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삼성SDS는 올해 기업들이 가장 주의해야 할 사이버 보안 위협으로 ‘클라우드 보안’을 꼽았다. 삼성SDS는 지난해 국내외에서 발생한 사이버 보안 이슈와 클라우드 전환, IT 운영 사례 등을 분석해 ①클라우드 보안 위협 ②사용자 계정 탈취 공격 ③랜섬웨어 고도화 ④소프트웨어 공급망 취약점 공격 ⑤AI(인공지능) 활용 해킹 지능화 등을 ‘2023년 5대 사이버 보안 위협’으로 발표했다. ① 클라우드 보안 위협 주요 데이터와 인프라 등이 클라우드로 전환되고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이 보편화되면서 기업의 보안 관리 영역이 늘어나는 만큼 보안 설정과 공백을 노리는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삼성SDS는 증가하는 클라우드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클라우드에 구축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인프라까지 전 영역을 보호할 수 있는 클라우드 통합 보안 플랫폼(CNAPP) 기반 보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② 사용자 계정 탈취 공격 기업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 내부망 침투와 핵심 정보로의 접근을 위해 사용자 계정을 노리는 공격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은 삼성SDS가 제공하는 통합 인증 및 계정관리 솔루션으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접속자 위치와 시간, 단
[더테크 뉴스] 닐슨IQ가 기후 변화가 소비재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한 새로운 보고서 ‘변화하는 지속 가능성 풍경(The Changing Climate of Sustainability)’을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앞으로 5년간 제조업계, 브랜드, 소매업계가 지배 구조와 비용으로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업 모델을 구축하지 않으면 장단기 위험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레건 레겟(Regan Leggett) 닐슨IQ 포어사이트 총괄은 “일부 기업들이 관망세를 취하는 기업들을 앞서기 위해 더 선제적 대책을 강구하면서 지속 가능성은 한동안 기업의 의제였다”며 “에너지 비용 상승, 흉작, 공급망 혼란으로 늘어난 비용과 불확실성을 감내하지 않으려면 기존 사업 모델을 재검토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공급망 혼란, 인플레이션 및 소비 지출 압박이 맞물려 소비자들이 지속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 기업의 행동과 책임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니콜 코벳 닐슨IQ 사고 리더십 부사장은 “소비자들은 지속 가능하게 살고 소비하도록 도우려 하지만 모든 기업이 지속 가능한 관행을 실천하는 것은 아니다”며 “소비자들은 10년간 친환
[더테크 뉴스] 코로나19로 인해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디지털 기술 불평등의 심화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활용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박천일)이 26일 발표한 ‘데이터(D.A.T.A.): 클라우드를 활용한 제조업 디지털 전환 전략’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의 디지털 기술 활용도가 아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제조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도는 22.1%, OECD 평균은 이보다 높은 30.9%였다. 국내 기업의 빅데이터 분석 기술 활용도와 공급망관리(SCM) 정보공유 기술 활용도도 각각 2.5%, 9.1%로 모두 OECD 평균인 22.1%, 15.2%를 밑돌았다. 보고서는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 제품의 서비스화, 가치사슬 구조 혁신을 지원하고 생산성 향상, 고객가치 증대, 대-중소기업 간 디지털 기술 불평등까지도 완화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바로 클라우드 기술”이라며 클라우드를 활용한 디지털 전환 전략의 주요 키워드로 ‘데이터(D.A.T.A)’를 선정했다. 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