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자동차의 엑시언트가 누적주행 1000만km을 돌파했다. 회사는 주행을 통해 축적한 데이터를 활용해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발전시켜 다양한 차량에 적용하고 수소 밸류체인 사업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XCIENT Fuel Cell)이 스위스에서 총 누적 주행거리 1000만km를 돌파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연료전지 기술력과 신뢰성을 입증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 2020년 10월 스위스에서 첫 운행을 시작한 지 3년8개월만에 달성한 기록이다. 현재 스위스에서 총 48대의 수소전기트랙이 운행 중이다. 해당 차량은 2개의 수소연료전지로 구성된 180kw급 수소연료전지시스템과 350kW급 구동모터를 탑재해 1회 충전으로 400km을 주행할 수 있다. 수소전기트럭은 일반 디젤 트럭과 달리 주행 중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순수한 물만을 배출한다. 일반 트럭이 1000만km을 운행하면 약 6300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데 이는 수령 30년 소나무 약 70만 그루가 연간 흡수하는 탄소량으로 508만㎡의 소나무 숲과 같다. 아울러 스위스에서 운행되는 수소전기트럭은 생산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그린수소’만
[더테크=조재호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지난해 북미 시장에 이어 올해는 유럽 전기차 시장을 위한 생산거점 마련에 나셨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11일(현지시간) 폴란드 오폴레주 브제크시에서 신규 구동모터코아 공장(PI-PEM: Posco International Poland e-Mobility)의 착공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10만㎡ 규모의 부지에 세워질 폴란드 신공장은 2025년 중순에 완공될 예정이며 현대자동차그룹의 유럽 현지 생산 전기차에 적용될 구동모터코아 103만대 생산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가동에 돌입할 예정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향후 유럽 주요 전기차 브랜드를 공략해 폴란드 공장에서만 2030년까지 연 120만대의 구동모터코아 생산체제를 갖춘다는 계획이다. 이번 공장 구축으로 회사는 한국의 포항, 천안을 포함해 멕시코, 인도, 폴란드에 걸친 구동모터코아 글로벌 생산 클러스터를 구축했다. 아울러 동아시아, 서남아, 북미, 유럽 등 주요 경제권역에 현지 생산기지를 확보해 심화하는 보호무역주의로 인한 관세장벽 리스크도 해소했다. 한편, 전기차 캐즘에 대한 우려와 달리 친환경차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에
[더테크=조재호 기자] SNE 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2024년 1~4월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이 428만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대비 약 20.3% 상승한 수치인데, 중국을 제외한 주요 국가들의 성장세 둔화가 두드러지고 있다. 가장 큰 요인으로는 미국의 중국 전기차 견제가 꼽힌다. 올해 1~4월 주요 브랜드별 전기차 판매량을 살펴보면 BYD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성장세를 보이며 글로벌 1위 자리를 지켰다. Song, Seagull, Dolphin의 판매 호조가 성장을 견인했는데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의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테슬라는 주력 차종들의 판매량이 감소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1% 역성장하며 2위를 기록했다. 미국 프리몬트 공장의 모델 3 하이랜드의 생산 초기 단계 이슈와 홍해 분쟁으로 인한 고객인도 지연 그리고 베를린 공장의 방화 사건에 따른 공장 폐쇄가 주요인으로 꼽힌다. 3위인 Geely 그룹은 경형 전기차 Panda MINI는 3.2만대, 중고급형 ZEEKR 001이 3만대 이상 판매됐고 신형 전기차 EX30을 포함한 볼보의 전기차들이 유럽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더테크=전수연 기자] SNE리서치가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글로벌 전기차 총 대수가 약 313.9만대로 전년 대비 약 20.4% 상승했다. 주요 그룹별 전기차 판매 대수를 살펴보면 BYD는 전년 동기 대비 9.9%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글로벌 1위 자리를 이어갔으며 Song(宋), Seagull (海鸥), Dolphin (海豚)의 판매 호조가 BYD의 성장을 견인했다. BYD는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류와 서브 브랜드를 통해 다양한 선택의 폭을 제공하고 시장점유율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중국 내수 시장의 가격 인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BYD는 1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하회한 것으로 분석된다. BYD의 PHEV를 제외한 순수 전기차 판매량은 약 29만대로 집계됐다. 테슬라는 주력 차종인 모델 Y를 제외한 다른 라인업의 판매량이 감소하며 전년 동기 대비 2.4%의 역성장과 함께 2위를 기록했다. 테슬라는 올 1분기 판매량 감소의 원인으로 미국 프리몬트 공장의 모델 3 하이랜드의 생산 초기 단계 이슈와 홍해 분쟁으로 인한 인도 지연, 기가 베를린 공장의 방화 공격에 따른 공장 폐쇄를 주요인으로 꼽았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당초 2025년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자동차가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소폭 하락했지만, 주요 해외 시장에서 판매 성장세가 이어졌다. 현대자동차는 25일 컨퍼런스콜에서 1분기 연결기준 매출 40조6585억원, 영업이익 3조557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1분기 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7.6%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3% 감소했다. 현대자동차의 2024년 1분기 판매는 신차 출시 준비를 위한 아산공장 생산라인의 일시적인 셧다운 영향으로 전년 동기보다 감소했지만, 북미와 인도 등 주요 지역에서 판매 성장세를 이어갔다. 영업이익은 판매대수 감소의 영향으로 소폭 감소했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이번 실적 발표에 대해 “고금리 지속과 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환율 변동성 확대 등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주요 해외 시장의 수요 확대에 따른 판매 성장세로 8% 이상의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의 2024년 1분기 차량 판매량은 100만6767대이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1.5% 감소한 수치다. 국내 시장에서 신차 양산 대응을 위한 아산공장 셧다운 등으로 15만9967대의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차그룹이 사우디아라비아에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힘을 보탠다. 현대차그룹은 25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사우디 기가 프로젝트 중 하나이자 프로그램 추진 주체인 Red Sea Global(RSG)와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양사의 임원진이 참석했다. 현대차그룹과 RSG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친환경 모빌리티 솔루션 실증 △미래모빌리티 솔루현 협업 기회 발굴 및 추진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사우디는 원유 중심의 경제구조를 탈피하고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2016년 ‘사우디 비전 2030’ 전략을 수립한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RSG가 개발하고 있는 홍해 지역 움마하트 제도 리조트 단지와 서부 해안의 친환경 웰빙 관광단지인 아말라에서 전기차 및 수소전기차를 실증하고 이를 통해 사우디 내 친환경 모빌리티의 보급 확대와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다. 중장기적으로는 RSG 개발 단지 전체에 미래 항공 모빌리티(Advanced Air Mobility, AAM),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도입을 도모할 계획이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은 사우디
[더테크=전수연 기자] 2023년 글로벌 지역에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가 약 1407만대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3년 하반기 예측치(1377만대)보다 약 30만대 높은 수치로 다소 둔화된 성장률이 예상된다. SNE리서치는 2024년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관련 예측 보고서를 20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에는 19.1%의 약화된 성장률로 약 1675만대의 전기차 판매가 전망됐다. 기존 전망치보다 상향된 부분은 대부분 중국지역이었다. 다만 작년보다 성장률이 둔화됐음에도 하반기에 BYD, SAIC 기반의 현지기업 고성장세가 유지됐다. 특히 BYD의 가격인하 정책으로 PHEV의 성장률은 88%를 기록하며 예측치를 뛰어넘는 841만대의 판매를 기록했다. 또한 올해는 중국 전반의 경제 약화와 시장 포화 등으로 비교적 낮은 15%의 성장률의 968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유럽은 보조금 감축, 강력한 탄소 규제로 인해 2024년 15.9%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2025년부터 대폭 강화되는 탄소규제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올해 말부터 전기차 판매가 확대될 양상이다. 북미지역은 금리 인상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에도 2023년 49%의 높은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차·기아가 2023년 미국에서 역대급 판매기록을 달성했다. 이러한 상승세에 힘입어 올해에도 현지 고객의 취향을 저격한 친환경차·고급차·RV(Recreational Vehicle, 레저 차량)을 중심으로 호실적이 기대된다. 최근 발표된 미국 2023년 연간 판매실적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연간 판매 실적 165만2821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2.1% 증가한 실적으로 미국 진출 후 역대 최다 판매다. 이번 실적은 지난해 펜데믹에 따른 타 업체들의 공급부족으로 인한 일시적 반사효과가 아니라 현대차·기아의 제품 경쟁력과 브랜드 파워를 기반으로 미국 시장에서 자리매김한 것을 보여주는 성과로 보인다. 미국의 오토모티브뉴스(Automotive News)가 집꼐한 업체별 판매 실적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스텔란티스를 재치고 GM, 도요타, 포드에 이어 완성차판매량 4위를 차지했다. 2021년 혼다를 넘어 5위를 달성한지 2년만에 한걸음 더 내디딘 셈이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지난해 150만대 판매는 수치적 측면에서도 큰 성과지만, 이제는 현대차·기아가 값싸고 효율이 좋은 소위 ‘가성비’가 좋은 브랜드가 아니라, 품질과 상품성, 브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