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지영 기자] 효성의 IT계열사인 효성ITX가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기업인 H3C와 국내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H3C의 라우터, 스위치,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등 다양한 네트워크 솔루션을 국내 시장에 공급할 예정이다. 이번 계약을 통해 엔트리 레벨부터 하이엔드까지 네트워크 장비를 갖춘 효성ITX는 향후 사업 영역과 시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H3C는 2003년 화웨이와 쓰리콤(3Com)이 공동으로 설립한 네트워크 장비 합작회사로, 2015년에 중국 칭화유니그룹에 인수된 이후 중국 내 디지털 인프라 제품과 솔루션을 공급하는 핵심 기업으로 성장했다. 2022년에는 유무선 네트워크 장비와 블레이드 서버 분야에서 중국 점유율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글로벌 IT 제품 및 솔루션의 국내 공급사로써 20여년간 다양한 서비스와 솔루션을 공급해온 효성ITX는 H3C의 네트워크 솔루션으로 데이터센터와 중소·중견기업(SMB)의 네트워크 수요를 공략할 계획이다. 또한, 네트워크 솔루션 사업 이외에도 H3C가 제공하고 있는 HCI, VDI 등 첨단 솔루션 관련 분야에서의 사업 확대도 기대하고 있다. 남경환 효성ITX 대표이사는 “H3C
[더테크=전수연 기자] 테스트·보증 솔루션 전문기업 스파이런트 커뮤니케이션(이하 스파이런트)이 이더넷을 통해 실제 AI 워크로드를 검증할 수 있는 고밀도 테스트 솔루션으로 일본 IT 전시회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스파이런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열린 일본 IT 전시회 ‘인터롭 도쿄 2024(Interop Tokyo 2024)’에 참가했다고 14일 밝혔다. 스파이런트는 일본 내 파트너인 TOYO Corporation과 협력해 인터롭의 연례 전시회인 어워드의 테스트 부문에서 스파이런트 AI 데이터 센터 테스트 솔루션, 스파이런트 B3 800G 어플라이언스, 스파이런트 옥토박스 WI-FI 7 테스트 솔루션의 특별상 수상 영예를 안았다. 마사토시 니시하라 스파이런트 일본 지사 총괄 매니저는 “AI 애플리케이션과 워크로드의 폭발적인 증가로 새로운 데이터 센터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며 “이 솔루션은 사용자가 AI 워크로드를 생성하기 위해 새로운 xPU 서버를 갖춘 실험실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주고 기존 테스트 환경에서 이더넷 패브릭을 테스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스파이런트의 새로운 AI 테스트 솔루션은 AI 환경을 위한 고밀도 400G xPU 워크로
[더테크=전수연 기자] 보안 플랫폼 전문기업 쿠도커뮤니케이션이 AWS Channel Partner Private Offer(채널 파트너 프라이빗 오퍼, 이하 CPPO) 사업을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보안 사업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 쿠도커뮤니케이션은 AWS의 채널 파트너로 참여한다고 29일 밝혔다. AWS CPPO는 AWS의 채널 파트너들에게 특별한 혜택, 가격을 제공해 종합 솔루션을 만들 수 있도록 돕는 계약 형태다. 쿠도커뮤니케이션은 CPPO를 통해 사용자에게 AWS의 클라우드 인프라·보안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쿠도커뮤니케이션은 개별 맞춤형 가격·조건을 제시할 뿐 아니라 기술 지원까지 함께 마련해 클라우드 인프라·보안에 대한 다양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통합 솔루션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PPO를 통해 쿠도커뮤니케이션이 제공 가능한 솔루션은 △방화벽 분야 FORTINET, SECUI △웹 방화벽 F5 △DB보안 PNPSECURE △백신 TRENDMICRO △인증 HashiCorp이며 국내·외 우수 벤더사들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최상의 보안·인프라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쿠도커뮤니케이션은 AWS ProServe팀과 함
[더테크=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의 통역을 도와 쇼핑, 대중교통 이용, 호텔, 관공서, 관광 명소, 음식점 등을 찾는 데 유용한 서비스를 공개했다. SKT는 13개 언어를 지원하는 AI 동시 통역 솔루션 ‘트랜스 토커(TransTalker)’를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트랜스 토커가 지원하는 언어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 스페인어 등 총 13개다. SKT는 이용자 반응이나 요구사항 등을 반영해 지원 언어를 추가할 계획이다. 외국인 관광객이 투명 스크린 앞에 설치된 마이크에 본인의 언어로 질문하면 한국어로 번역된 문장이 안내데스크 담당자 스크린에 표시된다. 이후 담당자가 한국어로 답변하면 이 내용이 실시간 관광객 언어로 변환돼 모니터에 나타나는 방식이다. 트랜스 토커는 투명한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 앞 소리만 전달해 주위 소음을 최대한 제거하는 지향성 마이크, PC 등으로 구성된다. AI 기반 동시 통역을 위해 K-AI Alliance 멤버인 AI 전문기업 코난테크놀로지와 함께 음성 인식(STT, Speech to text), 자연어 처리(NPU), 번역 엔진, LLM 등의 기능을 적용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AI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 그리드원이 업무를 직접 자율 처리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서비스 ‘고두(GO:DO)’를 공개했다. 그리드원은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그리드원 테크데이24 오토메이션 2.0, 자율 AI 에이전트’ 행사를 18일 개최했다. 사진은 기자 간담회가 열린 현장 모습.
[더테크=전수연 기자] AI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 그리드원이 업무를 직접 자율 처리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 서비스 ‘고두(GO:DO)’를 공개했다. 이 에이전트는 질문에 대해 추론만 하는 기존의 언어모델과 달리 자동화 솔루션을 연동하기 때문에 관련 업계의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드원은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그리드원 테크데이24 오토메이션 2.0, 자율 AI 에이전트’ 행사를 18일 개최했다. 행사에 앞서 김계관 그리드원 대표는 생성형 AI(LLM) 에이전트 서비스 고두 소개와 향후 그리드원의 사업 추진 내용을 발표했다. 그리드원은 하이퍼오토메이션 솔루션을 개발하는 AI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최근 다양한 산업 분야의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솔루션을 분석하고 있다. 김 대표는 “꾸준히 자동화 솔루션 오토메이션 개발에 집중해왔다. 기계가 사람을 대신해주는 것은 모두가 원하고 있다”며 “엔비디아(NVIDIA) 칩, 컴퓨팅 문제, 전력 등 AI 시대를 대비할 수 있는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고자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리드원은 스마트폰의 유행부터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을 고민했다. 또 자동화가 빠르게 닥칠 것이라 판단하고 RPA(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더테크=전수연 기자] 줌 비디오 커뮤니케이션즈(Zoom Video Communications, 이하 줌)가 줌 플랫폼 전반에서 규제 준수 요건을 점검하고 컴플라이언스 리스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올인원 서비스를 공개했다. 줌은 아카이빙, eDiscovery(전자증거개시), 소송보존, 정보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줌 컴플라이언스 매니저(Zoom Compliance Manager)를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줌은 기업 운영 전반에 규제 요건, 커뮤니케이션 컴플라이언스가 점점 더 엄격해지면서 막대한 벌금, 법적 책임, 이미지 실추 등 기업에 중대한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기업들은 더욱 탄탄한 컴플라이언스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데 사이버 보안 솔루션 업체 세타 레이크(Theta Lake) 기술 기반의 줌 컴플라이언스 매니저는 기업이 규제 요건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번 줌 컴플라이언스 매니저는 아카이빙, 콘텐츠 캡처, 미팅 데이터, AI 요약, 통화 녹음, 팀챗, 화이트보드 등을 자동 캡처해 보다 효과적으로 줌을 사용하고 규정, 장기 기록 보존 요건을 충족한다. 또한 eDiscovery, 사용자 친화
[더테크=전수연 기자] 현대위아가 미래 모빌리티 시대에 맞춘 새로운 제조 솔루션을 공개했다. 현대위아는 경기 고양시 KINTEX에서 열리는 SIMTOS 2024에서 전기자동차 제조에 특화된 모빌리티 제조 토털 솔루션을 공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솔루션은 자율주행 물류로봇(AMR), 협동로봇, 공작기계가 어우러져 사람의 개입 없이 전기차 부품을 만든다. 또한 현대위아는 미래 모빌리티 생산에 특화된 18종의 고성능 공작기계를 전시했다. 이번 전시회에서 현대위아는 공작기계와 다양한 로봇을 활용해 작업자 없이 가능한 물품 이송에서 최종 완성까지의 모습을 선보였다. 또한 금속을 가공하는 공작기계 SE2200M 1대와 300kg급 AMR 2대, 15kg급 협동로봇 2대를 이용해 부품 이송부터 최종 완성까지 전 자동으로 이뤄지는 모습을 시연했다. AMR이 금속 재료를 공작기계까지 운반하면 협동로봇이 이를 공작기계에 집어넣고 완성 후에는 협동로봇이 이를 거내 AMR을 이용, 최종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운반하는 방식이다. 현대위아는 모빌리티 시장의 변화에 맞춘 18종의 고성능 공작기계도 공개했다. 공작기계는 선반, 머시닝센터를 결합한 9축 멀티태스킹 공작기계인 X
[더테크=전수연 기자] 엔터프라이즈 전문기업 SAP의 클라우드 HCM(인적자본관리) 솔루션 SAP 석세스팩터스(SAP SuccessFactors)가 온프레미스 솔루션을 클라우드 기술로 이전하는 방안을 공개했다. SAP 석세스팩터스는 26일 국내 기업의 HR, IT 분야 임직원 250여 명을 대상으로 SAP HR 커넥트 2024(SAP HR Connect 2024)를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SAP 석세스팩터스는 온프레미스 HR에서 클라우드로 전환하기를 주제로 최신 HR 디지털 혁신을 소개하고 시대에 뒤떨어진 온프레미스 솔루션을 최신 클라우드 기술로 이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대니얼 백(Daniel Beck) SAP 석세스팩터스 사장 겸 최고 제품 책임자는 기조연설자로 나서 SAP 석세스팩터스를 통한 HR 기술 혁신을 소개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LG CNS, LG이노텍, 한독,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 등 국내 SAP 석세스팩터스 고객사 사례가 공개됐다. 국내 고객사의 HR 현업, 혁신 담당자가 직접 무대에 올라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 HCM 솔루션으로 전환, 운영한 사례를 공유했다. 한독은 전사적인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강화하는 가운데 HR 정
[더테크=조재호 기자] 미라콤아이앤씨가 이달 27일부터 29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Automation World 2024)'에 참가한다고 20일 밝혔다. 이 전시회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산업자동화 전문전시회다. 미라콤은 'Be Smart with Smart Factory'라는 테마로 △스마트제조(Smart Manufacturing) △데이터 분석(Data Analysis) △설비/물류자동화(Automated Material Handling) 3개의 존으로 나눠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 스마트제조 존에선 제조실행시스템(MES) 'Nexplant MESplus' 최신버전을 소개한다. 온프레미스를 비롯해 IT 인프라나 운영인력이 부족한 기업을 위해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21개 업종 프로세스에 최적화됐다. 9개의 기본모듈과 10개 확장모듈, 451개 코어화면을 통해 어떤 공장에서도 쉽고 빠르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데이터분석 존에서는 제조데이터를 활용해 품질과 수율을 분석할 수 있는 QMS와 설비진단 솔루션을 만나볼 수 있다. 해당 솔루션을 통해 설비데이터의 수집과 진단·분석을 통해 지능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상업용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B2B 제품을 운용·관리하는 솔루션을 선보인다. LG전자는 온라인 플랫폼 ‘LG 비즈니스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30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디스플레이 박람회 ISE 2024에서 처음 공개한다고 26일 밝혔다. LG전자는 상업용 디스플레이가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제품마다 맞춤 콘텐츠를 적용하고 스케줄에 맞춰 수시로 콘텐츠를 교체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이 때문에 화질 등 하드웨어 기술력뿐 아니라 전체 디스플레이와 콘텐츠를 통합 관리하는 솔루션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LG 비즈니스 클라우드는 LG전자의 상업용 디스플레이를 운용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한다. 호텔TV, 사이니지에 적용할 콘텐츠를 제작하는 솔루션은 UI·UX가 친화적으로 구성됐다. 사이니지 이상 상태와 에너지 사용량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해 효율성을 높이는 솔루션도 있으며 파트너사들이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로 명화 등 예술작품 감상 △날씨·비행·관광 정보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도 제공된다. 특히 webOS 6.0 이상이 탑재된 LG전자 호텔TV와 사이니지 사용자에게는 디바이스 온·오프, 리부팅
[더테크=전수연 기자] 글로벌 테크 기업 레노버가 자사 연례 글로벌 행사에서 새로운 AI 기능을 소개하고 다양한 파트너사와의 협력 방안을 공개했다. 레노버는 텍사스에서 개최한 ‘테크월드’에서 모두를 위한 AI라는 통합 비전 아래 자사 차세대 AI 기능을 선보였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레노버는 포켓에서 클라우드 인프라에 이르는 산업 전반의 인텔리전트 전환을 위한 레노버의 AI 활용을 강조했다. 지난 8월 발표한 AI 혁신에 추가 투자 계획 이행의 일환으로 공공, 민간, 개인 맞춤화 모델 등 하이브리드형 AI에 대한 접근 방식을 공유했다. 데이터와 사용자 개인정보 보안을 위해 레노버 AI는 디바이스 또는 온프레미스 서버 내에서만 작동하고 개인 사용자의 데이터나 기업 독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해 보안을 유지한다. 레노버는 엔비디아의 파트너로서 엣지, 클라우드 등 데이터가 생성되는 곳에 AI 기반 컴퓨팅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업이 모든 산업에서 맞춤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레노버와 엔비디아는 엔비디아의 MGX 모듈형 레퍼런스 디자인을 기반으로 차세대 시스템을 개발해 생성형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