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금속 화합물로 리튬 전지 수명 4배 향상

금속 플루오라이드 활용한 전극 공정 기술 개발
균일한 피막층 형성으로 전해질과의 부반응 완화

 

[더테크 뉴스] 리튬 금속 전극 표면의 품질을 상승시키는 기술이 개발됐다. 전해질 첨가제의 도움 없이 이종 원소가 이종 원소가 리튬과 합금화될 때의 반응 여부와 원리를 미리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인 합금 상태도를 활용했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현욱 교수팀은 금속 플루오라이드(MxFy) 화합물을 사용해 금속 표면은 내화학성이 좋은 리튬 플루오라이드 보호층으로, 내부는 리튬 원자의 이동성이 향상된 리튬 합금으로 이뤄진 전극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리튬 금속은 높은 용량과 낮은 구동 전압으로 이상적인 차세대 음극재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전지 구동 시 전기화학적으로 증착된 리튬의 불균일한 수지상 형성 및 전해질과의 부수적인 반응으로 인해 수명이 짧고 전기적 단락에 의한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리튬을 전착할 때 발생되는 새로운 리튬 표면은 지속적으로 유기 전해질과 반응해, 리튬 전해질에 손실을 입힌다. 또 이로 인해 형성되는 두꺼운 피막층이 성능을 크게 저하시킨다. 

 

 

연구팀은 리튬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먼저 낮은 열처리 조건에서도 리튬과 활발히 반응하는 금속 플루오라이드의 성질을 활용했다. 이 과정에서 리튬 플루오라이드는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면서 내부의 리튬 합금을 전해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 리튬 합금 전극은 전해질 첨가제가 포함된 전해질 시스템에서 구동할 때 기존 리튬 전극 대비 약 4배 이상, 약 2000시간 이상의 향상된 전지 수명을 보였다. 게다가 전해질 첨가제가 포함되지 않은 전해질 시스템에서도 700시간 이상 안정적으로 구동했다. 
    
연구팀은 실시간 투과전자현미경 분석법을 활용해 금속 플루오라이드 화합물이 리튬과 반응하는 메커니즘도 규명했다. 기존의 전해질 첨가제에 의존적인 리튬 표면층은 불완전하지만, 이번 연구로 개발된 균일한 리튬 표면 보호층은 특성이 향상된 리튬 금속 소재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김민호 UNIST 에너지공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이 연구는 합금 상태도를 이용해 기존 리튬 금속에 비해 계면 특성이 향상된 리튬 합금을 만드는 기준점을 제시했다”며 “기존에 고려되지 않았던 전해질 첨가제에 의한 리튬 표면 보호층의 불완전 형성을 완벽하게 보완하는 표면 개질 기술을 통해 리튬 금속 전지의 상용화를 위한 하나의 지표가 될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나노소재 분야 국제 저명학술지 ‘나노 레터스’ 4월 7일자에 온라인 게재됐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