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스마트테크 코리아 2024가 19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된다. 산업 분야별 융복합 비즈니스 전문 플랫폼을 표방하는 이번 전시회는 △AI&빅데이터 쇼 △시큐테크 쇼 △디지털물류 쇼 △로보테크 쇼 △스마트테크 쇼까지 다섯 분야의 전시회가 동시에 개최된다. 아래의 사진들은 행사장의 이모저모를 담았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미래 기술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5 in 1 전시회가 열렸다. 인공지능(AI)을 시작으로 보안, 로봇, 물류, 스마트 기술의 현황과 함께 산업별 융복합을 다뤘다. 각자 영역에서 컨퍼런스를 비롯한 부대행사도 풍성하게 진행된다. 스마트테크 코리아는 19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된다. 산업 분야별 융복합 비즈니스 전문 플랫폼을 표방하는 이번 전시회는 △AI&빅데이터 쇼 △시큐테크 쇼 △디지털물류 쇼 △로보테크 쇼 △스마트테크 쇼까지 다섯 분야의 전시회가 동시에 개최된다. 테크콘 2024를 비롯해 The WAVE, 대한민국 인공지능산업대상, e커머스피칭페스타, 유통산업주간, 더 하이라이트, SDL, XLR8 스테이지 등 부대행사도 풍성하게 진행된다. 전시회장은 코엑스 A, B, C홀까지 3개의 홀에서 진행됐다. 전시회장 입구는 AI와 보안 관련 기업들의 부스가 배치됐는데, 포티투마루와 이스트소프트, 인텔, 페르소나 AI, 로아스 등이 눈길을 끌었다. 이 중에서 자율주행 로봇을 전시한 로아스와 녹색톤으로 고객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한 키오스크를 선보인 페르소나 AI의 부스에 많은 관람객이 몰렸다. 인공지능 분야 전문지원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혹한에서도 고성능을 내는 차세대 히트펌프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해 북미, 유럽, 아시아를 잇는 글로벌 R&D 트라이앵글을 구축한다. LG전자는 18일(현지시간) 노르웨이 오슬로 메트로폴리탄 대학교에서 차세대 냉난방공조(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제품에 적용할 히트펌프 기술 개발을 위한 ‘유럽 첨단 히트펌프 연구 컨소시엄(ECAHR, European Consortium for Advanced Heat Pump Research)’ 협약식을 가졌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컨소시엄에는 한랭지 난방, 공조 등 연구가 활성화된 오슬로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이탈리아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교가 함께 참여한다. LG전자는 앞서 지난해 11월 미국에 ‘LG 알래스카 히트펌프연구소’를 신설한 데 이어 이번 컨소시엄 구축으로 유럽지역에 특화된 히트펌프 기술까지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올 8월에는 중국 요수 대학과 함께 하얼빈에도 한랭지 히트펌프 연구소를 구축해 북미, 유럽, 아시아에 다양한 지역별 기후 특성과 가옥 구조 등 환경까지 고려한 차세대 히트펌프
[더테크=조재호 기자] 국내 연구진이 그린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의 상용화 관련 난제 중 하나를 해결할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은 19일 최승목 박사 연구팀이 음이온교환막 수전해의 핵심 푸품인 전극을 원료물질에서 바로 양산 가능한 수준으로 만드는 ‘원스텝 전극 제조 공정’을 국내에서 처음 개발하고 사용 수준의 음이온 교환막 수전해 스택에 적용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은 ‘원스탭 열간 압착 공정’으로 원료물질인 코발트 수산화물을 촉매인 코발트 산화물로 변화하면서 고균일 촉매층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기존 공정인 수산화물-산화물-분쇄-분산-코팅-건조의 복잡한 단계를 한 번의 코팅으로 대체한다. 이는 기존 대비 60% 수준이며 동시에 균일한 촉매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소 발생 효율과 연속 운전에서 성능 감소율도 크게 개선했다. 연구팀은 전극 제조 공정의 최적화를 위해 온도와 압력을 세밀하게 조정해 10나노미터 크기의 균일한 산화물 입자로 구성된 촉매층을 제조했다. 이어 개발된 전극을 상용 수준의 수전해 셀에서 안정성과 성능을 확인했는데 안정적인 음이온교환막 수전해를 개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수전해를 통해 생산될 그린 수소는 2
[더테크=조재호 기자] 대한민국의 해양 산업을 주제로 한 전시회가 인천에서 열렸다. ‘2024 국제해양·안전대전’이 19일부터 21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다. 이 전시회는 국내 유일의 해양경찰청 주최 해양 특화 전시회로 해양·안전·항공·항만·물류·레저 산업 관계자들이 참여해 업종간 시너지와 함정 선진화 및 기술 역량 확보를 도모한다. 이 전시회에서 HD현대중공업은 AI(인공지능)을 접목한 최신예 원해경비함(OPV)를 선보였다. HD현대중공업은 HJ중공업, 강남조선과 함께 공동 부스를 마련하고 2026년 해경에 인도할 예정인 3000톤급 OPV와 필리핀 해군에 수출할 2400톤급 OPV 모형 등을 선보였다. 이번에 처음 공개된 최신예 OPV는 스텔스 선형이 적용되고 10톤급 헬기 탑재 및 드론 운영 기반 시설 등을 갖췄다. AI를 접목한 다목적 멀티 미션 플랫폼을 적용해 영해 감시, 수색 및 구조, 재난 구호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주원호 HD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대표는 “HD현대중공업은 3,000톤급 경비함 ‘태평양 1호’를 비롯해 최대 경비함인 ‘이청호함’을 건조하는 등 해경 현대화와 발걸음을 함께 했다”며 “앞으로도 기술 발전과 미래
[더테크=조재호 기자] 엔비디아가 시총 1위에 올랐다. 이전까지 게이밍 하드웨어로 제조사로 그래픽처리장치(GPU) 제조사였던 엔비디아는 암호화폐와 메타버스 열풍을 지나 AI 시대의 중심으로 우뚝 섰다. 엔비디아는 18일(현지시간) 장 마감 기준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등극했다. 이날 엔비디아의 주식은 3.51% 오른 135.58달러로 마감해 시가총액이 약 3조3350억달러를 기록한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3조3170억달러와 애플의 3조2850억달러가 그 뒤를 이었다. 지난 6일 애플을 제치고 2위를 기록한 엔비디아가 마이크로소프트까지 넘어서면서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으로 자리했다. 이는 1993년 회사 설립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로이터를 비롯한 주요 외신은 엔비디아의 놀라운 시장 가치 급등은 AI에 대한 월스트리트 열광을 상징한다고 평했다. 아울러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최근 세계 부자 11위를 기록 중이다. 차세대 그래픽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포부로 설립된 엔비디아는 회사 이름처럼 모두의 부러움을 사는 기업이 됐다. Nvidia에서 NV는 다음 버전(Next Version)을 뜻하고 부러움이라는 영단어 envy의 라틴어 표현인 invidia(
[더테크=조재호 기자] 국내 배터리 업체의 대표주자인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가 유럽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유럽은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 에너지 수요가 큰 시장으로 양사는 다양한 ESS 관련 제품 포트폴리오를 선보인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19일부터 사흘간 독일 뮌헨에서 진행되는 ‘인터배터리 유럽 2024’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유럽 최대의 에너지 산업 관련 전시회인 The Smarter E Europe 내 개최되는 전시 중 하나로 올해 2800개 기업이 참여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Beyond Batteries(배터리 그 이상의 고객가치)’를 주제로 다양한 ESS 제품 포트폴리오를 선보인다. LFP 셀을 적용한 첫 주택용 ESS 제품 enblock E와 LFP 롱셀 기반 전력망 ESS 신제품 New Modularized Solutions를 전시한다. enblock E는 주택용 ESS 제품으로 LFP 셀을 적용했다. 모듈식으로 간편하게 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최대 15.5kWh를 지원하며 실내외 모두 설치할 수 있다. 해당 제품에 탑재되는 JF1 팩 샘플도 전시된다. JF1은 주택용·상업용·전력용 모두 호환이 가능한 팩으
[더테크 뉴스] LS머트리얼즈가 기존 배터리 공정을 간소화하고 에너지 밀도를 올린 차세대 배터리를 출시했다. LS머트리얼즈는 19일 세계에서 처음으로 ‘셀-모듈 일체형’ 울트라 커패시터(UC)인 셀듈(CellDule)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UC는 고속 충·방전과 긴 수명이 장점으로 꼽히는 산업용 특수 배터리다. 배터리는 셀-모듈-팩의 단위로 모여 제작된다. 이번에 출시된 제품은 셀을 모아 모듈을 만드는 패키징 공정을 제거한 제품으로 부피와 무게가 30% 이상 감소하며 에너지 밀도가 높아진다. 또 생산 공정이 절반 이상 줄어 가격 경쟁력도 확보할 수 있다. 기존에는 셀을 조립한 후 패키징해 모듈로 만들었지만 셀듈은 전기를 저장하는 소자(젤리롤)를 연결해 바로 모듈로 만들 수 있다. LS머트리얼즈는 셀듈이 높은 에너지 밀도와 가격 경쟁력으로 기존 셀형 제품을 빠르게 대체할 것으로 기대했다. 셀듈은 회사가 최근 개발한 대전력 부하제어 시스템과 함께 이달 독일에서 열린 전력 반도체 전시회인 PCIM Europe 2024에 출품해 주목받았다. 홍영호 LS머트리얼즈 대표는 “자동차 출력 보조 배터리 적용을 위해 고객사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며 “로봇과 풍력발전기 터빈,
[더테크=조재호 기자] 국내 양자 기업 연합체가 공식 명칭을 확정하고 첫 상품 출시를 예고했다. SK텔레콤은 19일 국내 양자 기업들의 연합체인 퀀텀 얼라이언스의 명칭을 ‘X Quantum(이하 엑스퀀텀)’으로 확정하고 첫 상용 제품으로 양자암호칩 출시를 예고했다. 엑스퀀텀은 지난 3월 SKT가 설립한 연합체로 대한민국 양자 산업을 주도하는 강소기업인 에스오에스랩, 엑스게이트, 우리로, 케이씨에스, 노키아, IDQ코리아 등이 멤버사로 참여하고 있다. 출범 100일을 맞이한 엑스퀀텀은 대한민국 양자 산업을 대표하는 브랜드가 될 수 있도록 활동을 확대할 계획이다. 양자 산업이 시작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시장을 개화할 퀀텀 프론티어의 정체성도 담고 있다는 설명이다. 정식 명칭을 확정한 엑스퀀텀은 첫 상용 제품을 공개했는데 SKT와 케이씨에스가 협력한 차세대 양자암호칩 ‘Q-HSM’이다. 지난 2023년 MWC에서 소개된 양자암호칩에 양자내성암호(PQC)를 추가한 제품이다. 기존 양자암호칩이 양자난수생성기(QRNG)와 암호통신 기능을 통합한 제품인데 하드웨어 기반의 QRNG와 물리적복제방지 기술, 소프트웨어 기반의 PQC 기술이 동시에 적용된 양자칩은 Q-HSM
[더테크=조재호 기자] HD현대중공업의 함정사업이 연일 몸집을 키우고 있다. 18일 울산 본사에서 필리핀 초계함 진수식과 함께 성남 R&D센터에서는 영국의 방산 분야 경제사절단을 맞이했다. HD현대중공업은 18일 울산 본사에서 필리핀과 한국의 군 고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3200톤급 필리핀 초계함 1번 함인 ‘미겔 말바르함’의 진수식을 진행했다. 미겔 말바르함은 길이 118.4m 폭 14.9m 순항속도 15노트, 항속 거리 4500해리에 이르는 최신예 함정으로 대함미사일과 수직발사대, AESA 레이더 등 첨단 무기체계를 탑재했다. 이 함정은 필리핀 독립운동가인 ‘미겔 말바르’를 기려 함정의 이름을 정했다. 미겔 말바르함은 시운전과 마무리 의장작업 등을 거쳐 2025년까지 필리핀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지난 14일 기공식을 가진 필리핀 초계함 2번함은 올해 12월 진수, 내년 중 인도된다. 앞서 필리핀 정부는 해군의 현대화와 전력 증강을 위해 군 현대화사업을 진행하면서 HD현대중공업에 호위함 2척, 초계함 2척, 원해경비함 6척 등 총 10척의 함정을 발주했다. 길베르토 테오도르 필리핀 국방부 장관은 “옳은 일을 위해 맞서 싸우는 불굴의 정신은
[더테크=조재호 기자] IBM의 인공지능(AI)인 왓슨x가 윔블던 테니스를 활용한 디지털 서비스를 선보인다. 아울러 테니스 팬들에게 AI와 기술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IBM과 웜블던 테니스 주관사인 AELTC는 웜블던의 새로운 디지털 경험을 위해 왓슨x의 생성형 AI 기능을 활용한 ‘캐치 미 업(Catch Me Up)’을 발표했다. 이 서비스는 생성형 AI 기술과 경기 데이터를 활용해 챔피언십에 진출한 테니스 선수들의 최신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캐치 미 업은 AI가 만든 선수 관련 이야기와 분석을 담은 선수 카드를 웜블던 홈페이지와 웜블던 2024앱을 통해 제공한다. 선수 카드는 이용자의 선호도와 위치, 프로필을 기반으로 개인화된 정보를 보여준다. 경기 프리뷰와 선수의 경기력 분석, 우승 가능성 예측, 주요 통계 및 하이라이트를 비롯해 AI가 생성한 일일 경기 요약도 제공한다. 조나단 아다셰크 IBM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담당 수석 부회장은 “캐치 미 업은 생성형 AI를 활용해 인사이트 중심의 스토리텔링을 제공한다”며 “IBM과 윔블던이 공동 개발한 디지털 경험을 팬들도 이해하기 시작했음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웜
[더테크=조재호 기자] 대한전선이 미구 전력망 시장에서 주요 공급자로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6월이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누적 수주 3300억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 2022년 전체 실적의 80% 수준으로 올해 미국 시장에서 역대급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전선은 최근 미국 시장에서 3건의 전력망 프로젝트를 연이어 수주했다고 18일 밝혔다. 총 수주 금액은 1300억원에 달한다. 올해 미국에서만 3300억원의 신규 수주를 달성한 대한전선은 기존 최다 실적인 2022년 4000억원 돌파가 유력해 보인다. 현재 미국 시장은 전력망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이번에 수주한 3건의 프로젝트는 초고압 프로젝트 1건, 중저압 프로젝트 2건이다. 450억원 규모의 초고압 프로젝트는 미국 동부에서 진행되는 사업으로 뉴욕주에 건설될 반도체 공장에 345kV급 전력망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자재 공급부터 전력망 설계, 포설, 접속 및 시험까지 진행하는 풀턴키(Full Turn-key) 방식으로 진행된다. 반도체 공장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수적으로 대한전선의 기술력과 운영 능력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중저압 프로젝트는 서부 캘리포니아주 LA지역에서 진행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