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AM, 인천 도심서 첫 실증 착수… 미래 하늘길 본격 개척

아라뱃길 상공에서 운항절차·교통관리·버티포트 운영

 

[더테크 서명수 기자]  정부와 주요 기업의 협력을 통해 한국이 글로벌 항공 모빌리티 기술 표준과 시장 주도권 확보의 발판을 마련한다.

 

국내 차세대 항공 모빌리티 산업의 핵심으로 꼽히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이 실제 도심 환경에서 운영 가능성을 검증하는 실증 단계에 본격 돌입한다.

 

국토교통부는 22일부터 인천 아라뱃길 일대에서 ‘K-UAM 그랜드챌린지’ 2단계 도심 실증 사업을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실증은 복잡한 도심 상공에서 UAM 시스템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다.

 

앞서 전남 고흥에서 진행된 1단계가 개활지 환경에서 기본 비행 성능을 검증한 수준이었다면, 이번 2단계는 공항 인근 항로와 군 공역 등 다양한 항공교통이 존재하는 실제 도심 환경에서 안전성과 기술 신뢰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단계다.

 

이번 실증에는 ‘K-UAM 원팀(대한항공·인천국제공항공사·현대자동차·KT·현대건설)’과 ‘K-UAM 드림팀(한국공항공사·한화시스템)’이 참여한다. 두 컨소시엄은 도심항공교통법에 따라 처음으로 실증사업자로 지정받았으며, 그동안 축적한 기술력과 시스템을 공개 검증받는다.

 

이번 실증에서는 실제 UAM 기체인 eVTOL 대신 헬리콥터를 활용해 핵심 운용 체계 중심으로 검증이 진행된다. 공중 충돌 방지와 교통 흐름을 관리하는 ‘UAM 교통관리시스템’, 터미널 내 지상 이동과 안전을 책임지는 ‘버티포트 운영시스템’, 그리고 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5G 상공 통신망’ 등 도심항공의 ‘두뇌’ 역할을 하는 핵심 인프라의 안정성을 집중적으로 확인한다.

 

각 컨소시엄은 통신 장애나 GPS 오류 등 비정상 상황을 가정한 시뮬레이션도 병행한다. 이를 통해 실제 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변수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김홍목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이번 도심 실증은 국민이 상상하던 미래형 항공 모빌리티 시대를 여는 실질적인 첫걸음”이라며 “겉모습은 헬리콥터지만, 내부에서는 대한민국 UAM 생태계를 구성할 핵심 운용 체계의 역사가 쓰이고 있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이번 실증 결과를 기반으로 운용 기준과 제도적 기반을 보완하고, 향후 실제 UAM 기체를 활용한 비행 실증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