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LS일렉트릭이 LG유플러스와 국내 중견·중소기업 대상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 확대에 손을 잡았다. LS일렉트릭은 2일 LS용산타워에서 LG유플러스와 ‘중견·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사업 확대’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권봉현 LS일렉트릭 자동화CIC(사내독립기업) COO(최고운영책임자)와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신사업그룹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LS일렉트릭의 스마트 공장 플랫폼 ‘테크스퀘어(Tech Square)'를 기반으로 LG유플러스의 차세대 통신기술을 적용해 국내 중견·중소 제조기업 맞춤형 시장 공략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LS일렉트릭 테크스퀘어는 전문가 멘토링 등 제조기업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통해 스마트공장을 제대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플랫폼이다. △생애주기 밀착형 멘토링 △공급기업 매칭 △프로젝트 관리 △유지 보수 등의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LS일렉트릭은 이번 협약을 통해 세계경제포럼(WEF) 등대공장으로 선정된 청주 스마트공장 구축 노하우와 테크스퀘어 운영 역량을 바탕으로 기업 맞춤형 로드맵 수립, 멘토링, 기업 매칭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통신망을 기반으로 제조…
[더테크 뉴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이 한솔 PNS와 ‘스마트 팩토리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서울 강서구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사무실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김경록 대표, 서상훈 본부장과 한솔PNS 김형준 대표 등 양 사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양 사는 한솔 PNS의 IT 역량과 슈나이더 일렉트릭 OT 영역의 강점을 결합해 스마트 팩토리 분야에서 상호 이익과 발전을 위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 관리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세웠다.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한솔 PNS는 △제조실행시스템(MES)의 상호 솔루션 협력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연계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 프로젝트 진행 등 각 분야에서 협력을 이어간다. 한솔PNS는 이번 협약으로 아비바(AVEVA)와 프로레이트(ProLeiT)의 제조실행시스템을 도입한 뒤 상호 솔루션 연계 가능성을 검토해 솔루션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신규 세그먼트 업체에 맞는 최적화한 시스템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에너지관리솔루션은 센서, 무선 미터기 등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데이터 가시화 및 리포트를 제공하는…
[더테크 뉴스] 오토닉스가 산업 현장 내 설비, 공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SCADAMaster’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는 다양한 장치·장비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중앙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다. 해당 소프트웨어를 통해 현장 전체를 관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산공정 단위의 세부 관리 운영도 가능해 스마트팩토리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오토닉스가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SCADAMaster는 스마트팩토리 분야의 표준으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인 OPC UA와 모바일 기기나 낮은 대역폭의 소형 디바이스에 최적화한 MQTT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프로토콜을 함께 지원한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MES, ERP 등 상위 시스템뿐 아니라 다양한 생산 현장 제어기기와 연결할 수 있어 여러 곳에 분산된 현장 내 장비의 데이터 수집을 쉽게 한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이미지,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통해 실제 현장과 비슷하게 작화할 수 있는데, SCADAMaster는 이미지를
[더테크 뉴스] 유라는 전장 설계 ECAD 솔루션인 ‘CADvizor WORK(캐드바이저 워크)’를 출시한다고 13일 밝혔다. AWS 인증 솔루션인 CADvizor는 자동차부품, 인공위성, 농기계 등 다양한 업체들이 사용하고 있다. 이번에 출시되는 캐드바이저 워크는 전장 설계 도면을 빠르고 품질 높게 생산할 수 있도록 작업지시서 작성을 지원한다. 생산 작업자에게 정확한 제품 정보 및 최적화된 생산 방법에 대한 가이드를 도와준다. 또한 하나의 설계 도면을 여러 개의 작업지시서로 분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작업지시서 작성 시간을 90% 이상, 생산 리드 타임은 30% 이상 절감시켜줄 수 있다. 전장 제품은 와이어 절단, 반제품, 조립, 출고 과정을 거치게 된다. CADvizor Logic 솔루션과 MFG 솔루션을 활용해 전장 설계를 완료 후 캐드바이저 워크를 통해 작업지시서를 생성할 수 있다. 작업지시서는 개별 작업자에게 생산 및 제작 방법 등을 상세히 안내해준다. 한편, 유라는 국내외 16개국에서 44개 사업장을 운영하는 글로벌 메이저 전장부품 업체로, 전장 설계 CAD S/W인 CADvizor를 판매하고 있다.
[더테크 뉴스] 페펄앤푹스는 자사 브랜드 이콤 인스트루먼츠(ECOM Instruments)가 지난 11월 8일부터 10일까지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열린 ‘SPS(Smart Production Solutions)’에서 모바일 작업자와 스마트 공장의 위험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에코시스템 데모를 선보였다고 밝혔다. 이콤 인스트루먼츠가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한 주요 제품은 현재 시장에 공급되는 솔루션 중 가장 가벼운 180g의 Visor-Ex 01 본질 안전 스마트 글라스와 넓은 8인치 디스플레이를 갖춘 본질 안전 Tab-Ex 03 태블릿, Smart-Ex 02 본질 안전 스마트폰이다. Visor-Ex 01은 ATEX 및 IECEx에 따라 인증된 최초의 장치이다. 이 스마트 안경은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개별 구성 요소로 분산시키는 독보적인 새로운 개념을 적용했다. 카메라와 마이크가 통합된 스마트 안경과 스마트폰 Smart-Ex 02 및 외부 배터리 장치로 구성된 모듈식 시스템은 모바일 작업자들에게 최대한의 유연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업에서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새로운 원격작업 방식을 지원한다. Visor-Ex 01의…
[더테크 뉴스] PTC코리아는 OEM 파트너사 아이티언 및 와이엠엑스와 함께 제작한 SaaS 기반 산업용 메타버스 플랫폼서비스 ‘MX스페이스(MXSpace)’를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전문기업 엠투아이코퍼레이션에 공급했다고 2일 밝혔다. MX스페이스는 PTC의 증강현실(AR) 및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과 아이티언의 메타버스 기술력이 결합된 플랫폼이다. 엠투아이는 스마트팩토리 구축의 필수 요소인 스마트HMI, 스마트SCADA(원격 감시제어 및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및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엠투아이 솔루션은 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2차전지, 제약·바이오 등에 적용되고 있다. PTC의 증강현실(AR) 솔루션 ‘뷰포리아(Vuforia)’와 IIoT 플랫폼 ‘씽웍스(ThingWorx)’를 기반으로 제작된 MX스페이스는 사물인터넷과 증강현실을 결합해 엔드-투-엔드로 연결된 디지털 트윈 환경을 제공한다. 엠투아이는 MX스페이스를 활용해 사람과 자산, 데이터를 통합·관리함으로써 생산부문, 외주가공, 고객지원 등 다양한 업무 분야에 적용하고, 메타팩토리(Meta-Factory) 전환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MX스페이스는 지난해 6월 솔루션
[더테크 뉴스] 앤시스코리아는 26일 본사가 내년 1월 5일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 2023’에 참가해, 자사의 포괄적인 시뮬레이션 솔루션이 모빌리티 산업을 위한 연결, 자율, 공유 및 전기 미래를 어떻게 가속화하는지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앤시스는 고객 및 파트너와 함께 전기화 및 자율주행 분야에서 업계를 선도하는 진취적인 계획(이니셔티브)를 소개할 예정이다. 앤시스는 스타트업에서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모빌리티 이니셔티브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전문 지식, 글로벌 규모 및 개방형 에코시스템을 제공한다. 전 세계의 엔지니어링 팀은 앤시스 시뮬레이션 솔루션을 사용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현실로 구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독일의 자동차 부품 제조 기업인 제트에프 그룹 엔지니어는 앤시스 솔루션을 사용해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의 개발, 가상 프로토타이핑, 검증 및 안전 진단을 간소화하고 가속화하고 있다. 앤시스 솔루션으로 앤지니어는 물리적 프로토타입(시제품) 없이 제품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정확하게 확인해 깊은 통찰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원을 절약하고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CES…
[더테크 뉴스] 인천테크노파크의 ‘지역기업 혁신성장 바우처 지원사업’이 기업 성장의 밑거름 역할을 하고 있다. 인천TP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올해 인천지역 20개 중소기업에 45건의 맞춤형 바우처 프로그램을 지원, 매출 136억 원, 고용 창출 77명의 성과를 냈다고 13일 밝혔다. 또 투자유치(6건), 인증·수상(33건), 연계 지원사업 선정(56건) 등도 이끌었다. ㈜케이원시스템(대표 김풍기)는 혁신성장 바우처 지원을 받아 시장에 내놓은 초음파식기세척기가 호평받으며 ‘인천시 품질 우수제품기업’으로 지정됐다. ㈜제이치글로벌(대표 오주명)은 가시광촉매 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사업화로 중기부 장관상과 산업부장관상을 잇달아 받았으며, 산업용·지능형로봇을 제조하는 ㈜나우로보틱스(대표 이종주)는 ‘인천시 일자리 창출 우수기업’ 인증과 함께 산업부장관상을 받았다. 올해 초 과기부 장영실상을 받은 ㈜이뮤니스바이오(대표 강정화)는 첨단 바이오 의약품과 면역세포배양액 사업화로 ‘과기부 우수기업 연구소’ 인증을 얻어냈다. 또 화장품 용기 증착과 내코팅 기술 전문기업 ㈜명광(대표 황창희)은 ‘중소기업 혁신 유공자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바이오액츠(대표 나종주)는 생체분자
[더테크 뉴스] 세믹스하우징이 스마트 공장 완공으로 친환경 무기질 도료 ‘에코명품그린벽’ 생산라인을 가동했다고 13일 밝혔다. 세믹스하우징은 2002년부터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건축 마감자재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기업이다. 창사 이후 친환경 건축 마감재 연구개발을 지속해 2005년에는 관련 특허를 받았고 환경부에서 녹색환경대상을 받은 데 이어, 국가 공인 인증 기관인 KCL(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성능 인증은 물론 감염성 예방 관련 미국FDA에서 무기질 도료 친환경 제품 등록 인증서를 받았다. 세믹스하우징의 친환경 무기질 도료인 ‘에코명품그린벽’의 과거 제품 생산라인이 원료의 계량, 이송, 포장 등을 수동으로 생산했다. 하지만 이번 스마트공장 완공을 통해 에코명품그린벽 제품의 계량, 이송, 교반, 포장 등 전 공정이 스마트 시스템으로 교체돼 보다 향상된 생산능력과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양산할 수 있게 됐다. 친환경 무기질 도료는 신축 아파트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과 유해 미생물 등으로 인해 알레르기성 질환, 호흡기 질환, 아토피 피부염, 폐암, 천식, 기관지염 등을 유발하는 이른바 새집증후군을 저감하고, 국민의 건강과 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을 위해 정부가…
[더테크 뉴스] LS ELECTRIC이 합리적인 가격에 제조 공정을 개선하는 동시에 효율적인 설비 관리가 가능한 대·중소기업 상생형 스마트공장 모델을 선보인다고 2일 밝혔다. LS일렉트릭은 오는 5일부터 7일까지 3일 간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중소벤처기업부 주최로 열리는 ‘2022 스마트제조혁신대전’(SMIE)에 참가해 중소기업형 스마트공장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관련 솔루션을 소개한다고 밝혔다. ‘스마트 제조 혁신의 함성, 함께 성장하는 대한민국’을 슬로건으로 내건 SMIE 2022 전시는 민관 합동으로 함께 이뤄낸 ‘스마트공장 3만개 보급·확산’ 성과를 알리고 디지털 전환 시대의 향후 새로운 스마트 제조 혁신 추진을 위한 공감대 형성을 위해 마련됐다. LS일렉트릭은 8부스(72㎡) 전시공간에 ‘스마트공장 파트너’라는 콘셉트로 ‘테크스퀘어(TECH SQUARE)’와 ‘스마트공장(Smart Factory)’ 등 2개 테마로 전시를 구성한다. 테크스퀘어는 시장에서의 정보 불균형을 해소해 줌과 동시에 전문가 멘토링, 최적 파트너사 매칭 등 제조기업에게 최적화 된 서비스를 통해서 스마트 공장을 제대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스마트 공장 플랫폼이다. LS일렉
[더테크 뉴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 연구진이 담수화 공정 후 폐기되는 농축수로부터 담수와 고순도 리튬을 얻을 수 있는 순환형 에너지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생기원 한러혁신센터 정다운 박사는 해수담수화 연구를 진행하던 중 버려지는 고염도 농축수가 해양생태계를 교란시킨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이를 재이용할 수 있는 연구 개발을 병행한 끝에 이번 성과를 얻었다. 연구팀은 먼저, 전기투석 방식의 담수화 시스템의 경우 높은 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해 증산발전 소자를 개발했다. 증산발전 소자는 한 쪽에 물을 주입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반대쪽 건조한 방향으로 물이 흐르면서 그 차이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식물이 뿌리에서 흡수한 물을 잎의 기공을 통해 내보내는 증산작용 원리에서 착안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로, 한 번만 물을 주입하면 공기 중의 수분을 자동으로 흡수해 자가 발전하는 순환형 시스템이다. 이때 전력은 소자 내 물의 이동 속도와 증발량에 좌우되는데, 연구팀은 친수성인 셀룰로오스 파이버를 수직배향 하고, 섬유조직 하나하나에 나노크기의 카본입자를 코팅하는 방식으로 표면적을 넓혀 물의 이동과 증발에 유리한 원통형 소자를 제작했다.
[더테크 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96개 과제 525억원 규모의 신규 지원과제를 공고한다고 7일 밝혔다. 올해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은 지난해 대비 11.5% 증가한 9,375.6억원 규모다. 이중 계속예산은 8,370.3억원, 신규예산은 1,005.3억원으로 금번 공고는 신규예산 중 일부에 대한 1차 기획과제 공고이다. 주요과제로 리튬인산철전지용 친환경 양극소재·전해액·셀, 이차전지 제조용 리튬 고내식성 내화세라믹 소재 및 부품, 차량용 열관리 접착제 및 Cell to Pack 배터리시스템 등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미래 첨단신산업 소부장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41개 과제, 194.9억원 신규 공고 한다. 2.5D·3D 패키지용 실리콘 기반 핵심 수동부품, 맞춤형 생체이식 및 인공생체모사체용 소재, 6G용 초고주파 저손실 소재 및 통신부품, AAV용 통합 항공전자시스템 등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탄소중립, 폐자원 재활용 등 ESG 대응에 필요한 차세대 기술개발을 위해 34개 과제, 196.3억원 신규 공고 폐자원을 활용한 마그네슘 친환경 제련,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선박 풍력추진시스템, 수소전기차용 실링 및 서브 가스켓이 일체화된 프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