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브레인AI, AI가 고객 응대부터 강의까지… 맞춤형 ‘AI 휴먼’ 서비스 확대

 

[더테크 이승수 기자]  국내 생성형 인공지능(AI) 전문기업 딥브레인AI가 커스텀 아바타 기술과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결합한 맞춤형 AI 휴먼 서비스를 산업 전반으로 확대한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확장은 기업과 기관이 필요로 하는 대화형 AI를 손쉽게 제작·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AI 기반 비즈니스 자동화와 커뮤니케이션 혁신을 가속화한다는 전략이다.

 

딥브레인AI의 AI 휴먼은 사람의 외형, 음성, 표정, 대화 능력을 사실적으로 구현한 대화형 생성AI 솔루션이다. 별도의 촬영 없이 실제 인물처럼 생동감 있는 얼굴과 자연스러운 말투를 생성하는 커스텀 아바타 기술을 적용해 제작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였다. 여기에 LLM이 결합돼 사용자의 질문 의도를 파악하고 문맥에 맞게 응답하는 지능형 AI가 완성된다.

 

딥브레인AI는 이미 다양한 산업에서 AI 휴먼 상용화를 통해 기술력을 입증했다. 스마트 관광 분야에서는 AI 문화 해설사, 공공기관에서는 청소년 심리상담사, 금융권에서는 AI 은행원, 교육 분야에서는 사이버대학 AI 교수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미디어·커머스·엔터테인먼트 분야로도 확산되며, 실시간 방송 진행, 상품 소개, 콘텐츠 제작 등 새로운 서비스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딥브레인AI는 AI 휴먼을 기업·기관 업무 환경 전반에 도입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반복적이거나 시간 소모적인 고객 상담, 안내, 교육, 홍보 등의 업무를 AI 휴먼이 대신 수행함으로써 운영 효율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단순한 시나리오 챗봇과 달리, 문맥을 이해하고 일관된 품질의 답변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 만족도 역시 높다.

 

특히 의료 상담, 교육, 문화 해설, 마케팅, 상품 판매, 콘텐츠 제작 등 목적에 따라 AI 휴먼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어, 산업의 특성과 규모를 가리지 않는 범용성을 갖춘 것이 강점이다.

 

장세영 딥브레인AI 대표는 “커스텀 아바타와 LLM의 결합은 단순한 기술 융합을 넘어, AI가 사람의 감정과 지식을 고객에게 고스란히 전달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이라며, “브랜드 콘셉트에 맞는 AI 휴먼을 누구나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