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차세대 AI 서비스 로봇 공개

구글 제미나이 탑재해 스스로 학습하는 AI 클로이 로봇
“LG전자의 로봇 역량과 빅테크의 AI 시너지 통해 고객경험 혁신”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구글의 차세대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를 탑재한 ‘LG 클로이’(CLOi) 로봇을 공개한다.

 

LG전자는 27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리는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Google Cloud Summit Seoul) 2024’에서 제미나이를 탑재한 ‘클로이 로봇’을 공개하고 △AI 챗봇 기능 △음성 이미지 생성 등을 시연한다.

 

제미나이는 구글의 생성형 AI 모델로 텍스트를 비롯해 음성, 이미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명령을 받는 멀티모달(Multimodality)이 특징이다. 클로이 로봇에 생성형 AI가 탑재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전자는 연내 구글의 AI를 탑재한 ‘LG 클로이 가이드봇(GuideBot)’을 출시하고 기존 출시된 안내 로봇에도 업데이트를 통해 생성형 AI 기능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생성형 AI로 언어 능력을 강화한 클로이는 고객과 대화에서 발생하는 유사한 질문에 대해 스스로 답변을 생성하는 등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강화한다.

 

생성형 AI를 도입한 클로이에 대해 LG전자는 보다 창의적이고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진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최근 주요 글로벌 빅테크도 AI 로봇 개발에 속도를 내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스태디스타에 따르면 글로벌 AI 로봇 시장 규모는 연평균 25% 성장세를 이어가며 오는 2030년 643억달러(9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클로이는 LG전자의 AI 비전인 ‘공감지능(AI, Affectionate Intelligence)’이 적용된 대표적 제품이다. 서비스 로봇은 고객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는 만큼 주변 환경을 스스로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대처해야 하기에 고도화된 AI 기술 역량과 노하우가 요구된다.

 

최근 조주완 LG전자 CEO는 글로벌 AI 전문가들을 초청한 ‘북미 테크 컨퍼런스’에서 “산업 전반에 AI, 클라우드, 빅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가능성이 생겨나고 있다”며 “이러한 가능성은 다양한 핵심기술과 노하우를 축적해온 LG전자에 또 다른 기회 영역”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이번 협업을 통해 AI 로봇 생태계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로봇을 미래사업의 한 축으로 삼고 공항, 호텔, 식당, 병원, 리테일 매장, 스마트 물류창고 등 다양한 공간에서 쌓아온 로봇 솔루션 데이터와 AI 플랫폼 기술간 시너지로 미래 사업에서 한발 앞서 나간다는 계획이다.

 

노규찬 LG전자 로봇사업담당은 “LG전자가 쌓아온 고도화된 AI 로봇 기술 역량과 빅테크의 AI 플랫폼 기술 시너지를 통해 미래 신사업인 로봇 분야에서 고객경험 혁신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8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