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지영 기자] 카카오와 행정안전부는 27일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민이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AI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것이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카카오톡 내 ‘AI 국민비서(가칭)’ 시범 서비스를 올해 안에 선보일 계획이다. 이용자는 별도의 앱 설치나 로그인 절차 없이 카카오톡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초기 시범 단계에서는 전자증명서 발급 및 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 등의 기능이 제공된다. 카카오는 다양한 공공기관의 API를 카카오의 AI 기술과 연동해 ‘AI 국민비서’를 구현한다. 특히 자체 개발한 AI 모델 ‘카나나(Kanana)’를 적용해 사용자의 문맥과 의도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실제 서비스 실행까지 지원한다. 또한 MCP와 ‘AI 에이전트 빌더’를 활용해 공공, 지역, 지식 등 다양한 분야의 AI 에이전트를 제작하고, 이용자의 목적에 맞는 서비스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용자는 카카오톡 대화만으로 원하는 행정 서비스를 완결형으로 처리할 수
[더테크 이승수 기자] HD현대가 글로벌 리더들과 함께 미래 조선업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HD현대는 27일 경주엑스포대공원 문화센터 문무홀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퓨처 테크 포럼: 조선’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Shaping the Future of Shipbuilding’을 주제로 진행됐다. 정기선 HD현대 회장을 비롯한 HD현대 임직원, 헌팅턴 잉걸스, 안두릴, 지멘스 등 주요 연사와 조선업계 관계자, 학계 및 정부 관계자 등 총 600여 명이 참석했다. 정 회장은 기조연설에서 혁신 기술을 통한 조선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며 글로벌 협력을 당부했다. 정 회장은 “인공지능(AI)은 선박의 지속가능성과 디지털 제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서는 산업의 경계를 넘어서는 긴밀한 글로벌 혁신 동맹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HD현대는 첨단 역량을 기반으로 미국의 해양 르네상스를 위한 든든한 파트너로 여정에 함께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AI 혁신 기술, 스마트 조선, 미국과의 전략적 협력 등 조선업의 미래 비전과 혁신 방향을 공유했다. HD현대의 협력 파트너
[더테크 이승수 기자] 3분기 중소기업 수출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가 27일 발표한 ‘2025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에 따르면, 3분기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한 305억 달러를 기록하며 3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1~9월 누계 수출액도 871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8% 늘어나며 역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 수출기업 수는 89,418개사로 전년보다 3.0% 증가하며 역대 최고 수준을 보였다. 월별로는 7월 수출액이 전년 대비 8.3% 증가했으며, 8월에는 소폭 감소(-2.1%)했지만 9월에는 화장품과 자동차 등 주요 수출 품목의 호조세와 조업일수 영향으로 30.0% 급증했다. 품목별로는 중소기업 상위 10대 수출 품목 중 9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자동차 수출액은 26.2억 달러로 전년 대비 80.0% 급증하며 한국 중고차에 대한 해외 인지도가 높아진 영향이 반영됐다. 화장품 수출액은 22.1억 달러로, 미국에서만 4.9억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분기 최고치를 경신했고, 폴란드, 영국, UAE 등 유럽·중동 시장으로의 수출도 크게 확대됐다. 1~9월 누계 기준으로
[더테크 서명수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해법으로 AI 투자, 한일 경제연대, 성장지향형 규제 전환, 해외 인재 유입과 메가샌드박스 도입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26일 유튜브 채널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압권이 공동 진행한 인터뷰에서 오는 APEC CEO 서밋의 의미와 한국 경제의 방향성을 언급했다. 그는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APEC 회원국 정상들이 한자리에 모여 향후 미·중 관계의 향방을 가늠할 자리”라며 “보호무역주의 시대의 해법을 논의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대한상의 회장으로서 APEC CEO 서밋 의장을 맡고 있으며, 이번 행사는 글로벌 기업인 1700여 명이 참여하는 최대 규모 경제 포럼으로 열린다. 그는 “과거처럼 WTO 체제 아래 자유무역이 회복되긴 어렵다”며 “1960년대부터 이어져온 수출 중심 성장 공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 우려를 벗어나려면 새로운 성장 방정식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제 블록화와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해법으로 한일 경제연대를 꼽았다. 최 회
[더테크 이지영 기자] 세종 국가시범도시 분석 통해 TUE(기술-사용자-환경) 프레임워크 최초 적용한 모델이 입증됐다. 27일 건국대학교는 건축학부 최준호 교수가 세종 국가시범 스마트시티 시민을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기술 수용 요인을 ‘기술-사용자-환경(TUE)’ 프레임워크로 분석하고, 시민 중심의 스마트시티 수용 모델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기존의 기술수용모형(TAM)과 조직-환경(TOE) 모형을 확장해 개인 수준에서 기술, 사용자, 환경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새로운 TUE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세종 국가시범도시를 사례로 한 실증 분석을 통해, 스마트시티 기술이 시민의 일상 속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활용되는지를 체계적으로 규명했다. 연구 결과, 사용자 관련 요인이 기술적 또는 환경적 요인보다 스마트시티 서비스 수용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세대와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시민의 수용 경향을 도출하고, 맞춤형 스마트시티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세종 국가시범도시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시민 중심 스마트시티 수용 분석으로, 기술 인프라 중심의 기존 접근에서 벗어나 '시민 경험과 인식 중심의 정책 설계'로의 전환
[더테크 이승수 기자] 한국에머슨이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조선·해양 기자재 전시회 ‘국제 조선 및 해양 산업전(KOMARINE 2025, 이하 코마린)’에 참가해 해양 산업의 디지털 혁신 방향을 제시했다고 27일 밝혔다. 한국에머슨은 이번 전시에서 자동화, 보안, 운영 효율, 환경 대응 등 해양 산업의 주요 과제를 해결하는 엔드 투 엔드 통합 솔루션을 공개했다. 전시 부스는 무한 자동화, 해양 사이버 보안, 에너지 절감 및 최적화, 친환경 선박 기술 등 4가지 테마로 구성돼, 스마트하고 지속 가능한 해양 산업의 미래를 제시했다. 에머슨은 지능형 계기부터 제어, 분석까지 전 과정을 연결하는 통합 자동화 플랫폼을 비롯해 ▲IACS UR E27 인증을 획득한 Aperio 시스템과 보안 내장형 통합 제어 플랫폼 DeltaV ▲선박 운항 자동화 시스템(IAS)과 상거래용 운송 시스템(CTS) 통합 솔루션 ▲대체 연료 레벨 측정 및 밸브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이를 통해 국제 해운 규제 대응과 함께 운항 효율 및 수익성을 높이는 차별화된 기술 역량을 입증했다. 부스에서는 제품 데모와 기술 시연을 통해 솔루션의 실시간 운용, 데이터
[더테크 이지영 기자] 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가 국내 디지털 플랫폼의 경제적 가치와 소비자 후생을 계량 분석한 ‘디지털 경제 리포트 2025’를 27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우리가 무료로 사용하는 디지털 서비스가 실제로 우리 삶에 얼마나 큰 가치를 주는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해, 국내 사용자들이 체감하는 디지털 서비스의 후생 가치를 수치로 산출했다. 연구진은 국내 주요 디지털 서비스 12개를 대상으로 일반 국민 6,000명을 상대로 실험경제학 기법을 적용해 서비스별 소비자 후생을 분석했다. 그 결과, 검색과 지도 서비스에서 가장 높은 후생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면 1인당 연간 최소 2,077만원 수준으로 추정됐다. 이러한 결과는 2019년 스탠퍼드대 Eric Brynjolffson 교수가 수행한 미국 내 연구와도 정성적으로 일치한다. 당시 미국에서도 검색엔진과 지도 서비스가 각각 17,530달러, 3,648달러(2017년 기준)로 가장 높은 소비자 후생을 보인 바 있다. 연구진은 국내 대표 플랫폼 생태계인 네이버에 동일한 분석 방법을 적용해 플랫폼 내 서비스별 후생 기여도를 추정했다. 그 결과 네이버 생태계에서 발생하는 전체
[더테크 이승수 기자] AI 버추얼 트윈 전문기업 다쏘시스템이 바이오소재 스타트업 마이셀과 함께 국내 최초로 LCA와 DPP를 Cofinity X 플랫폼과 연계하는 프로젝트를 공식 수주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기업이 LCA·DPP·지속가능성 체계를 선제적으로 도입한 첫 사례로, 다쏘시스템이 주도적 기술 파트너로 참여해 국제 표준 기반의 데이터 협업 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LCA는 제품의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계산하고 관리하는 기법이며, DPP는 모든 제조품이 타국으로 수출될 때 제출해야 하는 제품의 디지털 여권 역할을 한다. 두 제도는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확산 중이며, 특히 중소기업의 대응 수준이 완성품 기업의 DPP 완전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국가 산업 전반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핵심 과제로 주목받고 있다. EU는 이미 탄소국경조정제도와 디지털 제품 여권을 도입해 공급망 전반의 데이터 투명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시장에서는 소재 기업이 LCA 기반의 탄소 배출량과 지속가능성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 요건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계약을 통해 마이셀은
[더테크 서명수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지난 24일 도레이그룹과 전략적 공동 개발 계약(Strategic Joint Development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체결식은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그룹 본사에서 열렸으며, 현대자동차그룹 김흥수 부사장(GSO 본부장), 홍승현 상무(기초소재연구센터장), 도레이그룹 테라다 미키 복합재료사업본부 부문장, 도레이첨단소재 김영섭 사장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해 4월 도레이그룹과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등 고성능 복합소재의 공동 개발을 위한 포괄적 협력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후 양사는 긴밀한 기술 교류를 이어오며 협력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양사의 역량을 결합한 개발 로드맵을 구체화해왔다. 이번 전략적 공동 개발 계약은 양사의 파트너십을 한 단계 더 구체화한 것으로, 현대자동차그룹은 고성능 차량과 달 탐사용 로버, 휴머노이드 로봇 등 특수목적형 모빌리티에 적용할 첨단 소재 및 부품 개발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선도하고, 고기능 복합소재의 상용화를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더테크 서명수 기자] SK하이닉스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린 ‘2025 OCP(Open Compute Project) 글로벌 서밋’에서 차세대 낸드 스토리지 제품 전략을 공개했다. 27일 SK하이닉스는 “AI 추론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방대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낸드 스토리지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AIN(AI-NAND) Family’ 라인업을 구축, AI 시대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김천성 부사장이 이그제큐티브 세션 발표자로 나서 AIN Family의 핵심 기술과 개발 전략을 소개했다. SK하이닉스가 선보인 AIN Family는 AIN P, AIN D, AIN B 세 가지 제품군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각각 AI 연산 성능 강화, 대용량 데이터 저장 효율화, 고대역폭 구현을 목표로 설계됐다. ‘AIN P’는 대규모 AI 추론 환경에서의 데이터 입출력 병목을 최소화해 처리 속도와 에너지 효율을 높인 솔루션이다. 회사는 낸드와 컨트롤러를 새로운 구조로 설계하고 있으며, 2026년 말 샘플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AIN D’는 저전력·저비용 기반의 고용량 스토리지로,
[더테크 이승수 기자] 글로벌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기업 앤시스코리아는 지난 23일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함께 국내 항공엔진 개발 역량 강화와 디지털 엔지니어링 기반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차세대 항공엔진 개발 프로젝트에 앤시스코리아의 첨단 시뮬레이션 기술과 디지털 엔지니어링 역량을 결합해, 설계부터 검증과 운용에 이르는 전 과정을 디지털 중심으로 혁신하기 위한 협력의 일환이다. 양사는 앤시스의 첨단 시뮬레이션 기술과 기술 지원을 기반으로 한 공동 기술 협력,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투자 및 협력 인프라 구축, 그리고 디지털 미션 엔지니어링(Digital Mission Engineering, 이하 DME) 분야의 상호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DME는 실제 운용 환경을 가상으로 재현해 시스템 수준의 성능을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차세대 엔지니어링 접근법이다. 기존의 부품 단위 해석을 넘어 비행 궤적, 대기 조건, 임무 환경 등 실제 상황을 반영한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더테크 이지영 기자] KAIST는 기술가치창출원이 오는 28일 서울 코엑스에서 ‘2025 KAIST 테크페어’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기술사업화 촉진을 목표로, KAIST가 보유한 첨단 연구성과를 산업계와 직접 연결하는 자리다. 올해 테크페어의 주제는 ‘딥테크 기반의 혁신, 산업 현장으로’로, 인공지능(AI), 바이오·의약, 첨단소재, 로봇, VR 인터페이스 등 미래 산업을 이끌 핵심 기술이 총망라된다. 참여 기업들은 KAIST 연구진과 만나 기술이전, 투자, 1:1 상담 등 실질적인 협력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행사는 KAIST 대표 산학협력 프로그램인 ‘ILP(Industry Liaison Program)’ 소개로 시작된다. ILP는 기업과 KAIST가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해 기술 수요를 공유하고, 공동연구 및 맞춤형 기술자문을 진행하는 협력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최신 연구성과와 기술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진행되는 기술이전 설명회에서는 KAIST 연구자가 직접 발표하는 사업화 유망 기술 8종이 공개된다. 올해는 특히 바이오와 인공지능 분야의 신기술이 다수 포함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