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사내벤처, 신소재 태양전지 검증 나서

플렉셀 스페이스와 인하대, 위성·태양전지 기술 협력해
뉴스페이스 시대 맞이해 상용 부품의 우주 사용을 위한 검증 시도

 

[더테크=조재호 기자] 한화시스템의 사내벤처 ‘플렉셀 스페이스(Flexell Space)’와 인하대학교가 위성·태양전지 기술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플렉셀 스페이스와 인하대학교는 위성 설계 혁신을 위한 기술 협력에 나선다. 국내 우주산업 소부장 제품의 발전과 세계적인 주도성 확보에 힘을 모으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플렉셀 스페이스는 오는 2025년 하반기로 예정된 누리호 4차 발사에서 부탑재 위성으로 선정된 인하대학교의 관측위성 ‘INHARoSAT’(인하로셋)에 플렉셀 스페이스가 개발한 ‘우주용 탠덤 유연 태양전지’를 공급한다.

 

CIGS와 프로브스카이트를 결합한 탠덤 태양전지는 적은 비용으로 기존 제품군 대비 가볍고 높은 출력을 제공할 수 있어 위성·우주선 산업 발전의 동력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탠덤 태양전지는 두 개의 태양전지를 쌓아 올려 서로 다른 파장영역에서 태양광을 흡수할 수 있는 차세대 태양전지를 말한다.

 

플렉셀 스페이스의 탠덤 태양전지는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성질을 지녀 두루마리처럼 말렸다 펼쳐지는 구조로 탑재돼 고객이 원하는 출력까지 태양전지를 펼쳐 사용할 수 있다. 소면적·곡면 등의 다양한 위성 표면에도 적용할 수 있다.

 

회사는 탠덤 태양전지의 우주 헤리티지를 확보해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인하대는 위성 개발 시 혁신적인 태양전지 기술을 접목해 우부 분야에서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안태훈 한화시스템 전문연구원 겸 플렉셀 스페이스 대표는 “CIGS와 페로브스카이트를 결합한 탠덤 태양전지가 우주로 가는 것은 세계 최초”라며 “이번 협약은 상호 기술을 접목한 미래 태양전지의 운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첫 단계로 방사능과 태양열에 의한 극고온·극저온 등이 반복되는 실제 우주 환경을 견디며 실용성이 있음을 입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검증을 통해 우주용 탠덤 태양전지의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위성 제조뿐 아니라 우주 탐사 및 우주 발전소 등 다양한 우주 프로젝트에 필요한 핵심 구성품 개발에도 힘쓰며 우주산업 성장을 촉진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