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자동차의 엑시언트가 누적주행 1000만km을 돌파했다. 회사는 주행을 통해 축적한 데이터를 활용해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발전시켜 다양한 차량에 적용하고 수소 밸류체인 사업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XCIENT Fuel Cell)이 스위스에서 총 누적 주행거리 1000만km를 돌파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연료전지 기술력과 신뢰성을 입증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 2020년 10월 스위스에서 첫 운행을 시작한 지 3년8개월만에 달성한 기록이다. 현재 스위스에서 총 48대의 수소전기트랙이 운행 중이다. 해당 차량은 2개의 수소연료전지로 구성된 180kw급 수소연료전지시스템과 350kW급 구동모터를 탑재해 1회 충전으로 400km을 주행할 수 있다. 수소전기트럭은 일반 디젤 트럭과 달리 주행 중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순수한 물만을 배출한다. 일반 트럭이 1000만km을 운행하면 약 6300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데 이는 수령 30년 소나무 약 70만 그루가 연간 흡수하는 탄소량으로 508만㎡의 소나무 숲과 같다. 아울러 스위스에서 운행되는 수소전기트럭은 생산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그린수소’만
[더테크=조재호 기자] 2024년 1분기 글로벌 수소차 시장의 수소연료전지차의 판매량은 2382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36.4% 감소해 역성장세를 보였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현대자동차는 넥쏘(NEXO)와 일렉시티(ELEC CITY)를 691대 판매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6.2% 감소했다. 이는 국내 시장에서 넥쏘의 판매량 하락이 주원인으로 분석된다. 도요타도 미라이(Mirai)와 크라운(Crown)의 판매량이 868대를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 감소한 판매량을 보였다. 중국은 하이마(Haima)가 MPV 차량인 하이마 7X를 기반으로 개발한 수소 전기차 하이마 7X-H 차량을 소량 인도했다. 이외에 중국 업체들은 상용차 시장을 중심으로 꾸준한 판매량을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한국이 현대자동차의 넥쏘 판매량 부진의 여파로 시장 점유율이 51.1%에서 26.5%로 크게 하락했다. 미국은 한국과 비슷한 수소차 판매 감소세로 19.5%에서 9.4%로 점유율이 하락하며 5위를 기록했다. 반면 중국은 수소 상용차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하며 전기차 시장에 이어 수소차 시장 점유율도 34.6%를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3위인 유럽도 도요타의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차그룹이 사우디아라비아에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힘을 보탠다. 현대차그룹은 25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사우디 기가 프로젝트 중 하나이자 프로그램 추진 주체인 Red Sea Global(RSG)와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양사의 임원진이 참석했다. 현대차그룹과 RSG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친환경 모빌리티 솔루션 실증 △미래모빌리티 솔루현 협업 기회 발굴 및 추진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사우디는 원유 중심의 경제구조를 탈피하고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2016년 ‘사우디 비전 2030’ 전략을 수립한 바 있다. 현대차그룹은 RSG가 개발하고 있는 홍해 지역 움마하트 제도 리조트 단지와 서부 해안의 친환경 웰빙 관광단지인 아말라에서 전기차 및 수소전기차를 실증하고 이를 통해 사우디 내 친환경 모빌리티의 보급 확대와 생태계 조성에 기여한다. 중장기적으로는 RSG 개발 단지 전체에 미래 항공 모빌리티(Advanced Air Mobility, AAM),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도입을 도모할 계획이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은 사우디
주간 'Tech Point’는 금주의 소식을 톺아보고 정리한 뉴스 큐레이션 콘텐츠입니다. 한 주를 돌아보며 독자 여러분께 한 번 더 알려드리고 싶은 소식과 그 외 이슈들을 함께 모아봤습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2월 3주차 ‘주간 Tech Point’는 반도체 설계기업 Arm의 주가 상승 소식부터 살펴보겠습니다. Arm은 12일(현지시간) 기준 주가 148.97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 거래일보다 29.30% 상승한 가격으로 지난주 수요일 실적 발표 이후 100% 급등했습니다. 지난해 9월 기업공개(IPO) 이후 약 3배나 상승한 가격입니다. 앞서 Arm은 실적 발표를 통해 매출 8억2400만달러(1조941억원), 주당 순이익 0.29달러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시장 전망치였던 7억6100만 달러를 상회하고 전년 대비 매출도 14%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실적에 대해 Arm은 “스마트폰 시장 회복과 자동차, 클라우드 업체에 대한 매출 증가로 실적이 늘었다”며 “반도체 시장 회복 조짐과 함께 스마트폰의 성장세는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고 전했습니다. Arm의 높은 수익에는 반도체 산업 전반의 업황 반등이 있었습니다.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인 만큼 주 수
[더테크=조재호 기자] 2023년 수소차 시장이 전년 대비 30.2% 줄었다. 차세대 청정 에너지원으로 유망한 수소차 시장이지만 충전 비용 상승, 충전 인프라 부족 등으로 친환경차 시장에서 매력이 떨어진 가운데 올해 신차출시가 예고된 상황. 성장세를 회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SNE 리서치는 15일 2023년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수소연료전지차의 총 판매량이 1만4451대로 전년 동기 대비 30.2% 감소해 역성장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현대자동차는 넥쏘(NEXO)와 일렉시티(ELEC CITY)를 5012대 판매하면서 시장 점유율 34.7%를 기록해 수소차 시장 선두를 유지했다. 다만 판매량은 2022년 1만1179대에서 2023년 4709대에 그쳐 절반 이상인 55.9% 감소했다. 도요타 미라이(Mirai)는 올해 3737대를 판매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3.9% 판매량을 늘렸다. 중국업체들의 경우 상용차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국가별로 기록을 보면 한국은 넥쏘의 판매량 부진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2% 감소했다. 반면에 중국은 수소 상용차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하며 전세계 전기차 시장에 이어 수소차 시
[더테크=조재호 기자] SNE리서치가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글로벌 수소연료전지차의 총 판매량이 1만340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7.4% 감소하면서 역성장을 기록했다. 현대차는 시장 점유율 36.4%로 1위 자리를 유지했다. 그러나 판매량 자체는 절반 이하로 줄었는데, 지난해 1만여대 판매고를 올린 넥쏘(NEXO)의 판매량이 4601대에 그쳤다. 반면 도요타의 미라이(Mirai)는 3678대 판매량을 보이며 지난해 3238대에서 13.5% 증가했다. 중국업체들은 상용차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은 수소 상용차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하며 전기차 시장에 이어 수소차 시장 점유율도 1위에 올랐다. 미국도 도요타 미라이가 가장 많이 팔린 국가로 중국과 함께 성장세를 기록했다. 반면 한국은 넥쏘 판매 부진으로 수소차 시장 점유율이 지난해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에 대해 한국 시장에서 판매되는 수소차가 넥쏘 단일 모델로 2021년, 2023년 두차례 페이스 리프트가 전부였기에 소비자의 선택지가 제한된 결과에 따른 것이라는 의견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더테크=전수연 기자] 올해 글로벌 수소차 판매량이 전년 보다 감소하며 위축된 시장 동향을 보였다. SNE리서치가 2023년 1~10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수소연료전지차의 총 판매량이 12076대로 전년 동기 대비 25.2% 감소해 역성장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현대차는 넥쏘(NEXO)와 일렉시티(ELEC CITY)를 4604대 판매하며 시장 점유율 38.1%로 수소차 시장 선두 자리를 유지했다. 현대차는 전년 동기 넥쏘의 판매량이 9587대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차지한 바 있다. 하지만 올해 판매량은 4349대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54.6% 감소했다. 반면 도요타 미라이(Mirai)의 경우 전년 동기 2899대에서 올해 3567대가 판매돼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다. 이 외에도 중국업체는 수소 상용차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하는 모습이다. 국가별로 볼 때 한국은 현대차 넥쏘의 판매량 부진 여파로 전년 동기 대비 52.6% 감소했지만 35.4%의 시장 점유율로 수소차 시장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중국은 수소 상용차를 중심으로 지속 성장세를 이어가며 한국과 함께 3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미국은 최근 판매량
‘주간 Tech Point’는 금주의 소식을 톺아보고 정리한 뉴스 큐레이션 콘텐츠입니다. 한 주를 돌아보며 독자여러분께 한번 더 알려드리고 싶은 소식과 그 외 이슈들을 함께 모아봤습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11월 4주차 ‘주간 Tech Point’는 오픈AI의 창업자 샘 알트만이 해임과 복귀 소식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지난 17일(현지시각) 오픈AI의 샘 알트만이 해임됐습니다. 샘 알트만은 통보 전날까지 오픈AI CEO로 공식 행보를 진행했는데요,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오픈AI의 대주주인 마이크로소프트도 직전에 해당 내용을 공유받았다고 합니다. 비즈니스 관점에서 오픈AI는 ‘이익제한기업’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이사회 아래 비영리 회사와 영리 자회사가 병립하는 구조로 수익률이 제한돼 AI 개발 방향과 속도에 갈등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일리야 수츠케버 수석과학자는 이번 해임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전부터 생성형 AI의 개발 속도와 안정성, 수익화에 있어 알트만 CEO와 의견 차이가 심했다고 합니다. 이번 발표로 임시 CEO직에 오른 무라티를 비롯한 이사진들의 면모를 살펴보면 AI 기술 활용에서 안정성을 강조한 인물들이 전면에 나섰습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전세계가 탄소중립을 외치며 친환경차 전환이 진행 중인 가운데 규모의 경제를 실현한 전기차와 달리 수소차는 전년보다 시장 규모가 축소됐다. SNE리서치가 20일 발표한 올 1월부터 9월까지의 글로벌 수소연료전지차의 총 판매량은 1만129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3% 감소해 역성장을 기록했다. 업체 순위 1위는 현대자동차로 넥쏘(NEXO)와 일렉시티(ELEC CITY)를 4320대 판매해 시장 점유율 38.3%를 기록했다. 하지만 판매량 부진으로 성장률은 –49.5%로 역성장했다. 2위 토요타는 미라이(Mirai)의 판매량이 5월 이후 상승세를 기록해 시장 점유율을 30.7%까지 끌어올렸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현대차의 판매량 감소 여파로 지난해 절반가량의 판매량을 기록했지만 35.5%의 시장 점유율로 수소차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중국은 수소 상용차를 중심으로 성장세를 이어가며 2위에 올랐는데 한국과 함께 3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미국은 토요타 미라이가 가장 많이 팔린 국가로 40.5%의 성장세를 기록하며 24.7%의 점유율로 3위를 차지했다. SNE 리서치는 “수소차는 한정된 차종과 인프라 부족 등 시장의
[더테크=조재호 기자] 이베코가 대형 전기트럭과 수소전기트럭의 생산 및 판매 계획을 1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이베코그룹이 지난 6월 이베코와 니콜라의 합작법인인 ‘니콜라 이베코 유럽’의 소유권을 인수한 데 따른 것이다. 이베코는 대형 전기트럭(HD BEV)과 수소전기트럭(HD FCEV)에 이베코그룹 산하 파워트레인 전문 브랜드 ‘FPT 인더스트리얼’과 공동 제작한 전기 액슬(electric axle)을 장착했다. 아울러 ‘프로테라(Proterra)’의 배터리, ‘보쉬(Bosch)’의 연료전지 기술 및 핵심 부품을 탑재했다. 전동화 파워트레인 기반의 두 트럭은 이베코의 대형 트렉터 모델 ‘이베코 에스-웨이(S-WAY)’ 플랫폼을 토대로 한 모듈러 아키텍처를 채택, 연료전지와 배터리 추진 기술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다. 두 트럭 모두 독일 울름에서 생산된다. 국내 출시에 대해서 이베코 관계자는 더테크에 “대형 전기 및 수소전기트럭의 국내 출시 계획에 대해서는 아직 정해진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HD BEV는 1회 충전으로 500km를 주행할 수 있다. 아홉 개의 팩으로 구성된 738kWh 급 배터리를 탑재했고, 350kW의 충전 출력을 제공해 90분 내 배
[더테크=문용필 기자] 글로벌 수소연료전지차(이하 수소차) 시장이 올해 5월까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순수 전기차 시장과는 사뭇 다른 온도다. (관련기사: 1~5월 글로벌 EV 등록대수, 전년比 43% 증가) 시장조사업체인 SNE리서치의 11일 발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수소차의 총 판매량은 6338대에 불과해 전년 동기보다 12.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소차는 전기로만 움직이는 전기차와는 달리 탱크에 저장된 수소가 화학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만드는 방식으로 구동한다. 연비가 좋다는 평가를 받는데다가 친환경적이지만 최근 각광받는 전기차에 비해선 차종이 다양하지 않고 특히 국내의 경우엔 수소충전소 등 인프라가 아직은 부족해 보인다. 때문에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기 위해선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SNE리서치도 “오랜기간 동안 지적된 수소차 충전 인프라 부족, 수소 충전 비용 상승, 국내의 경우 넥쏘로 한정된 소비자들의 선택지 등이 수소차 시장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글로벌 수소차 시장의 선두주자는 ‘넥쏘’(NEXO)와 ‘일렉시티’(E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가 전동화 전환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 구현에 박차를 가한다. 이를 위해 중장기 전동화 전략 ‘현대 모터 웨이(Hyundai Motor Way)’를 실행한다. 나아가 수소·자율주행·로보틱스·AAM(Advanced Air Mobility) 등 미래 모빌리티 사업도 추진한다. 현대차는 20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3 CEO 인베스터 데이(CEO Investor Day)’를 개최하고 중장기 사업 전략과 재무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행사에서 현대차는 미래 전기차 주도권을 두고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유연하고 신속하게 전동화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를 위해 2023년부터 2032년까지 향후 10년간 총 109조4000억원을 투자하는 중장기 재무 계획 중 33%에 해당하는 35조8000억원을 전동화 관련 투자비로 책정했다. 현대 모터 웨이의 상세 전략으로는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도입으로 2세대 전용 전기차 플랫폼 도입 △전기차 생산 역량 확대를 위한 내연기관 공장 전환 및 신규 EV 공장 건설 △배터리 개발 역량 확보 및 소재 수급 안정화를 통한 성능 향상·가격 경쟁력 강화 △차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