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메뉴 바로가기
  • 본문 바로가기

2025.08.29 (금)

  • 네이버포스트
  • X
  • Facebook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회원가입
  • 로그인

더테크 (THE TECH) - 대한민국 대표 블루오션 테크 미디어

THE TECH

  •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이슈
  • 현장
  • 피플
  • 오피니언
메뉴
기사검색
닫기
검색창 열기
  • CATEGORY

  •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멀티미디어

    • 포토뉴스
    • 영상뉴스
  • 독자 · 소통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회원가입

T 뉴스

  • AI·로봇
  • 모빌리티
  • IOT
  • DX·B2B
  • 핀테크·이코노미
  • 헬스케어
  • ICT일반
  • '일상 속 초연결 AI' 강조된 삼성 컨퍼런스

    [더테크=전수연 기자] 삼성전자가 프레스 컨퍼런스를 통해 자사 만의 AI 솔루션과 보안 기술 등을 언급했다. 삼성전자는 CES 2024에 앞서 8일(현지시간) 프레스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모두를 위한 AI: 일상 속 똑똑한 초연결 경험(AI for All: Connectivity in the Ageof AI)를 위한 비전을 공개했다고 9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날 행사에서 △AI 시대에 걸맞은 강력한 보안과 책임의식 △AI 기반의 다양한 신제품 △새로운 차원의 사용자 경험 등 AI로 열어가는 초연결 시대와 지속 가능성을 선도하는 자사 전략을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AI 시대에 사용자의 보안이 항상 최우선 과제라고 설명하며 초연결 시대에 적합한 통합 보안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10년 전 모바일 보안 플랫폼으로 탄생한 삼성 녹스를 기반으로 더욱 정교해진 삼성 녹스 매트릭스와 삼성 녹스 볼트의 서비스 확대를 언급했다. 삼성 녹스 매트릭스는 상호 모니터링해 문제가 된 장치를 분리하고 다른 기기들의 보안을 유지한다. 또 올해 중 삼성전자 TV, 패밀리 허브 냉장고까지 확대된다. 삼성 녹스 볼트는 갤럭시 A시리즈까지 확대돼 핀코드·비밀번호·패턴과 같은 개인

    • 전수연 기자
    • 2024-01-09 11:22
  • 두산그룹의 CES, 무인 중장비와 로봇 그리고 수소

    [더테크=조재호 기자] 두산이 CES 2024 현장에서 프레스 컨퍼런스를 열고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미래를 위한 첨단 기술을 선보였다. 두산그룹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 개막에 앞서 프레스 컨퍼런스를 진행했다고 9일 밝혔다. 이날 행사는 전세계 미디어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두산 임원진이 연사로 나서 무인자동화를 적용한 소형 중장비와 무탄소 토털 에너지솔루션, AI 로봇 등 두산의 차별화된 기술력을 소개했다. 두산밥캣은 AI 기술을 적용한 업계 최초의 무인·전기 굴절식 트랙터 ‘AT450X’를 처음 공개했다. 이 트랙터는 실리콘밸리 농업 신기술 소프트웨어 회사인 애그토노미(Agtonomy)와 공동 개발한 제품이다. 이와 함께 CES 혁신상 2관왕에 오른 완전 전동식 스키드 로더 ‘S7X’, 조종석 없앤 무인 콘셉트 로더 ‘로그X2’, 무인 잔디깎이 등을 선보이며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면모를 보였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수소터빈, SMR(소형모듈원전), 풍력발전 등 무탄소 토털에너지 솔루션 개발 계획을 공개했다. 수소혼소, 수소전소터빈용 연소기를 개발 중인 회사는 오는 2027년까지 세계 최초의 400MW급

    • 조재호 기자
    • 2024-01-09 11:21
  • ‘일상을 바꾸는 AI’ SKT의 CES 2024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 CES 2024에서 일상을 바꾸는 인공지능(AI) 기술을 대거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SKT를 비롯한 SK그룹은 ‘행복(Inspire Happiness)’을 주제로 그룹 차원의 공동 전시관을 운영한다. SKT는 9일(현지시각)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4에서 SK그룹의 넷제로와 ICT 패밀리사들의 AI 기술을 전 세계에 알린다. SK그룹의 전시관은 ‘원더랜드(Wonderland)’라는 테마파크 콘셉트로 꾸려졌다. SKT는 도심항공교통(UAM)과 AI 반도체 ‘사피온’, AI 기반 실내외 유동인구 및 네트워크 분석 시스템 ‘리트머스 플러스’, 신재생 에너지 가상 발전소(Virtual Power Plant) 기술을 통해 매직카펫을 타고 미래 교통체계를 체험하는 새로운 경험을 관람객들에게 선사한다. 매직카펫은 실제로 SKT가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UAM 기체를 토대로 원더랜드 콘셉트에 맞춰 새롭게 디자인됐다. 데모룸에서는 △미디어 가공·콘텐츠 품질향상 플랫폼 ‘AI 미디어 스튜디오’ △AI 기반 실내외 유동인구 데이터 분석 시스템 ‘리트머스 플러스’

    • 조재호 기자
    • 2024-01-09 10:56
  • LG전자가 재정의한 '새로운 AI 개념' 공개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국제가전전시회 CES 2024를 앞두고 자사가 재정의한 인공지능(AI) 개념과 그에 따른 기술을 소개했다. LG전자는 CES 2024 개막을 하루 앞둔 현지시간 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호텔에서 ‘고객의 미래를 재정의하다(Reinvent yout future)’라는 주제로 LG 월드 프리미어를 개최했다고 9일 밝혔다. LG 월드 프리미어의 서막을 올린 조주완 LG전자 CEO는 “AI는 고객경험을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가장 필수 요소 중 하나”라며 “우리의 초점은 AI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변화를 일으켜 실질적인 이점을 제공하는지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조 CEO는 LG전자가 재정립한 AI 의미와 자사 AI 기술의 세 가지 차별점을 소개했다. 그는 “AI가 사용자를 더 배려하고 공감해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공감지능(Affectionate Intelligence)으로 재정의했다”며 “공감지능의 차별 특징으로 실시간 생활지능(Real-Time Life Intelligence), 조율·지휘지능(Orchestrated Intelli

    • 전수연 기자
    • 2024-01-09 10:20
  • SK하이닉스 “AI 발전 원동력은 메모리반도체”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하이닉스가 CES 2024에 앞서 진행된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AI 시대를 맞이해 메모리반도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회사의 미래 비전을 밝혔다. 회사는 기존 AI 메모리 공급과 동시에 고객에게 특화된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사장)은 8일(현지시각)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인 CES 2024 개막에 앞서 진행된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AI의 원동력 메모리반도체(Memory, The Power of AI)’를 주제로 회사의 미래 비전에 대해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곽 사장은 “앞으로 생성형 AI가 보편화되면서 메모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회사는 세계 최고 기술력에 기반한 제품들을 ICT 산업에 공급하면서 '메모리 센트릭 AI 시대(Memory Centric AI Everywhere)'를 이끌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곽 사장은 “고객에게 특화된 AI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고객맞춤형 메모리 플랫폼(Custom Memory Platform)’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SK 하이닉스는 ICT 산업이 PC와 모바일을 넘어 클라우드 기반 AI 시대로

    • 조재호 기자
    • 2024-01-09 09:15
  • 8K 고화질의 삼성전자와 무선·투명 기술 LG전자

    [더테크 뉴스] CES 2024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24년형 최신 TV 모델을 선보였다. 삼성전자는 8K 고화질로 AI 스크린 시대를 여는 AI 홈 디바이스의 구심점으로 LG전자는 무선 투명 기술력으로 기존에 없던 스크린 경험을 내세웠다. CES 2024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오는 9일(현지시각)부터 12일까지 열린다.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로 글로벌 가전의 양대산맥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혁신 기술을 대거 공개하면서 글로벌 가전 트렌드 주도권 경쟁을 펼친다. 삼성전자는 CES 2024 개막에 앞서 7일(현지시각) 진행한 삼성 퍼스트 룩 2024(Samsung First Look 2024)에서 차세대 AI 프로세서를 공개하면서 ‘AI 스크린 시대’의 포문을 열었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은 “삼성 AI 스크린은 가정의 중심에서 집안의 모든 기기를 연결·제어하는 ‘AI 홈 디바이스’의 중심이 될 것”이라며 “NQ8 AI 3세대 프로세서와 타이젠 OS를 기존 스마트 TV를 넘어 새로운 삶의 방식을 선사하는 ‘AI 스크린 시대를’ 선도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NQ8 AI 3세대 프로세서를 탑재한 2024년형 Neo QL

    • 조재호 기자
    • 2024-01-08 13:07
  • 삼성전자가 선보인 AI의 시대 제품과 기술력은?

    [더테크 뉴스] 삼성전자가 CES 2024에서 AI가 일상생활 속에서 고객들의 삶에 스며들어 혁신을만드는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삼성전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9일부터 12일까지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에서 참가업체 중 가장 큰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하고 글로벌 테크 리더로서 AI 기반 신제품과 기술을 대거 선보인다. 삼성전자만의 차별화된 강점인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스마트싱스(SmartThings) 에코시스템을 부각했다. 전시장 입구부터 자사의 디스플레이 기술이 집약된 ‘더 월(The Wall)’을 활용한 초대형 미디어 파사드가 관람객들을 맞이한다. 삼성의 AI, 스마트싱스 ,혁신 기술을 통해 고객이 누릴 수 있는 미래의 풍요로운 삶을 최고의 화질과 다채로운 콘텐츠로 보여준다. 삼성전자 부스에 들어서면 지난 2022년 발표한 신환경경영전략 목표를 위한 삼성전자의 노력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존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아카이브 월에서는 신제품에 적용된 재활용 소재, 삼성 업사이클링 프로젝트 등 삼성 제품의 구체적 자원순환 노력을 보여준다. 갤럭시 북 4, Neo QL

    • 조재호 기자
    • 2024-01-08 11:00
  • 한컴, 포티투마루에 투자 진행...'자체 AI 개발' 가속화

    [더테크=이지영 기자]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가 다양한 자체 AI 기술 개발을 위해 딥러닝 전문기업에 투자를 진행한다. 한컴은 생성형 AI 전문 스타트업 ‘포티투마루(42Maru)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한다고 8일 밝혔다. (관련기사: [인터뷰]'정확한 하나의 답변'만 도출하는 AI) 한컴의 이번 투자는 엘지유플러스, 하나증권 등과 함게 포티투마루의 시리즈B 투자에 참여한 것이다. 한컴은 지난해 11월 포티투마루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해 양사 간 사업 시너지 확대를 위한 협력 관계를 구축한 이후 이번 지분 투자를 통해 AI 기술 확보와 경쟁력을 강화하며 본격 AI 사업 전개에 나선다. 포티투마루는 딥러닝 기술에 기반을 둔 딥 시맨틱 QA(Question Answering) 플랫폼 개발을 통해 AI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삼성, LG, SK, 현대기아차, CJ 등 100여 개 고객사가 포티투마루의 AI 솔루션을 쓰고 있다고 전했다. 포티투마루가 개발한 경량화언어모델(sLLM) ’LLM42’와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 ‘RAG42’는 사용자 질의에 대해 정답 후보군을 여러 개 제시하는 현재의 검색 기술에서 나아가 자연어처리를 통해 AI가 질의

    • 이지영 기자
    • 2024-01-08 10:01
  • LG 클로이, 동남아시아 골프장·리조트 서비스 진행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골프서비스 플랫폼 스마트스코어와 로봇 공급 계약을 맺고 동남아 시장으로 비즈니스 영역을 확대한다. LG전자는 스마트스코어와 2년간 1200여대의 안내·배송 로봇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5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280억원 수준으로 해외 단일 공급처 계약으로는 최대 규모다. 앞서 양사는 지난해 7월 ‘해외 골프시장 확대 및 로봇사업 추진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골프장 운영 솔루션 전문 사업자인 스마트스코어는 베트남과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대만 등 6개국 골프장 사업 진입과 차별화를 위해 LG전자의 로봇 솔루션에 주목했다. 노규찬 LG전자 로봇사업담당(상무)는 “LG 클로이의 우수한 성능을 기반으로 동남아시아 버티컬 서비스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는 동시에 로봇을 활용한 신사업 기획 및 개발 협업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계약은 LG전자는 로봇과 솔루션을 판매하면 스마트스코어가 이를 설치, 운영하는 형태다. LG 클로이 가이드봇과 서브봇은 골프장과 리조트, 호텔 등 다양한 공간에서 고객을 맞이한다. LG전자의 로봇은 골프 게임 진행과 숙소 체크인/체크아웃, 목적지 안내 등 고객에게

    • 조재호 기자
    • 2024-01-05 10:06
  • CN.AI, 이미지 기반 생성형 AI 플랫폼으로 CES 노크

    [더테크=조재호 기자] 씨앤에이아이(CN.AI)가 오는 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릴 ‘CES 2024’에 참가해 자사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솔루션 티브와 넥스룩을 선보인다. CN.AI는 세계 최대 ICT 전시회인 ‘CES 2024’에 참가해 자사의 생성형 AI 기술력과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일 제품은 이미지 생성형 AI 플랫폼 ‘티브(Tivv)’와 현재 개발중인 차세대 지능형 CCT ‘넥스룩’이다. 지난해 11월 오픈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티브는 프롬프트만으로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어려웠던 기존 서비스의 단점을 보완해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생성을 지원하는 원스톱 이미지 생성형 AI 플랫폼이다. 텍스트로 묘사한 이미지를 만드는 기능에 사용자가 원하는 구도와 유사한 이미지를 입력해 새로운 이미지를 만드는 ‘이미지 편집’ 기능 등을 제공하며 자체 개발한 평가 모델을 적용했다. 아울러 CN.AI가 현재 연구개발 중인 차세대 지능형 CCTV인 넥스룩은 기존 AI CCTV에 맥락정보 기술을 접목해 고도화한 제품이다. 사건의 맥락을 이해하도록 개발해 기존 CCTV가 흉기를 은폐하면 이를 식별하지 못했었던 단점을 보완해 흉기를 노

    • 조재호 기자
    • 2024-01-04 17:27
  • [신년사] 대동, Data-AI-로봇 융합된 사업 혁신 강조

    [더테크=조재호 기자] 김준식 대동그룹 회장이 신년사에서 새해 인사와 함께 “미래사업 핵심 요소인 ‘Data-AI-로봇’을 기존 사업과 융합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을 주문했다. 김 회장은 “미래 사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더욱 탄탄히 하면서 관련 상품을 보급해 대동의 가치를 높이는 확실한 성장 동력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로봇 사업 육성을 강조했는데 “전문기관과 전방위적 협력으로 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올해 선보일 AI자율주행 로봇과 함께 로봇 기업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새해 인사와 함께 미래 사업 계획도 발표했다. 대동은 스마트 농기계 사업과 함께 지난 21년부터 진행해온 차량 관제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한 농기계 원격 관제 서비스 앱 ‘커넥트(Connect)’를 수출 상품에 올해부터 도입한다. 이를 통해 현지 시장에서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대동은 미래농업 플랫폼 기업을 위해 농기계를 넘어 △스마트 농기계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팜 △로보틱스 △GME(농업·조경용 장비) 등 5대 사업을 미래 성장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3년 연속 매출 1조 달성, 자율작업 농기계 풀 라인업 구축, 정밀농업 시범 서

    • 조재호 기자
    • 2024-01-04 15:50
  • 카이스트, 무게 대비 34배 힘내는 인공근육 개발

    [더테크=조재호 기자] 의료기기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소프트 로봇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이온성 고분자 인공근육을 이용한 유체 스위치를 카이스트에서 개발했다. 카이스트는 오일권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초저전력에서 작동하며 협소한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공근육과 소프트 유체 스위치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이온성 고분자 인공근육은 금속 전극과 이온성 고분자로 구성됐다. 전기에 반응해 힘과 움직임을 발생시키는데 0.01V의 초저전력에서 구동하면서 무게 대비 큰 힘을 낼 수 있도록 다공성의 공유결합성 유기 골격구조체(pS-COF)를 활용했다. 머리카락 정도의 얇은 두께로 제작된 인공근육은 10mg이라는 무게 대비 34배의 큰 힘을 내며 부드러운 움직임을 지녔다. 연구팀이 개발한 유체 스위치를 통해 정교한 움직임을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오일권 교수는 “초저전력으로 작동하는 전기화학적 연성 유체 스위치는 유체 제어를 기반으로 하는 소프트 로봇과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미세유체공학 분야에서 많은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며 “스마트섬유에서 생체 의료기기에 이르기까지 초소형 전자 시스템에 적용해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 조재호 기자
    • 2024-01-04 15:16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 배너

배너

많이 본 뉴스

더보기
  • 1

    LG전자, 베트남 전장부품 생산공장 '사이버보안' 인증 획득

  • 2

    트리나스토리지, 스마트제조 역량 강화..."글로벌 공급망 확대"

  • 3

    KIST, 세계 최초 ‘초고해상도 분산형 양자 센서’ 구현

  • 4

    폭스바겐, 벡터코리아 ECU 리프로그래밍 툴 ‘vFlash’ 도입… 생산 품질 향상 기대

  • 5

    페라리, 880마력 스페셜 모델 ‘296 스페치알레’ 공개

  • 6

    캔바, 국내 결제 수단 확대…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 도입

  • 7

    현대차그룹, SW 개발 생태계 구축..."SDV 시대 가속화"


  • 배너
  • 배너

  • 회사소개
  • 찾아오시는 길
  • 개인정보처리방침
  • 언론윤리강령
  • 청소년보호정책 (책임자 : 이지영)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의견·제보
  • 고객센터
  • 광고문의
로고

(주)빅테크 | 제호 : 더테크 (THE TECH) | 신문등록번호: 서울아53318 | 등록ㆍ발행일자: 2020.10.7 | 사업자번호 : 168-86-01987
발행ㆍ편집인 : 서명수 | 개인정보관리 책임자 : 이지영 | 청소년보호 책임자 : 이지영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 162-10, 4층 (서교동, 이혜2 빌딩) | 전화번호: 02-6952-6992 | 기사제보 : press@the-tech.co.kr
Copyright @더테크 (THE TECH) Corp.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ediaOn

UPDATE: 2025년 08월 29일 10시 58분

최상단으로
검색창 닫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닫기

더테크는 ‘스마트 테크 전문‘ 미디어입니다. AI, 사물인터넷, 미래모빌리티 등 인더스트리 4.0 시대를 이끌어갈 딥테크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ICT 산업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발송을 위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수집된 정보는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며 서비스 종료가 되거나 구독을 해지할 경우 즉시 파기됩니다.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