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HD현대가 산학연 협력 강화를 통해 AI 분야 초격차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HD현대는 서울대학교와 공동으로 AI 분야 산학연 포럼 ‘HD현대&SNU AI 포럼’을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진행된 포럼은 AI 기술 전반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인사이트(Insight) 세션’과 그룹 핵심 사업 AI 기술을 소개하는 ‘유스케이스(Usecase)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기조 강연자로는 AI 연구기관 캐나다 벡터연구소(Vector Institute)의 데발 판디아(Deval Pandya) 박사가 ‘AI의 역사와 진화과정’ 발표를 진행했다. 인사이트 세션은 ‘AI 미래와 방향성’이라는 주제로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센터장, 윤성로 서울대 교수, 이화영 LG AI 연구원 상무 등 강연과 참석자들의 대담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김영옥 HD현대 AI전략담당 상무가 AI 전략과 방향성을 소개했다. 이어 유스케이스 세션은 조선해양, 건설기계, 에너지 등 HD현대의 3대 핵심사업을 중심으로 자세한 AI 적용 사례가 발표됐다. 첫 세션은 ‘바다의 무한한 잠재력 실현’을 주제로 HD현대의 자율운항 전문회사 아비커스의 자율운항선박 상용화 현황
[더테크=전수연 기자] AWS(아마존웹서비스)가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데이터 기반 모델 맞춤화 방법과 작업 도구를 개선한 신규 기능을 발표했다. 특히 AI를 통해 복잡한 프롬프트를 이해하도록 구성돼 개발 작업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AWS는 AWS 리인벤트(re:Invent)에서 모델 선택권을 확대하고 사용자가 비즈니스에 적절한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도록 돕는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의 신기술을 30일(현지시각) 공개했다. (관련기사: AWS, 차세대 프로세서 그래비톤4·트레이니움2 공개) (관련기사: AWS, 생성형 AI 기반 어시스턴스 ‘아마존 Q’ 발표) 아마존 베트록은 LLM(대규모언어모델), AI21랩스, 앤트로픽, 코히어, 메타 등 아마존의 파운데이션 모델에 접근할 수 있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로, 사용자가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기능과 개인정보 보호·보안을 지원한다. AWS는 독점(proprietary) 데이터로 모델을 맞춤화하는 방법을 간소화하며 복잡한 작업의 실행을 자동화하는 도구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안전장치 기반의 생성형 AI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AWS는 기업이 생산성 향상,
[더테크=이지영 기자] IT 벤처 다우기술이 제공하는 단체문자 전문 사이트 뿌리오가 AI 기반의 문자서비스를 선보였다. 뿌리오는 29일 국내 최초로 생성형 AI를 활용한 문자서비스를 정식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뿌리오는 △기업 마케팅을 위한 단체문자(SMS·LMS·MMS) △카카오 알림톡·친구톡 △전자문서 △모바일쿠폰 등을 대량 발송 및 분석하는 통합 마케팅 플랫폼이다. 신규 출시된 AI 문자서비스는 챗GPT 모델 기반의 학습 데이터를 활용하는 서비스로 사용자가 발송 목적과 주요 키워드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최적화된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뿌리오는 사용자가 문자 작성을 위해 들이는 시간과 리소스를 단축하고 양질의 문자 작성을 지원할 수 있다. AI 문자서비스는 선거 문자, 기업 홍보, 마케팅, 프로모션 등 모든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2024년 예정인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AI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거 문자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김성욱 다우기술 비즈마케팅부문 전무는 “이번 AI 문자서비스는 국내 최초로 정식 출시된 생성형 AI 문자서비스로 기업 홍보와 마케팅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현재 기술 개발을 통해 RCS(차세대 문자서비스)
[더테크=전수연 기자] LG그룹의 인공지능(AI) 연구 허브인 LG AI연구원이 AWS(아마존웹서비스)의 클라우드를 도입해 다양한 데이터를 가공, 관리하며 자사 솔루션을 고도화했다. LG AI연구원은 AWS 리인벤트(re:Invent) 2023에서 AI 이미지-투-텍스트 캡셔닝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관련기사: LG의 초거대 멀티모달 AI, ‘엑사원 2.0’ 공개) 신규 캡션 솔루션은 3000억 개의 파라미터를 보유한 LG AI 연구원의 멀티모달 파운데이션 모델인 엑사원(EXAONE)을 활용한다. 엑사원은 광고, 패션, 리테일 등 여러 산업 분야의 사용자를 위해 정확하고 관련성 높은 콘텐츠를 위한 캡셔닝 솔루션을 제공한다. 엑사원의 새로운 제로샷 이미지 캡션 솔루션은 생성형 AI를 활용해 인간의 인지 능력과 유사하게 이전의 경험, 지식, 훈련을 바탕으로 본 적 없는 객체나 장면을 자동으로 이해하고 설명한다. 이는 엑사원이 한국어, 영어로 된 이미지와 텍스트를 이해하고 인간에 가까운 추론 능력으로 상세한 이미지 캡션과 키워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한다. 광고 산업 종사자는 해당 기술을 통해 제품 설명을 자동화하거나 광고, 마케팅 캠페인을 위한 새로운
[더테크=전수연 기자] 개발자 데이터 플랫폼 기업 몽고DB(MonggoDB)가 AWS(아마존 웹 서비스) 플랫폼에 자사 서비스를 결합해 자체 데이터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돕는다. 몽고DB는 AWS 리인벤트 2023(AWS re:Invent 2023)에서 몽고DB 아틀라스 벡터 서치와 아마존 베드록의 통합을 통해 AWS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지원한다고 30일 밝혔다. (관련기사: 몽고DB, AWS 아마존 코드위스퍼러 기능 지원 협업) 몽고DB 아틀라스 벡터 서치는 기업의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형 AI, 시맨틱 검색 기능을 애플리케이션에 도입하도록 지원하고 맞춤형 유저 경험을 제공한다. 양사의 이번 통합으로 개발자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다양한 사례를 다루고 벡터 서치로 처리한 자체 데이터(proprietary data)를 기반으로 빠른 응답이 가능한 최신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사히르 아잠(Sahir Azam) 몽고DB CPO는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모든 규모의 기업이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구축과 미래 비즈니스 대비를 위해 생성형 AI를 모색하고 있지만 상당수는 자체 데이터 보호와 AI 구동 시스템 정확도를 우려하고
[더테크=조재호 기자] ‘노란 포도’나 ‘보라색 바나나’처럼 본 적 없는 시각 개념을 이해하고 상상하는 인공지능(AI) 능력 구현이 가능해졌다. 카이스트는 안성진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구글 딥마인드와 미국 럿거스 대학교와의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시각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조합해 새로운 개념을 이해하는 AI 모델과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벤치마크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안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 연구팀은 시각 정보에 대한 체계적 일반화를 연구할 수 있는 벤치마크를 개발했다. 시각 정보는 언어와 달리 명확한 단어나 토큰 구조가 없어 이 구조를 학습하고 체계적 일반화를 달성하는 것이 큰 도전이다. 체계적 일반화 혹은 조합적 일반화는 시각을 인식하는 능력이다. 예를 들어 사람은 보라색 포도나 노란 바나나 같은 개념을 학습하고 이를 나눈 뒤 재조합해 노란 포도나 보라색 바나나와 같은 이미지나 개념을 상상하는 능력을 말한다. 체계적 일반화 문제는 1988년 미국의 인지과학자 제리 포더(Jerry Fodor)와 제논 필리쉰(Zenon Pylyshyn)이 인공신경망이 해결할 수 없는 분야라는 주장과 함께 35년 동안 인공지능 딥러닝 분야에서 큰 도전 과제로 남아있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AI 에이전트 스타트업 ‘라이너(Liner)’가 자사 AI 기술로 글로벌 시장 내 존재감 확대에 나선다. 라이너는 서울 서초구 모나코스페이스에서 ‘Personal AI for Everyone’이라는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29일 개최했다. 라이너는 이날 초개인화 AI 에이전트로 진화하고 있는 라이너 코파일럿, 라이너 AI 워크스페이스에 대해 소개하고 △서비스 성장 지표 △AI 기술 △제품 비전과 목표를 설명했다. 자율 AI로 알려진 AI 에이전트는 사람의 개입 없이도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결정을 자율 수행하는 인공지능이다. 라이너는 고차원 문제에 대해 AI가 스스로 문제를 분석하고 작은 단위로 문제를 분리해 해결한 뒤 답을 내기 때문에 생산성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를 통해 라이너는 지난 8월 AI 에이전트 ‘라이너 AI 워크스페이스’를 선보였다. 또 기자간담회에서 원화윤 라이너 PO는 라이너 코파일럿과 라이너 AI 워크스페이스를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라이너는 미국 구독자의 비율이 약 55%로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 강조됐다. 다음으로 발표에 나선 허훈 라이너 테크 리드는 AI 에이전트의 기본 개념 설명
[더테크=전수연 기자] 한국 딜로이트 그룹(이하 딜로이트)이 2024년 생성형 AI 시장 전망과 통신, 반도체 산업의 성장을 예측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생성형 AI를 탑재할 기업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딜로이트는 딜로이트 글로벌이 2024년 생성형 AI 시장규모와 성장 가능성을 포함해 통신산업, 반도체,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산업을 분석한 ‘첨단기술, 미디어 및 통신(TMT) 2024 예측(Technology, Media, & Telecom 2024 Predictions)’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9일 밝혔다. (관련기사: 도시의 미래 비전...'디지털화 및 자동화') 이번에 발간된 TMT 2024 보고서는 △생성형 AI △지속가능성 △미디어, 엔터테인먼트&스포츠 △통신, 첨단기술 4가지 주제에 대해 모두 19개 장으로 구성됐다. 생성형 AI의 경우 딜로이트는 2024년 생성형 AI 전용 반도체칩 시장 규모가 미화 400억 달러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체들 대부분은 2024년을 기점으로 제품과 서비스에 생성형 AI를 포함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성형 AI를 적용해 기업용 소프트웨어 업체가 얻을 수 있는 추
[더테크=조재호 기자] 딥브레인AI가 독일 금융 산업 행사에서 AI 휴먼 ‘AMY(에이미)’를 선보였다. 파인튜닝된 LLM(거대언어모델)을 적용해 고객 맞춤형 정보 제공이 가능하며 실제 사람과 같은 외모와 원어민 발음, 입모양 등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호평받았다. 딥브레인AI는 독일 AKA은행과 손잡고 ‘유로 파이낸스 테크 데이 2023(Euro Finance Tech Day 2023)‘에서 AI 휴먼(AI Human) 기술을 선보였다고 29일 밝혔다. 유로 파이낸스 테크 데이 2023은 ‘금융 인공지능 활용 방안(Could we handle artificial finance?)’을 주제로 지난 15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진행됐다. 행사는 유럽 내 금융 산업 관계자들이 참석해 AI 개발과 활용에 따른 변화·위험·기회 등을 논의했다. 딥브레인AI는 독일의 수출 및 국제 무역 금융 전문 기관인 AKA 은행과 함께 개발한 대화형 AI 휴먼 프로토타입인 에이미를 선보였다. 정교하게 조정된 LLM을 적용한 에이미는 고객 맞춤형 정보 제공으로 호평받았다. 장세영 딥브레인AI 대표는 “AKA은행과 공동 개발환 대화형 AI 휴먼은 고객 맞춤형 실시간 대화를 지원해 금융 서
[더테크=조재호 기자]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는 28일(현지시간) AWS의 연례 컨퍼런스 AWS 리인벤트 2023(AWS re:Invent 2023)에서 차세대 자체 설계 칩 제품군인 AWS 그래비톤4(AWS Graviton4)와 AWS 트레이니움2(AWS Trainium2)를 발표했다. 두 칩은 머신러닝 트레이닝과 생성형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고객사의 워크로드에 대해 개선된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제공할 예정이다. AWS는 AMD와 인텔, 엔비디아와 같은 타사의 하드웨어을 비롯해 다양한 유형의 인프라를 제공한다. 그래비톤4는 기존 프로세서 대비 최대 30% 향상된 컴퓨팅 성능과 50% 늘어난 코어, 75% 늘어난 메모리 대역폭을 제공한다. 그래비톤4는 모든 고속 물리적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암호화해 보완성을 높였다. 그래비톤4는 아마존 EC2 R8g 인스턴스로 제공돼 고객이 고성능 데이터베이스, 인메모리 캐시, 빅데이터 분석 워크로드의 실행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R8g 인스턴스는 기존 세대 R7g 인스턴스보다 최대 3배 더 많은 vCPU와 3배 더 많은 메모리로 더 큰 인스턴스 크기를 제공한
[더테크=조재호 기자]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가 기업용 인공지능(AI) 어시스턴트 ‘아마존 Q’를 공개했다. 아마존 Q는 안전한 생성형 AI를 도입을 검토 중인 고객사를 위해 AWS가 개발한 신규 모델로 AWS 서플라이 체인 전반에 도입될 예정이다. AWS가 28일(현지시각) AWS 리인벤트 2023(AWS re:Invent 2023)에서 기업용으로 설계된 신규 생성형 AI 기반 어시스턴트 ‘아마존 Q(Amazon Q)’를 발표했다. 아마존Q는 다양한 고객사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됐다. 고객사의 이용자에 대해 역할과 권한에 따라 맞춤형 기능을 제공하며 AI 모델 학습을 위해 고객의 데이터를 활용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엔터프라이즈형 AI 모델처럼 보안 관련 부분에 집중한 모습이다. 스와미 시바수브라마니안(Swami Sivasubramanian) AWS 데이터 및 AI 부문 부사장은 “생성형 AI는 정보 검색과 아이데이션, 앱 설계와 구축에 이르기까지 업무 형태 전반을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다”며 “AWS는 고객의 목적에 맞는 인프라와 도구, 애플리케이션 등의 계층에서 다양한 솔루션을 통해 생성형 A
[더테크=이지영 기자] 브이디컴퍼니가 로봇 체험 캠페인을 진행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캠페인은 일상에 스며든 로봇에 대한 친근감 형성과 동시에 로봇 기술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등 로봇의 사회적 수용성을 한층 더 강조했다. 로봇 전문 기업 브이디컴퍼니는 지난 27일부터 이틀간 경기도 과천시 문원초등학교와 문원병설유치원에서 로봇 체험 캠페인을 진행했다. 문원초등학교 아버지회와 협업한 이번 캠페인은 교통안전과 로봇 기술 체험, 식사 위생 등 3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로봇에 대한 어린이들의 친근감을 높였다. 이날 행사에는 신계용 과천시장도 참석해 로봇 조기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함판식 브이디컴퍼니 대표는 “로봇은 어려운 것이 아니고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었다”며 “앞으로도 어린이들의 로봇 경험을 풍성하게 해줄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해 IT 인재 조기 양성을 돕고 싶다”고 말했다. 브이디컴퍼니는 어린이들이 로봇을 다양한 환경에서 체험하고 관련 기술을 체험해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등교시간 문원초등학교 근처 사거리 횡단보도에 안내로봇인 ‘케티봇’을 배치해 학부모를 도와 어린이들의 안전한 등굣길 보행을 지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