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SNE리서치가 발표한 2023년 1~11월 중국을 제외하고 판매된 전기차(EV, PHEV, HEV)에 탑재된 총 배터리 총 사용량이 약 282.9GWh로 전년 동기 대비 48.8% 성장한 수치를 보였다. 업계별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순위에서 국내 3사는 모두 Top 5에 들었다. 우선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41.7%(78.5GWh) 성장해 1위를 유지했다. SK On은 13.7%(30.7GWh), 삼성SDI는 39.8%(28.1GWh) 성장률로 각각 4, 5위를 기록했다. 중국의 CATL은 86.5%(78.4GWh)의 연이은 고성장세로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국내 3사의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5.4%p 하락한 48.5%를 기록했지만 배터리 사용량은 성장세를 나타냈다. 국내 3사의 성장세는 각 사의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들의 판매 호조가 주 요인으로 작용했다. 삼성SDI의 배터리를 탑재하는 BMW i4/iX, 아우디 Q8 e-Tron이 판매량 증가세를 나타냈고 그 외 리비안 R1T/R1S, FIAT 500이 준수한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SK On은 현대차의 아이오닉5, 기아 EV6,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2030 미래 비전 가속화를 위한 사업 전략을 소개했다. 특히 △B2B(성장 주도) △Non-HW 사업모델(고수익 사업 구축) △신사업(기업가치 제고)을 중점 추진하며 사업 성장세 확보 자신감을 보였다. LG전자는 10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경영방침의 주요 키워드로 한계 돌파를 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조주완 CEO는 “시장과 공급망 불확실성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나 탈탄소화(Electrification), 서비스화(Servitization), 디지털화(Digitalization) 등의 변곡점 또한 명확해지고 있어 기회와 위기가 공존한다”며 “어려운 상황도 이겨 나가는 성공정신을 기반으로 실질 성과를 만들어 과정을 증명하는 고성과 조직으로의 변화를 통해 한계를 돌파하고 질적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그는 “지난해가 새로운 변화와 도약을 위한 방향 설정을 완료한 해였다면 올해는 본격 가속 페달을 밟아 나가는 해로 만들겠다”며 “2030 미래비전은 단순한 구호가 아닌 약속인 만큼 전 구성원의 힘을 모아 달성해낼 것”이라고 말했다. 2030 미래비전은 홈, 커머셜, 모빌리티,
[더테크=전수연 기자] 삼성전자가 ‘갤럭시 언팩’ 행사 직후 글로벌 주요 도시에서 갤럭시 AI를 활용해 연결(Connection), 창작(Creativity), 놀이(Play) 등 새로워진 일상을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체험 공간을 오픈한다. 삼성전자는 서울, 미국 뉴욕,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독일 베를린, 스페인 바르셀로나, 태국 방콕,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등 전 세계 8개 도시에 갤럭시 익스피리언스 스페이스(Galaxy Experience Space)를 한국시간 기준 18일부터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국내에서는 신세계 센트럴시티와 영등포 타임스퀘어에 체험 공간이 운영된다. 방문객들은 체험 공간에서 곧 출시될 갤럭시 신제품을 확인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갤럭시 AI가 사용자의 일상을 어떻게 혁신하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갤럭시 AI를 활용해 언어의 장벽을 허무는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경험하고 사진·영상 편집 등 일상 생활 속 AI 시나리오를 체험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익스피리언스 스페이스가 모바일 AI시대를 여는 갤럭시의 혁신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첫 번째 공간이 될 것이며 갤럭시 A
[더테크=전수연 기자] 기술, 비즈니스,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한 해 화두를 제시하는 자리이자 여러 기업이 혁신 기술을 선보이는 CES 2024가 현지시간 9일 개막했다. 이번 CES에는 전 세계 4000개 이상의 참관사와 최대 13만명의 참가자, 미디어가 참여해 AI, 지속 가능성, 글로벌 과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분야의 혁신, 파트너십을 발표한다. 혁신 기술이 총 집결하는 자리인 유레카 파크에는 역대 가장 많은 수의 스타트업이 참여한다. CES는 AI, 엔터테인먼트, 오피스 하드웨어, 게이밍, e스포츠 분야가 집중 조명되고 있으며 기업들은 CES를 통해 신규 기술, 여러 기업 간 파트너십, 솔루션을 발표하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고 전했다. CTA(미 소비자기술협회)의 개막일 연설(State of the Industry Address)에서 게리 샤피르 CTA 회장은 CTA의 100주년을 기리며 환경, 식량, 헬스케어, 기술에 대한 접근성 등 인류의 삶을 향상시키는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롤랜드 부시(Roland Busch) 지멘스(Siemens) 회장은 CES 2024 기조연설에 참여해 자사 비전을 공유했다. 그는 AWS, 블렌드허브, 레드불 레이싱, 소니
[더테크=전수연 기자] 롯데정보통신이 고화질 실사 형태의 메타버스 ‘칼리버스’를 정식으로 선보였다. 특히 온라인 대규모 다중 이용자 기반 동시 접속을 지원해 많은 수요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롯데정보통신은 자회사 칼리버스와 함께 CES 2024에서 메타버스 플랫폼 ‘칼리버스’를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칼리버스는 쇼핑, 엔터테인먼트, 커뮤니티 등을 극사실적인 비주얼과 인터렉티브 기술을 접목해 만든 글로벌 수준의 초실감형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3D 아바타의 키, 체형, 눈 크기, 미간, 코 높이 등 개인의 취향에 맞게 섬세한 설정이 가능한 아바타 커스터마이징과 건물에 반사되는 빛 묘사까지 구현됐다. 특히 롯데정보통신은 이번 CES 2024에서 칼리버스에 새롭게 적용되는 UGC(User Generated Content, 사용자가 가상 공간에 자신만의 콘텐츠를 쉽게 생성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를 선보였다. 우선 라이브 메타버스 기술은 실제 인물의 모습을 가상공간에 구현해 사용자들과 실시간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 그래픽 엔진 언리얼엔진5를 사용해 움직이는 인물 그대로를 사실감 있게 표현한다. 라이브 기술은 단 몇 초 내에 현실 속 인물을 가상 공간
[더테크=전수연 기자] 클라우드 기업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에 따르면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 되는 기술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많은 기업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온라인 위협 노출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클라우드플레어는 첫 번째 API 보안 및 관리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오늘날 API는 휴대폰, 스마트워치, 뱅킹 시스템, 쇼핑 사이트 등 모든 디지털 기기 간 통신을 지원하고 있다. 또 이커머스 사이트에서 결제를 수락하고 의료 시스템에서 환자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대중교통에서 실시간 교통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클라우드플레어는 현재 거의 모든 기업이 API를 사용해 더 나은 서비스를 구축, 제공하고 있지만 관리되지 않거나 안전하지 않은 API가 잠재적으로 민감한 정보를 유출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매튜 프린스(Matthew Prince) 클라우드플레어 CEO는 “API는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가 작동하는 방식에 핵심 역할을 하는 만큼 해커들의 새로운 표적이 되고 있다”며 “기업이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고 비즈니스를 보호하려면 모
[더테크=전수연 기자] SNE리서치가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작년 1~11월 동안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는 약 1242.7만대로 전년 대비 약 38.6% 상승했다. SNE리서치는 2023년 1~11월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보고서를 10일 공개했다. 조사 기간 주요 그룹별 전기차 판매 대수를 살펴보면 중국 전기차 선두 기업 BYD는 전년 동기 대비 60.8% 성장률을 기록하며 글로벌 1위 자리를 이어갔다. BYD는 Song, Yuan Plus(Atto3), Dolphin, Qin 등 다양한 라인업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다. 이 중 전년 동기 대비 30.1% 증가한 판매량을 기록한 Song은 BYD의 베스트셀러 모델로 성장세를 견인했다. 테슬라는 160만대 이상을 인도하며 전년 동기 대비 43.8% 성장률을 보였다. 또한 주력 차종인 모델 3/Y의 판매량이 호조를 나타냈으며 모델3의 부분 변경 모델이 유럽을 시작으로 인도되기 시작해 잠시 주춤했던 모델3의 판매량 회복세를 보였다. 3위에 오른 폭스바겐은 ID.3/4/5, 아우디 Q4, Q8 E-Tron, 스코다 ENYAQ 모델을 중심으로 약 99만대를 인도해 33.7%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현대자동차
[더테크=전수연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랜드마크 스피어(Sphere)에서 ‘갤럭시 AI’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대규모 디지털 티징 영상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8일(현지시간) 전자전시회 CES 2024가 열리고 있는 라스베이거스에서 갤럭시 영상을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스피어는 2023년 9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원형 공연장이다. 스피어는 내·외부 모두 고해상도 발광다이오드(LED) 스크린이 설치돼 있으며 높이는 111.6m, 바닥 지름은 157.3m다. 특히 둥근 외벽에 설치된 LED 스크린의 면적은 5만 3884㎡로 축구장 6개에 버금가는 규모다. 공개된 갤럭시 영상은 디즈니플러스에서 스트리밍 중인 <왓 이프...?(What if...?) 시즌2>의 캐릭터 닥터 스트레인지가 등장하며 시그니처 원형 포털 공간을 통해 라스베이거스의 주요 랜드마크 등이 소개된다. 삼성전자는 특히 캐릭터가 무한한 가능성의 포털을 여는 장면이 갤럭시 AI의 새로워진 사용자 경험을 암시했다고 전했다. 영상의 마지막은 “새로운 시대가 갤럭시와 함께 온다(A new era is coming with Galaxy)”는 메시지로 마무리
[더테크=전수연 기자] 글로벌 디지털 인프라 기업 에퀴닉스(Equinix)가 프라이빗 AI 인프라를 제공해 학습된 AI 모델의 이점을 제공한다. 에퀴닉스는 프라이빗 AI 인프라 배포를 위한 기술을 강화하고 해당 기업 지원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에퀴닉스는 기업이 지식을 활용하기 위해 퍼블릭 AI 모델을 점점 더 많이 활용하면서 민감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비공개 환경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 프라이빗 AI 인프라를 배포하면서 비즈니스 데이터가 퍼블릭 도메인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프라이빗 AI는 학습된 AI 모델의 이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리스크로부터 보호해 기업이 AI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에퀴닉스는 기업이 데이터와 가까운 곳에 컴퓨팅 리소스를 배치하고 퍼블릭 클라우드의 기능을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프라이빗 AI를 선택한다고 전했다. 에퀴닉스 AI를 활용하는 기업들 중 콘티넨탈(Continental)은 다국적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이자 자율 주행 분야 기업으로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사업부에서 지능형 센서와 데이터 기반 교통 안전 솔루션 개발을 시작했다. 콘티넨탈은 에퀴닉스를 통해 앤비디아 AI와
[더테크=전수연 기자] 기아가 이동수단의 혁신을 이끌 미래 핵심 사업으로 PBV(목적 기반 모빌리티)를 제시했다. 이는 사람, 사물, 사회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PBV로서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기아는 8일(현지시간) CES 2024에서 ‘준비된 기아가 보여줄 모두를 위한 모빌리티(All Set for Every Inspiration)’를 주제로 미디어 데이를 열었다고 9일 밝혔다. 이날 기아는 PBV사업에 대한 준비된 모습을 통해 사용자가 얻게 될 가치를 핵심으로 하는 ‘지속 가능한 PBV 모빌리티 솔루션의 미래 전략’을 공개했다. 해당 전략은 △전통적인 자동차의 개념을 탈피한 혁신적인 PBV 라인업 출시 △소프트웨어 기반 최첨단 기술 적용 △파트너십 다각화를 통한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이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기아는 2021년 브랜드 리런치 이후 전기차 라인업 구축, 사용자 중심의 모빌리티 미래 제시, 글로벌 비영리 단체 오션 클린업과의 파트너십 같은 다양한 여정을 이어왔다”며 “이제 새로운 도약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PBV를 설정하고 본격 전환을 준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기아가 추구하는 PBV는 기아의 미래 비전인 ‘지
[더테크=전수연 기자] 작년 1~11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EV, PHEV, HEV)에 탑재된 총 배터리 사용량이 약 624.4GWh로 전년 동기 대비 41.8% 성장한 수치를 기록했다. SNE리서치가 2023년 1~11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보고서를 9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3사의 점유율은 23.1%로 전년 동기 대비 1.3%p 하락했지만 배터리 사용량은 3사 모두 성장세를 나타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41.8% 성장해 3위를 기록했으며 SK On은 13.5%, 삼성SDI는 38.4%의 성장률을 기록해 각각 5위와 7위를 기록했다. SNE리서치는 이러한 성장세가 각 사의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들의 판매 호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삼성SDI의 배터리를 탑재하는 BMW i4/i7, 아우디 Q8 e-Tron, 피아트 500e가 유럽에서 판매량 증가세를 나타냈고 북미에서 라비안 R1T/R1S와 BMW iX가 준수한 판매량을 기록해 성장세를 이어갔다.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을 공략한 삼성SDI는 고부가 배터리 PS의 비중 확대로 안정된 수요와 높은 수익성을 통해 최근 전기차 시장의 성장률 둔화 우려에 의한 업황에서 견조한
[더테크=전수연 기자] 삼성전자가 프레스 컨퍼런스를 통해 자사 만의 AI 솔루션과 보안 기술 등을 언급했다. 삼성전자는 CES 2024에 앞서 8일(현지시간) 프레스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모두를 위한 AI: 일상 속 똑똑한 초연결 경험(AI for All: Connectivity in the Ageof AI)를 위한 비전을 공개했다고 9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날 행사에서 △AI 시대에 걸맞은 강력한 보안과 책임의식 △AI 기반의 다양한 신제품 △새로운 차원의 사용자 경험 등 AI로 열어가는 초연결 시대와 지속 가능성을 선도하는 자사 전략을 소개했다. 삼성전자는 AI 시대에 사용자의 보안이 항상 최우선 과제라고 설명하며 초연결 시대에 적합한 통합 보안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10년 전 모바일 보안 플랫폼으로 탄생한 삼성 녹스를 기반으로 더욱 정교해진 삼성 녹스 매트릭스와 삼성 녹스 볼트의 서비스 확대를 언급했다. 삼성 녹스 매트릭스는 상호 모니터링해 문제가 된 장치를 분리하고 다른 기기들의 보안을 유지한다. 또 올해 중 삼성전자 TV, 패밀리 허브 냉장고까지 확대된다. 삼성 녹스 볼트는 갤럭시 A시리즈까지 확대돼 핀코드·비밀번호·패턴과 같은 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