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이지영 기자] 운항 중인 선박에서 3D 프린팅으로 필요한 부품을 제작하는 기술을 HD현대중공업이 개발해 미국선급(ABS)으로부터 세계 최초로 신기술 인증을 받았다. HD현대중공업은 최근 싱가포르에서 미국선급으로부터 ‘운항 선박 내 신속 MRO(유지·보수·운영) 대응을 위한 3D 프린팅 시스템’이 NTQ (New Technology Qualification, 신기술 사용 적합성 인증) 2단계 인증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HD현대중공업은 지난해 7월부터 울산광역시 및 산하기관, 씨에스캠, HD한국조선해양, HMM, 한국선급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운항 선박 내 유지보수 부품 자체 제조를 위한 3차원 프린팅 융합 실증기술’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해당 과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오는 2025년 12월까지 완료될 예정으로 운항 중인 선박에서 MRO 관련 부품을 신속하게 자체 제작할 수 있는 3D 프린팅 시스템 개발과 실증을 목표로 한다. 지난 1년간 HD현대중공업과 컨소시엄은 개발 과제의 개념설계 및 위험식별평가(Hazard Identification Study)를 완료해 기본설계를 마쳤다. 이번에 획득한 NTQ 인증은 ABS가 새로운 기술의
[더테크=이지영 기자] 마우저 일렉트로닉스(Mouser Electronics)가 20일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의 RNWF02 얼리 액세스(early access) 개발 키트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RNWF02 개발 키트는 원활한 클라우드 연결을 위한 와이파이와 호스트 마이크로콘트롤러 간의 통합을 간소화할 수 있다. 비용 효율적인 플러그앤플레이(plug-and-play) 설계로 스마트 홈 및 산업자동화, 헬스케어, 사물인터넷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RNWF02 얼리 액세스 개발 키트는 저전력, 2.4GHz IEEE® 802.11b/g/n 규격에 따라 완벽한 RF 인증을 획득한 무선 모듈을 갖췄다. 무선 LAN 모듈은 간단한 텍스트(ASCII) 명령을 이용해 클라우드에 쉽게 연결·설정이 가능하고 AT 명령을 활용해 2-와이어 또는 4-와이어 UART 인터페이스로 프로토타이핑할 수 있다. 아울러 전력관리 기능을 갖춘 통합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및 송수신(TX/RX) 스위치와 하드웨어 RoT (root of trust) 기반의 변경이 불가능한 보안 부팅, WPA3 및 TLS 인증을 갖춘 강력한 보안, 임베디
[더테크=이지영 기자] 지멘스 EDA 사업부가 20일 대학, 출반사, 교육 기술기업, 연구 기관 등 집적회로(IC) 설계 및 전자 설계 자동화(EDA) 산업 전반에 걸쳐 실무 커뮤니티 구축과 육성을 지원하기 위해 반도체 교육 연합(Semiconductor Education Alliance)에 가입했다고 발표했다. 전 세계 반도체 분야의 교육 및 기술 격차 해소를 위해 2023년 Arm이 설립한 ‘반도체 교육 연합’은 업계·학계·정부 전반의 주요 이해관계자가 모여 교사와 연구원, 엔지니어, 학습자가 새롭고 빠른 교육 경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리소스를 제공한다. 칼레드 벤크리드 Arm 교육 및 연구 담당 총괄 디렉터는 “반도체 업계는 기술과 인재 부족에 직면해 있어 업계 전반의 공동 대처가 필요하다”며 “업계가 인재 파이프라인을 육성하기 위해 힘을 모으는 과정에서 지멘스가 함께해 역량을 크게 강화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도라 스미스 지멘스 글로벌 학술 프로그램 총괄 디렉터는 “딜로이트에 따르면 반도체 산업은 글로벌 수요를 따라잡기 위해 2030년까지 100만명 이상의 숙련된 인력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반도체 교육 연합을 통해 Arm과 협력해 혁신
[더테크=이지영 기자]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 산하의 플리어(FLIR)와 초음파 검사 장비 기업인 UE Systems가 최근 FLIR Si2 시리즈 음향 카메라인 ‘Si2-Pro’, ‘Si2-LD’, ‘Si2-PD’를 시작으로 최첨단 예방 정비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협약을 맺었다. 협약에 따라 두 회사는 제조 안전성 개선 및 에너지 절약 지원 관련 전문 지식과 노하우를 적극 활용해 광범위한 산업 분야의 모니터링 니즈에 맞는 초음파 기술을 공동으로 제공한다. Si2 시리즈는 부분 방전 감지, 가압 누출 식별, 산업시설의 기계적 결함 등의 문제를 찾아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카메라 솔루션이다. 마크보첼라 FLIR 영업 및 마케팅 담당(부사장)은 “이번 협업을 통해 제조 산업을 대상으로 포괄적인 상태 모니터링, 예방 정비 및 에너지 절약 등을 기대할 수 있는 음향 이미징 솔루션과 전문 지식을 제공할 것”이라며 “FLIR의 브랜드파워와 더불어 UE Systems의 광범위한 지식을 활용해 두 기업이 좋은 기회를 찾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블레어 프레이저 UE 시스템 글로벌 기술 및 비즈니스 개발 담당(부사장)도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유지 보수 사업과 에너지 절약 사업
[더테크=이지영 기자] LG CNS가 음성만으로 언어를 구별하고 회의 참여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실시간 통역하는 솔루션 ‘오렐로’를 출시했다. 회사는 MS 팀즈를 시작으로 PC, 휴대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통역 솔루션으로 고도화할 예정이다. LG CNS는 20일 화상회의 다중 통역 솔루션 ‘오렐로(Orelo)’를 개발해 출시했다고 밝혔다. 오렐로는 국제공용어인 에스페란토어로 ‘귀’를 뜻한다. 오렐로는 음성만으로 100여 언어를 구별하고 회의 참여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동시통역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한국인이 미국인·일본인·베트남인과 화상회의를 진행하면서 이야기를 하면 오렐로는 해당 발언을 한국어로 인식하고 대화 내용을 영어·일본어·베트남어로 번역해 채팅창 형태의 자막으로 제공한다. 이어 미국인이 질문할 경우, 영어를 한국어·일본어·베트남어 등으로 번역하는 식이다. 오렐로는 일반적인 통역 솔루션과 달리 3개 이상의 다국어를 동시통역할 수 있다. 일반적인 화상회의 통역 솔루션은 회의 참여자들의 사용언어와 무관하게 1개 국어로만 번역한다. 아울러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회의록 작성 기능도 제공한다. 이용자들이 1시간 가량 진행한 회의를 A4 한 페
[더테크=이지영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한국특허전략개발원(KISTA)은 국내 정보보안 및 블록체인 기업의 사이버보안 신기술 경쟁력 강화 및 주도권확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으로 KISA와 KISTA는 제로트러스트, 통합모안, 블록체인 등 사이버보안 분야에서의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특허확보 및 표준화 전략 수립을 공동으로 지원한다. 세부적으로 △지식재산 전략 수립 △사업 수행 시 지식재산 전문가 활용 △우수 지식재산 보유 기업 발굴 및 육성 △전문가를 활용한 특허전략 협력체계 구축 △기술 경쟁력 강화 및 산업 발전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 이중 제로트러스트 분야의 경우 특허전략 지원을 통해 발굴된 국산 특허의 국제 표준 제정을 위한 방향성 수립에도 집중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난 4월 제로트러스트 및 특허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위원회를 발족했다. KISA는 연중 제로트러스트 관련 기술체계를 구체화할 예정이다. 이후 기술체계 관련 국내외 표준화 동향 등을 조사·분석해 핵심특허 표준화 전략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마련할 예정이다. 앞서 양 기관은 2023년 블록체인 기업 특허전략 수립지원(IP-R&D
[더테크=이지영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국민의 일상을 위협하는 디지털 민생범죄에 철저히 대응하고 ‘KISA 4대 발전전략(민생·안전·산업·역량)’을 실천하기 위해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고위험 사이버 공격에 대해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대응 태세 전환과 새로운 비전인 국민의 안전과 국익을 보호하는 최정예 정보보호 전문기관으로서 총력을 기울이고자 진행됐다. 디지털 민생범죄에 엄중히 대처하기 위한 국민피해대응단, 국민피해 관련 조사·분석을 위한 디지털위협분석팀, 스미싱대응팀이 신설된다. 또 매년 증가하는 스미싱 관련 국민 피해에 강경 대응하고 범죄 예방을 위한 보이스피싱대응팀을 국민피해대응단에 배치해 원팀 대응 체계를 갖췄다. 본 대응체계는 디지털 신기술로 다양해진 사이버 위협에 선제·공세 대응을 목표로 디지털위협대응본부에서 운영된다. 이와 함께 KISA는 개인정보의 안전과 활용을 강조해 개인정보안전활용본부를 두고 디지털 이용자 보호를 위한 창구를 일원화하기 위해 디지털분쟁조정지원팀을 전략 배치하는 등 국민 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또 AI 보안 등 신기술 보안정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정책연구실을 운영하고 정
[더테크=이지영 기자] 인스타그램이 유튜브와 카카오톡에 이어 한국인이 오래 사용한 스마트폰 앱 3위를 차지했다. 기존 3위였던 네이버 앱을 제쳤다. 앱/리테일 데이터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이하 와이즈앱)은 14일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앱’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4월 기준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한 앱은 ‘유튜브’로 1021억분으로 조사됐다. 2위는 카카오톡으로 325억분, 3위 인스타그램 209억분이었다. 그 뒤로 네이버 200억분, 틱톡 60억분, 네이버웹툰 49억분, 캐시워크 46억분, 티맵 43억분, 넷플릭스 41억분으로 집계됐다. 인스타그램은 와이즈앱이 모바일 앱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6년 3월 이후 처음으로 네이버를 제쳤다. 지난해 4월을 기준으로 네이버 227억분, 인스타그램 150억분에서 격차를 좁힌 인스타그램이 3위에 오른 것이다. 이는 한국에서 숏폼 콘텐츠 및 SNS 사용 시간이 지속해서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인스타그램은 메타에서 운영하는 이미지 중심의 SNS 서비스로 지난 2021년부터 숏폼 콘텐츠 위주의 ‘릴스’ 출시를 기점으로 젊은 세대에서 인기를 끌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와이즈앱이 한국인 안드로이드와
[더테크=이지영 기자] 삼성전자가 B2B 시장에 AI 가전을 공급하면서 생태계 확장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지난 9일 출시한 ‘비스포크 AI 무풍 시스템에어컨 인피니트 라인’을 ‘그란츠 리버파크’의 시행사 디에이티프라프티원에 공급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번 수주를 시작으로 고급 빌라, 타운 하우스, 시니어 타운 등의 B2B 시장에서 비스포크 AI 무풍 시스템에어컨 공급을 확대하고 함께 공급하는 냉장고, 식기세척기, 인덕션, 오븐 등 빌트인 가전에도 스마트싱스 연결을 지원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비스포크 AI 콤보 △비스포크 AI 스팀 △AI 기능이 탑재된 Neo QLED 8K TV 등 AI 가전으로 아파트와 오피스텔 등 주거공간 뿐 아니라 상업·교육시설, 전시장 등 B2B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AI 기능을 더욱 강화한 2024년 비스포크 AI 무풍 시스템에어컨은 프리미엄 디자인과 고효율 냉방 성능과 함께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탑재해 AI 기능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공간 내 활동량 변화를 감지해 냉방 세기와 풍량을 조절하는 ‘동작 감지 쾌적’ 기능도 제공한다. 오치오 삼성전자
[더테크=이지영 기자] LG이노텍이 프리미엄 완성차 업체들을 중심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차량 모듈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앞세워 급성장하고 있다. 회사는 더 얇고 밝으며 전력효율까지 뛰어난 모듈로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입장이다. LG이노텍은 올해로 상용화 10주년을 맞은 ‘넥슬라이드(Nexlide·Next Lighting Device)’를 앞세워 글로벌 차량용 조명 모듈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차량 조명은 시야 확보·신호 전달 등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돕는 단순 점등장치에서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맞이해 그 역할이 가치가 높아졌다. 세련된 자동차 외관을 디자인하면서 브랜드 차별화를 꾀하는 완성차 업체들을 중심으로 차량 조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LG이노텍의 차량용 플렉서블 입체조명 모듈 ‘넥슬라이드’는 미래 모빌리티 트렌드에 부합하는 차량 라이팅 솔루션으로 평가받으며 고객사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넥슬라이드’는 주간주행등,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Rear Combination Lamp) 등 차량의 다양한 곳에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다. 지난 2014년 넥슬라이드-A를 시작으로 최근 양산에 돌입한 넥슬라이드-M까지 총 9개 라
[더테크=이지영 기자] 한글과컴퓨터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사업적 도약과 함께 실적이 크게 성장했다. 한컴은 13일 2024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연결기준 매출액 546억원, 영업이익 63.6억원, 별도기준 338억원과 영업익 121.4억원을 기록하며 연결 및 별도기준 모두 지난해 동기 대비 15%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컴은 연결종속사의 사업 포트폴리오 개편과 수익 구조 개선에 집중해 연결기준 영업이익률이 11.7%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8% 성장했다. 별도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7.8%, 31.3% 늘어나며 영엽이익률 35.9%를 기록했다. 클라우드 및 웹 기반 제품군의 매출 비중이 전년 동기 8%에서 18.9%로 늘어나면서 성장에 기여했다. 회사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기존 설치형 ‘한컴오피스’의 안정적 성장 기조 아래 ‘한컴독스’와 ‘웹한글 기안기’ 등 클라우드와 웹기반 제품 확장에 더욱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한컴은 2분기를 비롯해 올해 클라우드 사업을 포함한 국내외 AI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AI 기반 질의응답 솔루션 ‘한컴피디아’의 상반기 정식 출시를 비롯해 연내에 ‘한컴독스
[더테크=이지영 기자] 다쏘시스템과 브라질 항공기 제조업체 엠브라에르는 9일 다쏘시스템의 시뮬레이션 기술로 UAM 기업 이브 에어 모빌리티의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를 가상으로 시뮬레이션 및 분석하고 시험하는데 사용됐다고 발표했다. 다쏘시스템의 시뮬리아 파워플로우(SIMULIA PowerFLOW) 애플리케이션은 강력한 유체 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작동 조건을 예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엠브라에르와 이브 에어 모빌리티의 엔지니어들은 항공기의 비행 방식과 소음 방출 테스트를 진행했다. 데이비드 지글러 다쏘시스템 항공우주산업 부문 부사장은 “eVTOL 항공기는 도심 지역에서 운항해야 하기 때문에 소음 감소가 설계의 핵심 요소 였다”며 “엠브라에르와 이브 에어 모빌리티는 다쏘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상 환경에서 항공기의 가장 중요한 부품을 경험하고 최적화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동안 엠브라에르와 이브 에어 모빌리티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지속 가능한 인간 중심의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약속에 따라 글로벌 파트너들과 협력해왔다. 미카엘 지아니니 엠브리아르 인테리어, 소음 및 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