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하 40도에도 작동'...LG전자, '히트펌프 컨소시엄' 구축

히트펌프 기술 위한 연구 컨소시업 협약식 진행
차세대 히트펌프 인프라 확보 예정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혹한에서도 고성능을 내는 차세대 히트펌프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해 북미, 유럽, 아시아를 잇는 글로벌 R&D 트라이앵글을 구축한다.

 

LG전자는 18일(현지시간) 노르웨이 오슬로 메트로폴리탄 대학교에서 차세대 냉난방공조(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제품에 적용할 히트펌프 기술 개발을 위한 ‘유럽 첨단 히트펌프 연구 컨소시엄(ECAHR, European Consortium for Advanced Heat Pump Research)’ 협약식을 가졌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컨소시엄에는 한랭지 난방, 공조 등 연구가 활성화된 오슬로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이탈리아 나폴리 페데리코 2세 대학교가 함께 참여한다.

 

LG전자는 앞서 지난해 11월 미국에 ‘LG 알래스카 히트펌프연구소’를 신설한 데 이어 이번 컨소시엄 구축으로 유럽지역에 특화된 히트펌프 기술까지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올 8월에는 중국 요수 대학과 함께 하얼빈에도 한랭지 히트펌프 연구소를 구축해 북미, 유럽, 아시아에 다양한 지역별 기후 특성과 가옥 구조 등 환경까지 고려한 차세대 히트펌프 연구개발 인프라를 확보할 예정이다.

 

한랭지에서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력이 줄어 난방 성능을 높이기 쉽지 않다. 올해 초 북유럽은 기온이 영하 40도 이하로 내려가는 기록적인 강추위를 기록한 바 있다. 또한 북유럽은 북미 알래스카 지역과 비교하면 기온은 비슷하지만 습도가 훨씬 높은 편이다.

 

이에 LG전자는 북유럽의 혹한에서도 최고 수준의 난방 성능을 내는 히트펌프를 만들기 위해 이번 컨소시엄을 구축했다. 오슬로 메트로폴리탄 대학교와는 히트펌프 성능 평가, 환경을 분석하고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와는 히트펌프 사이클 분석,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협업한다. 나폴리 대학교와는 기존 가스 보일러와 히트펌프를 연동한 제어 등을 연구한다.

 

미국 LG 알래스카 히트펌프 연구소에서는 눈, 비, 극저온 등 다양한 환경 조건을 반영해 장시간 반복되는 테스트를 진행한다. 이 과정을 통해 제품의 난방 성능, 전반적인 품질, 신뢰성 등이 한 차원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LG전자는 북미, 유럽을 중심으로 맞춤형 냉난방 솔루션을 앞세워 공조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특히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탄소배출을 줄이는 고효율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은 글로벌 전기화, 친환경 트렌드에 맞춰 수요가 늘고 있다.

 

LG전자 히트펌프 냉난방 제품의 차별화된 경쟁력은 핵심 부품 기술력인 코어테크에서 비롯된다. LG전자는 공조 제품을 포함한 가전의 핵심 부품인 컴프레서, 모터를 자체 개발해 생산한다. 또한 열교환기, 인버터, 히트펌프 기술 등을 진화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아울러 LG전자는 B2B 시장 사업 성장의 한 축을 담당하는 냉난방공조 사업에서 ‘현지 완결형 체제’ 구축을 본격화하고 있다. 연구개발부터 판매, 유지 보수까지 이르는 모든 단계를 판매처인 현지에서 수행하는 시스템을 갖춰 나간다.

 

그 일환으로 미국, 인도 등 세계 43개 국가, 62개 지역에 HVAC 아카데미를 갖추고 매년 3만 명이 넘는 냉난방공조 엔지니어를 양성하고 있다.

 

한편 조주완 LG전자 CEO는 지난해 2030 미래비전 발표를 통해 회사의 3대 성장동력 중 하나로 B2B 역량 강화를 강조했다. 특히 B2B 사업에서 중요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가정, 상업용 냉난방공조 사업의 경우 매출을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성장시켜 글로벌 탑티어 종합공조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8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