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클로이(CLOi) 로봇 구독 서비스를 앞세워 B2B 신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이달부터 ‘로봇 구독 서비스’를 시작한다. 고객들은 공감지능(AI) ‘클로이 서브봇’을 리테일 매장, 호텔, 병원, 식당 등 공간에서 구독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번 로봇 구독을 통해 서비스 로봇 도입을 원하는 고객들은 초기 구매 비용을 비롯해 전문적인 제품 관리 및 점검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LG전자는 계약기간 동안 6개월마다 케어솔루션 매니저를 통해 △제품 상태 점검 △외관 파손 점검 △ 클리닝 등 전문적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LG 클로이 서브봇은 6개의 바퀴에 독립 서스펜션을 적용해 불규칙한 바닥에서도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다. 라이다 센서와 3D 카메라를 활용해 공간을 인식하고 40kg까지 식기를 담을 수 있다. CMS(Content Management System)를 탑재해 모바일로도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고 10인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대기 고객들에게 각종 홍보영상과 메뉴 안내 및 테이블 에스코트 기능도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LG전자는 사내벤처에서 개발한 ‘튀봇(TuiiBot)’ 구독 서비스도 함께 선보인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구글의 차세대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를 탑재한 ‘LG 클로이’(CLOi) 로봇을 공개한다. LG전자는 27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리는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Google Cloud Summit Seoul) 2024’에서 제미나이를 탑재한 ‘클로이 로봇’을 공개하고 △AI 챗봇 기능 △음성 이미지 생성 등을 시연한다. 제미나이는 구글의 생성형 AI 모델로 텍스트를 비롯해 음성, 이미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명령을 받는 멀티모달(Multimodality)이 특징이다. 클로이 로봇에 생성형 AI가 탑재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연내 구글의 AI를 탑재한 ‘LG 클로이 가이드봇(GuideBot)’을 출시하고 기존 출시된 안내 로봇에도 업데이트를 통해 생성형 AI 기능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생성형 AI로 언어 능력을 강화한 클로이는 고객과 대화에서 발생하는 유사한 질문에 대해 스스로 답변을 생성하는 등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강화한다. 생성형 AI를 도입한 클로이에 대해 LG전자는 보다 창의적이고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진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최근 주요 글로벌 빅테크도 AI 로봇 개발에 속도를 내며 시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인공지능(AI) 로봇과 고도화된 관제 솔루션을 앞세워 배송 및 물류 서비스 등 B2B 분야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이달부터 카카오모빌리티가 대형 오피스, 호텔, 병원 등 다양한 공간에서 선보이는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BRING)’에 AI 자율주행 배송 로봇인 ‘LG 클로이 서브봇’을 공급한다. 양사는 지난 2022년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혁신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이래 AI 로봇 배송 서비스 사업화를 위한 기술 협업을 지속해왔다. 이번에 공급된 배송 로봇인 양문형 LG 클로이 서브봇은 4칸의 양문형 서럽에 최대 30kg까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다. 일반적인 테이크아웃 커피를 최대 32잔까지 탑재할 수 있고 위생을 고려해 항균 처리된 소재 및 탈취용 환기팬을 적용했다. 로봇 전면에는 10.1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이동형 광고판 역할도 한다. 모바일 앱으로 콘텐츠를 올릴 수 있고 건물 내 에스코트 기능과 음성 안내 등을 지원한다. LG전자는 2030 미래 비전 달성을 위한 신사업 중 하나로 배송, 물류 등 상업용 로봇 사업의 역량 고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에는 AI 기반 자율 주행 서비스로봇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LG 클로이 서브봇(LG CLOi ServeBot)과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 오븐(SIGNATURE KITCHEN SUITE Transitional Wall Oven)의 디자인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LG전자는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4(Red Dot Design Award 2024)’에서 최고상 2개를 포함해 총 28개 상을 받았다고 4일 밝혔다.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는 iF 디자인 어워드, IDEA(International Design Excellence Award)와 함께 세계 3대 디자인상으로 꼽힌다. 혁신 기술을 디자인에 담아낸 LG 클로이 서브봇은 최고상을 받았다. 서브봇은 3단 트레이로 한 번에 많은 음식을 나르면서 음식을 쉽게 꺼낼 수 있으며 안정감이 돋보이는 디자인으로 구성됐다. 사용자는 매장 환경, 배송 물품에 맞게 트레이 높이를 조절하거나 뺄 수 있으며 넓은 트레이, 40kg까지 탑재할 수 있어 많은 양을 쉽게 옮길 수 있다. 서브봇은 6개의 바퀴에 독립 서스펜션이 적용돼 불규칙한 바닥 환경에서도 안정된 주행이 가능하다. 라이다 센서, 3D 카메라로 공간을 인식하고 AP 없이 로봇 간 통신이 가능해 10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픽업과 검수, 배송까지 물류 전 과정을 아우르는 통합물류(Fulfillment) 서비스 분야와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인공지능(AI) 기반의 산업용 로봇 라인업을 선보였다. LG전자는 최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북미 최대 규모의 물류 전시회 ‘모덱스(MODEX 2024)’에 참가했다고 15일 밝혔다. LG전자가 물류 전시회에 단독 부스를 꾸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모덱스에서 LG전자는 초고속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물류 시스템과 연동된 오더피킹(Order Picking) 로봇 △로봇 관제 시스템 △스마트팩토리 물류 자동화 솔루션 등을 소개했다. 조주완 LG전자 CEO는 “AI를 ‘공감지능(Affectionate Intelligence)’으로 재정의하고 ‘연결된 기기들을 조율 및 최적화’하는 의미해서 ‘조율·지휘지능(Orchestrated Intelligence)’이라고 규정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운송에 특화된 AI 물류 로봇인 ‘LG 클로이 캐리봇(CLOi CarryBot)’ 2종도 선보였다. 물품을 구분해 나눠 담는 적재형과 본체 뒤에 대량의 적재함을 장착한 롤테이너형이다. LG 클로이 캐리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인공지능(AI) 클로이 로봇을 앞세워 호텔 서비스 분야에서도 새로운 고객경험(CX) 혁신에 나선다. LG전자는 서울 중구 소공동 ‘웨스틴 조선 서울’ 호텔에서 조선호텔앤리조트와 ‘호텔 서비스 업무 효율화 및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서비스 로봇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양사는 △호텔에서 활용할 카트형 로봇 개발 및 공동 실증 △카트형 로봇의 최적화를 위한 프로세스 구축 △호텔 로봇 솔루션 적용 확대 등을 단계적으로 진행한다. 노규찬 LG전자 로봇사업담당 상무는 “서비스 로봇은 다양하ᅟᅵᆫ 공간에서 활용하기 위해 AI부터 통신, 관제를 아우르는 고도화된 기술을 요구한다”며 “일찍부터 쌓아온 차별화된 로봇 솔루션 역량을 토대로 새로운 고객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클로이 캐리봇(CLOi CarryBot)을 활용해 객실 정비용 카트, 식자재 무인 운반 등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한다. LG 클로이 캐리봇은 본체 후면에 대량의 물건을 적재하고 운반하는데 특화된 물류 로봇이다. 호텔에서 활용할 로봇은 투숙객이 이용하는 공간에서 직원과 함께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골프서비스 플랫폼 스마트스코어와 로봇 공급 계약을 맺고 동남아 시장으로 비즈니스 영역을 확대한다. LG전자는 스마트스코어와 2년간 1200여대의 안내·배송 로봇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5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280억원 수준으로 해외 단일 공급처 계약으로는 최대 규모다. 앞서 양사는 지난해 7월 ‘해외 골프시장 확대 및 로봇사업 추진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골프장 운영 솔루션 전문 사업자인 스마트스코어는 베트남과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대만 등 6개국 골프장 사업 진입과 차별화를 위해 LG전자의 로봇 솔루션에 주목했다. 노규찬 LG전자 로봇사업담당(상무)는 “LG 클로이의 우수한 성능을 기반으로 동남아시아 버티컬 서비스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는 동시에 로봇을 활용한 신사업 기획 및 개발 협업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계약은 LG전자는 로봇과 솔루션을 판매하면 스마트스코어가 이를 설치, 운영하는 형태다. LG 클로이 가이드봇과 서브봇은 골프장과 리조트, 호텔 등 다양한 공간에서 고객을 맞이한다. LG전자의 로봇은 골프 게임 진행과 숙소 체크인/체크아웃, 목적지 안내 등 고객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