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AAM 분야 국제 사실표준화기구 ‘G3AM’ 출범

대한항공, 한화시스템, 이통3사 및 영미권 다국적 기업 참여
“첨단 항공교통 발전과 생태계 조성에 중추적인 역할 하도록 지원”

 

[더테크=조재호 기자] 정부가 미래형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첨단 항공교통 분야의 디지털 기술 표준 확립함과 동시에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움직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 서울 롯데월드타워 Sky31 컨퍼런스 홀에서 세계 최초 첨단 항공교통(Advanced Air Mobility, AAM) 분야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 G3AM(Global Association for Advanced Air Mobility) 출범식을 열었다.

 

첨단 항공교통은 단거리 중심의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UAM)과 중·장거리 중심의 지역 간 항공교통(Regional Air Mobility, RAM)을 포괄하는 항공교통을 의미한다. 이는 교통권 확대 및 기존 교통수단의 환경 문제 해소 등의 차원에서 미래형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AAM은 인공지능(AI), 통신, 데이터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필요해 상호운용성·신뢰성·지속가능성 등을 위한 국제표준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분야다. 관련해 산업이나 생태계가 형성 중인 태동단계로 표준화 주도권을 선점하기도 좋은 시기다.

 

오늘 출범한 G3AM은 정보 공유체계, 교통관리 및 운항통제, 필수항행 성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표준을 개발·유지·관리하고 상호운용성과 호환성을 보장하는 사실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해 국내 전문가들이 주도적으로 설립한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다.

 

G3AM의 창립회원으로는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공사, 파인브티로보틱스, 한화시스템, 한국항공사, 현대자동차,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AAM 관련 핵심 국내 기업 63곳과 AAM 분야 다국적 기업인 Onesky(美), Skyports(英), PadinaGroup(美), ANRA Technologies(美)가 참여했다. 이외에도 Joby Aviation(美), Volocopter(獨) 등의 기업들도 회원가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출범식에서 기조연설에 나선 존스컬 워커 국제표준화기구 무인항공기시스템 의장은 ‘AAM을 지원하기 위한 국제기구의 역할’을 새롭게 제시한다.

 

컨퍼런스에서는 대한항공이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실증 성공 사례를, 한화시스템과 한국항공우주산업이 차세대 전기 추진 수직 이착륙 비행체(eVTOL) 및 미래 항공 기체(AAV)를, 이동통신 3사는 AAM 사업 추진 동향에 대해 발표한다. 아울러 지난해 G3AM의 회원으로 가입한 Skyports는 버티포트 인프라 개발현황을 공유할 예정이다.

 

전영수 과기정통부 국장은 “첨단항공교통 분야는 디지털 기술 표준을 통해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영역”이라며 “G3AM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사실표준화기구로 자리잡아 첨단항공교통 기술 발전과 생태계 조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같은날 도심항공교통(UAM)의 상용화 시점과 성장기를 대비해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의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에 착수한다.

 

해당 사업은 국토부가 주관하고 기상청이 참여해 UAM의 항행·교통 관리기술, 버티포트 운용·지원기술, 안전인증기술 등 3개 전략분야에서 7개의 연구개발과제를 제시했는데 미래 모빌리티인 UAM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새로운 산업생태계 조성과 함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책이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