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SNE리서치가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작년 전기차 시장이 하반기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30% 이상의 성장세를 보였다. 다만 LIB(양극집전체) 소재 업체들은 배터리 판가, 리튬, 메탈가의 하락으로 역성장을 기록했다. 2023년 전기차 판매 대수는 1407만대로 33.5% 성장했으며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도 503GWh에서 698GWh로 38.8% 성장했다. 비록 2021년의 109%, 2022년의 57% 성장에 비해서는 수요 둔화, 고금리로 인한 경기 침체와 캐즘(Chasm, 침투율 16% 부근에서 나타나는 일시 수요 둔화) 현상으로 큰 폭 하락했으나 작년 30%대의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배터리 판가는 –13% 떨어졌으며 양극재를 비롯한 4대 소재 시장도 –17% 가까이 떨어지며 소재 업계는 작년 하반기에 수익률이 크게 떨어졌다. 특히 배터리 가격 하락세에 비해 소재 가격, 메탈, 원자재 하락폭이 더욱 두드러져 대부분의 소재 업체들이 작년 하반기 역성장을 기록했다. 이 때문에 금년 상반기까지도 재고물량 확대와 시장 성장 둔화 추이 지속으로 인한 고전이 예상된다. 이처럼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성장과 함께 동반 성장을 기대했던 소재 업체들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제주도에서 자율주행 서비스로 지역 맞춤형 이동 수단을 제공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15일 라이드플럭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와 제주도 내 첨단과학기술단지 일대에서 ‘네모라이드(NEMO ride)’를 선보이고 지역 커뮤니티에 특화된 이동수단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는 단지 내 근로자·대학생 등의 이동 수요가 높지만 대중교통 서비스가 부족하고 자차 비중이 높아 교통체증이 심하고 주차 공간이 부족한 것이 고질적인 문제로 꼽혀왔다. 네모라이드 서비스는 제주첨단과학기술국가산업단지와 제주도 첨단로 인근 도로 총 11.7km에 이르는 지역에서 평일 오전 11시부터 저녁 6시까지 운영된다. 운행 지역은 산업단지와 제주대학교 아라캠퍼스가 포함돼 대학생들이나 산업단지 직장인들의 이동 편의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율주행차 탑승을 원하는 승객은 ‘네모라이드(NEMO ride)’ 앱을 설피하고 출발지와 도착지, 승차 인원을 설정해 차량을 부르면 입력된 출발지로 자율주행차량이 도착해 이동을 돕는다. 카카오모빌리티의 라우팅 기술이 적용돼 같은 식단 내 동선이 겹치는 승객들은 버스를 이용하듯 일부 구간을 함께 이동하고 따로 내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자동차가 전기차 상용 모델 라인업의 기본 디자인을 공개했다. 사용 목적에 따라 확장성이 부여된 모델로 올해 상반기 중 상세한 사항을 공개할 예정으로 물류와 배송 특화 모델을 우선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현대자동차는 14일 새로운 전동화 비즈니스 플랫폼인 ‘ST1’ 디자인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현대차는 승용 모델에 이어 상용 모델까지 전동화 라인업을 확장해 전기차 시장에서 판매를 확대하고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차의 이름인 ST1은 ‘Service Type1 (서비스 타입1)’의 약자로 ST는 다양한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비즈니스 플랫폼을 뜻하고 그 첫 번째 모델로 1이 붙었다. 이번에 공개된 ST1은 차량의 뼈대와 승객실 만으로 구성해 적재함 부분을 사용 목적에 따라 최적화된 형태로 확장될 수 있는 비즈니스 플랫폼 차량이다. 상용 차량인 만큼 외장 디자인에서 안정성과 실용성을 중시했다. 전면부는 충돌 안전에 강한 세미 보닛 타입의 디자인을 적용했다. 이 디자인은 PE(Power Electric) 룸인 보닛의 절반가량이 승객실보다 돌출된 형태로 자체가 충격을 흡수할 공간을 확보해 안정성을 높였다. 이와 함께 지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차그룹이 독일 국제포럼디자인이 주관하는 ‘2024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기아 EV9의 금상 수상을 포함 총 31개 상을 휩쓸며 세계 최고 수준의 디자인 경쟁력을 증명했다. 현대차그룹은 13일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인 iF 디자인 어워드 △제품 △프로페셔널 콘셉트 △커뮤니케이션 △실내 건축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부문에서 금상 1개와 본상 30개 등 총 31개 디자인상을 받아 역대 최대 수상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3년 27개보다 늘어난 기록이다. △제품 부문 자동차 카테고리에서는 기아 EV9이 최고 영애인 금상 수상을 비롯해 현대차의 싼타페, 아이오닉 5 N 등이 본상을 수상하며 현대차그룹의 디자인 우수성을 입증했다. iF 디자인 어워드의 금상은 1만여 출품작 중 가장 우수한 디자인으로 선정된 75개 디자인에만 주어지는 최고상이다. 미래지향적 콘셉트 및 선행 디자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페셔널 콘셉트 부문에서는 제네시스 엑스(X) 컨버터블, 싼타페 XRT, HMGICS 안전 보전 로봇 콘셉트가 본상을 거머쥐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문에서는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각각 본상을 수상하는 쾌
[더테크=조재호 기자] 포스코인터네셔널이 희토류 영구자석의 탈(脫)중국 공급망을 구축해 해외법인을 통한 대규모 수주에 성공했다. 포스코인터네셔널 미국법인은 최근 북미 글로벌 완성차 기업을 상대로 약 9천억원 규모의 영구 자석을 수주해 2026년부터 2031년까지 공급하기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공급된 영구자석은 해당 기업의 중대형 신규 전기차 모델과 구동모터에 탑재될 예정이다. 이에 더해 포스코인터네셔널 독일법인도 유럽 프리미엄 완성차 브랜드와 2025년부터 2034년까지 약 2600억원 규모의 영구자석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해외법인들이 수주한 영구자석은 중국산 희토류가 아닌 미국, 호주, 베트남 등에서 조달한 원료가 사용될 계획이다. 영구자석의 생산은 국내 유일의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업체인 성림첨단산업이 맡는다. 희토류 영구자석은 전기차의 심장인 구동모터에 들어가는 자석의 일종이다. 일반자석보다 자력이 수배에서 수십배까지 강해 전기차 구동모터 80% 이상에 희토류 영구자석이 사용된다. 해외법인을 통한 영구자석 공급계약은 ‘대규모 수주를 통한 안정적인 모빌리티사업의 확장’이라는 의미에 더해 90% 이상 중국산 희토류가 차지하고 있는 영구자석 시장에서
[더테크=조재호 기자] EV9이 독일과 영국의 자동차 전문 매체로부터 호평받았다. 기아 EV9이 독일 3대 자동차 매거진으로 꼽히는 아우토 빌트(Auto Bild), 아우토 자이퉁(Auto Zeitung), 아우토 모토 운트 슈포트(Auto Motor und Sport)의 최근 기사를 통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아우토 빌트는 EV9에 대해 “실내 공간이 충분하고 7인승 외에도 편안함에 중점을 둔 6인승이나 스위블 시트를 갖춘 6인승을 선택할 수 있다”며 “기아가 제시한 대형 전동화 SUV의 가치를 제대로 누릴 수 있다”고 평가했다. 아우토 자이퉁은 EV9의 디자인과 첨단 안전 장비, 승차감을 높게 평가하며 “다양한 재능으로 깊은 인상을 남겼다”고 시승기를 다뤘다. 이와 함께 탑승객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선사하는 동시에, 곡선 주행 시 큰 차체의 거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해 민첩한 주행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아우토 모토 운트 슈포트는 EV9이 제공하는 실용성과 실내 공간에 주목하며 “EV9의 3열은 성인이 탑승하더라도 대부분의 7인승 차량보다 훨씬 더 잘 앉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안전성 측면에서도 EV9이 유럽 안전성 평가 프로그램 ‘유로 NCAP’에서 최
[더테크=조재호 기자] 대동모빌리티가 온어스와 손잡고 전기 스쿠터 비즈니스를 본격적으로 전개한다. 대동그룹의 스마트 모빌리티 자회사 대동모빌리티가 이륜차 종합 관리 플랫폼 온어스와 전기 이륜차 시장 확대를 위한 온·오프라인 판매 및 서비스 채널 위탁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대동모빌리티는 지난해 2분기 출시한 전기 스쿠터 GS100에 대한 판매 및 정비스를 온어스의 오프라인 네트워크와 이륜차 종합 관리 플랫폼 ‘온어스 라이더’를 통해 제공한다. 해당 앱 내 입점한 전국 1000여개의 제휴 정비업체와 예약 및 앱 결제, 표준정비 수가 기반의 이력 관리 기능 등을 활용해 편리하고 투명한 정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온어스는 2005년 설립된 한국모터사이클 서비스가 전신으로 현재 이륜차 판매, 렌트, 정비, 보험컨설팅 등의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동모빌리티는 이번 계약으로 전기 이륜차 온·오프라인 채널 기반 고객 접점 확대와 함께 제품의 홍보 및 판매 효과뿐만 아니라 기업 브랜드 파워도 증대할 것으로 기대했다. 회사는 올 상반기 출시 예정인 경제형 신모델 GS110도 해당 채널을 통해 판매 및 정비 서비스를 제공해 판로를 확대할
[더테크=조재호 기자] 글로벌 전기차 시장이 성장세를 이어갔다. SNE 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평균 45.7% 성장세를 기록한 전기차 시장은 올해 1월 등록 대수가 40만5000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SNE 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 등록 대수는 2024년 1월 기준 40만5000대를 기록했다. 전년대비 28.5% 상승한 수치다. 2024년 1월 전기차 판매 대수를 살펴보면 테슬라는 주력 차종인 모델Y의 꾸준한 판매량에 힘입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3% 성장률을 기록하며 1위 자리를 유지했다. 향후 모델3의 부분 변경 모델인 ‘하이랜드’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선두 자리를 더욱 공고히 지킬 것으로 보인다. 2위인 폭스바겐 그룹은 ID 시리즈와 아우디 Q4, Q8 E-tron, 스코다 ENYAQ를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갔다. 3위 스텔란티스 그룹도 피아트 500e, 푸조 e-208, 지프랭글러 4xe, 그랜드 체로키 4xe 등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모두 견조한 판매량을 보이며 29.4% 성장률을 보였다. 4위 현대자동차그룹은 전년 동기 대비 28.6%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아이오닉5·6, Ni
[더테크=조재호 기자] 한국배터리산업협회와 코엑스는 인터배터리 2024를 3월 6일부터 8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전관에서 진행된다. 올해로 12회를 맞는 인터배터리는 역대 최대규모인 전 세계 18개국 579개 업체가 1896부스 규모로 참가한다. 이번 전시화는 최신 배터리 기술과 정보를 공유하는 ‘더배터리 컨퍼런스’와 대한민국 대표 EV 산업 전시회인 ‘EV트렌드 코리아’ 등이 동시 개최된다. 아울러 배터리 인력 채용을 지원하는 ‘배터리 잡페어’와 해외 배터리 산업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미국 전기차 배터리 포럼’과 ‘영국 배터리 산업·투자 세미나’, ‘글로벌 광물세미나’ 등이 부대행사로 진행된다. 사진은 인터배터리와 공동 개최된 EV트렌드 코리아 부스의 모습으로 현대차, 기아, 금양, 한국요꼬가와전기, 슈나이더일렉트릭 코리아, LG전자, LG유플러스 등이 참여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한국배터리산업협회와 코엑스는 인터배터리 2024를 3월 6일부터 8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전관에서 진행된다. 올해로 12회를 맞는 인터배터리는 역대 최대규모인 전 세계 18개국 579개 업체가 1896부스 규모로 참가한다. 이번 전시화는 최신 배터리 기술과 정보를 공유하는 ‘더배터리 컨퍼런스’와 대한민국 대표 EV 산업 전시회인 ‘EV트렌드 코리아’ 등이 동시 개최된다. 아울러 배터리 인력 채용을 지원하는 ‘배터리 잡페어’와 해외 배터리 산업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미국 전기차 배터리 포럼’과 ‘영국 배터리 산업·투자 세미나’, ‘글로벌 광물세미나’ 등이 부대행사로 진행된다. 사진은 인터배터리 2024 배터리 관련 업체의 부스 전경으로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on, 포스코, 에코프로, LS일렉트릭, 한국쓰리엠 등이 참가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한국배터리산업협회와 코엑스는 인터배터리 2024를 3월 6일부터 8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전관에서 진행된다. 올해로 12회를 맞는 인터배터리는 역대 최대규모인 전 세계 18개국 579개 업체가 1896부스 규모로 참가한다. 이번 전시화는 최신 배터리 기술과 정보를 공유하는 ‘더배터리 컨퍼런스’와 대한민국 대표 EV 산업 전시회인 ‘EV트렌드 코리아’ 등이 동시 개최된다. 아울러 배터리 인력 채용을 지원하는 ‘배터리 잡페어’와 해외 배터리 산업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미국 전기차 배터리 포럼’과 ‘영국 배터리 산업·투자 세미나’, ‘글로벌 광물세미나’ 등이 부대행사로 진행된다. 사진은 인터배터리 2024 전시회장 입구 및 잡 페어 배치도와 코엑스 복도까지 들어선 소규모 부스, 국가관의 모습이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SNE리서치가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2024년 1월 판매된 글로벌(중국 제외) 전기차(EV, PHEV, HEV)에 탑재된 총 배터리 총 사용량이 약 319.4GWh로 전년 동기 대비 43.2%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별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국내 3사 모두 Top 5 안에 안착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28.5%(5.4GWh) 성장하며 2위를 기록했다. 삼성SDI는 44.2%(2.5GWh), SK On은 19.5%(2.1GWh) 성장률로 4, 5위를 기록했다. 중국의 CATL은 28.5%(5.7GWh)의 연이은 고성장세로 선두 자리를 차지했다. 국내 3사의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0.1%p 하락한 44.7%를 기록했지만 배터리 사용량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국내 3사의 성장세는 각 사의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들의 판매 호조가 주 요인으로 작용했다. 삼성SDI의 배터리를 탑재하는 BMW i4/iX, 아우디 Q8 e-Tron이 판매량 증가세를 나타냈고 그 외 리비안 R1T/R1S, FLAT 500이 준수한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SK On은 현대차의 아이오닉5, 기아 EV6/EV9, 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