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서명수 기자] 대한항공과 삼성E&A가 SAF 기술 동맹으로 손잡으며 글로벌 친환경 항공 연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미국을 첫 협력 무대로 삼아 2세대 SAF 생산 생태계 구축에 나선 것이 골자다.
대한항공과 삼성E&A는 SAF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진행된 행사에는 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 남궁홍 삼성E&A 대표이사 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서 양사는 해외 SAF 생산 프로젝트 발굴, SAF 장기 구매 참여 검토, 신기술 투자, 기술 동맹 파트너십 등을 중심으로 협력한다. 양사는 보유 기술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결합해 안정적인 SAF 공급망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첫 협력 시장은 미국이다. 원료 확보가 용이하고 기술·인프라가 성숙한 미국은 글로벌 SAF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지역으로, 양사는 현지 프로젝트 참여를 우선 검토하고 있다.
삼성E&A는 EPC 역량을 기반으로 2세대 SAF 생산 플랜트 건설 참여를 논의 중이다. 목질계 폐기물을 고온 가스화 후 액체 연료로 전환하는 ‘가스화–피셔 트롭시(FT) 공정’이 핵심 기술로, 원료 제한이 컸던 1세대 SAF의 한계를 해결한 차세대 방식이다.
대한항공은 생산된 SAF를 장기 구매하는 오프테이커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 이는 신규 에너지 프로젝트의 안정성을 높이는 핵심 역할로, 해외 주요 항공사들도 이 방식으로 SAF 공급망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은 정부가 육성 중인 ‘ABCDEF’ 전략 산업군 가운데 에너지 신사업을 확장하는 대표 사례가 될 전망이다. 대한항공은 “넷제로 2050 목표 달성과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에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