협력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이
[더테크 서명수 기자] 페라리가 브랜드 역사상 최초의 디지털 전용 NFT 차량 ‘F76’을 31일 공개했다. 올해 르망 24시에서 499P 모델로 3년 연속 우승을 거둔 기념비적 해에 등장한 F76은, 1949년 페라리의 첫 르망 우승(166 MM 투어링 바르케타, 루이지 키네티·셀스던 경)을 기념해 이름 붙여졌다. F76은 현실 세계에서 양산되지 않는 가상 하이퍼카로, 생성형 디자인과 첨단 디지털 기술을 결합한 페라리의 새로운 비전 프로젝트다. 하이퍼클럽 프로그램의 전용 고객을 위해 설계된 이 모델은 르망과 세계 내구 선수권 대회(WEC)에서 활약하는 499P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디지털 자산으로, 고객들이 레이싱 팀과 여정을 함께하며 독점적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프로젝트는 플라비오 만조니(Flavio Manzoni)가 이끄는 페라리 스타일링 센터의 주도로 진행됐다. 만조니는 F76을 “미래 페라리 디자인의 선언문”으로 정의했다. 파라메트릭 접근법을 기반으로 알고리즘을 통해 형태를 생성하고 최적화한 이 모델은, 생체모방 기술·건축학적 원리·공학·컴퓨터 과학의 융합을 통해 자동차 디자인의 경계를 새롭게 확장했다. F76의 디자인은 공기역학적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