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Tech Point’는 금주의 소식을 톺아보고 정리한 뉴스 큐레이션 콘텐츠 입니다. 한 주를 돌아보며 독자여러분께 한번 더 알려드리고 싶은 소식과 그 외 이슈들을 함께 모아봤습니다. [더테크=조재호기자] 8월 첫 소식은 삼성전자 이야기입니다. 지난주 언팩 행사에 이어 진행된 사전 판매에서도 좋은 반응을 보였습니다. 폴더블 최초로 사전판매량 100만대 이상을 넘겨 전작 이상의 흥행이 예상됩니다. Z4 시리즈는 사전판매량 97만대를 기록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1일 0시부터 2시간가량 진행된 라이브 커머스에서 폴더블 역대 최다 판매 신기록을 세웠다고 밝혔는데요. 이는 지난해 Z4 시리즈의 약 2배 수준이라고 합니다. 이통3사도 Z5 시리즈의 흥행 조짐을 전했습니다. 사전 예약자 중 70%가 플립5를 선택했다고 전했는데, 이는 폴드5 대비 외부 화면이 커지면서 눈에 띄는 개선이 진행된 플립5의 인기를 방증합니다. (관련기사: ‘Z플립5, 커버가 전부 디스플레이네’) 상온·상압 초전도체를 우리나라 연구진이 개발했다는 내용의 논문을 둘러싸고 국내외 파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기관에서 검증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진위 여부를 떠나 가능성 그
‘더테크 View’는 더테크 기자들의 시각이 반영된 칼럼입니다. 각종 테크 이슈, 그리고 취재과정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과 생각들을 '색깔있는 관점'으로 풀어냅니다. [더테크=문용필 기자] 이만하면 국내 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들썩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습니다. 국내 민간 연구소인 퀀텀에너지연구소가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상온 초전도체 ‘LK-99’이야기입니다. 관련 주가가 오르락 내리락 하는가 하면 사실여부를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졌습니다. 만약 퀀텀에너지연구소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그야말로 ‘초대박’입니다. 인류가 초전도체의 개념을 발견한 지 100년이 넘었고 실제로 일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이는 인간의 상상을 뛰어넘는 초저온에서만 가능합니다. 즉, 상온에서 쓸 수 있는 초전도체는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다는 이야기죠. 그런데 이런 상식을 뒤집은 결과물이 국내에서 나왔다고 하니 언론과 주가가 들썩이는 것도 당연합니다. 다만 샘플분석을 통한 완벽한 검증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국내외에서 잇따라 검증에 나서거나 혹은 검증을 예고하고 있는데요. 보다 빠르게 진위여부가 가려져야 될 사안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퀀텀에너지연구소를 두고도 여러 가지
[더테크=문용필 기자] 이쯤 되면 ‘무서운 기세’라는 말이 전혀 부적절하지 않아 보인다. 전기차 산업의 호조 속에 약진하는 ‘전기차 배터리’ 이야기다. 올 상반기 글로벌 배터리 사용량이 전년 동기 대비 50%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의 3일 발표에 따르면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PHEV, HEV 포함) 배터리 총 사용량은 304.3GWh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사용량 약 203GWh에 비해 50.1% 늘어난 수치다. (관련기사: 1~5월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 주요 업체별로 살펴보면 중국업체들의 강세 속에 ‘K-배터리 3사’가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우선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은 같은기간 29.3GWh에서 44.1GWh로 50.3% 성장했다. 시장 점유율은 14.5%로 3위였다. 앞서 LG엔솔은 지난달 올해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상반기 매출이 17조5206억원, 영업이익이 1조938억원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전년 동기에 비해 각각 86.1%, 140.7% 늘어난 수치다. 미국 중심의 글로벌 전기차 수요 성장의 본격화와 함께 차별화된 사업 경쟁력
[더테크=조재호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반도체의 전설' 짐 켈러의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에 나섰다.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 필요한 고성능 반도체를 확보하기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현대차그룹은 AI 반도체 스타트업 텐스토렌트(Tenstorrent)에 5000만달러(642억원)를 투자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텐스토렌트가 모집한 투자금 총액의 50%에 해당하는 액수로 현대차가 3000만달러(385억원), 기아가 2000만달러(257억원)를 투자했다. 이번 투자는 현대차그룹이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 최적화된 반도체 역량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들어 반도체개발실을 신설하고 외부 업체와 전략적 협업을 통해 반도체 역량을 강화했다. 반도체 설계(팹리스) 스타트업인 텐스토렌트는 2016년 설립 이후 자체 개발한 AI 관련 지적재산권(IP)을 다수 보유했다. 이번 투자금은 중앙처리장치(CPU)와 신경망처리장치(NPU, AI용 반도체) 설계 능력을 활용해 미래 모빌리티에 쓰일 맞춤형 반도체를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자율주행 기술 구현에 NPU 기반 AI 반도체는 필수적이다. 도로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상황을 자동차가 스스로 해석하고 판단해야
[더테크=문용필 기자] 소프트뱅크의 글로벌 팹리스 기업 Arm이 뉴욕증시 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600억 달러에서 700억 달러 사이의 가치로 기업공개(IPO)를 목표하고 있다는 소식이 나왔다. 팹리스 업계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기업답게 테크 산업의 ‘기록에 남을 만한’ IPO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블룸버그는 2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Arm이 오는 9월 첫째주에 IPO관련 로드쇼를 시작하고 그 다음주 IPO 가격이 책정될 예정이라며 이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아울러 “Arm의 평가 목표는 생성형 AI와 칩 관련 기술에 유리해진 시장 분위기의 변화를 강조한다”고 분석했다. 다만 블룸버그는 “Arm의 경영진은 여전히 800억 달러에 달하는 가치 평가를 노리고 있을지 모르지만 그러한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은 불확실하다고 한 소식통은 말했다”고 보도했다. 목표금액이 경영진의 목표에 이르지 못하더라도 Arm의 IPO는 올해는 물론, 지난 2014년 이후 테크 관련 기업으로는 최대의 규모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블룸버그는 Arm이 IPO를 통해 100억 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조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참고로 메타(당시 페이스북은)가 2012
‘더테크 View’는 더테크 기자들의 시각이 반영된 칼럼입니다. 각종 테크 이슈, 그리고 취재과정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과 생각들을 '색깔있는 관점'으로 풀어냅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액티비전 블리자드(이하 ABK) 인수에 마지막 한 걸음만을 남겨뒀다. 687억달러(88조)에 달하는 세기의 M&A(인수합병)가 조만간 마무리될 예정이다. MS는 왜 천문학적인 금액과 지루한 협상 기간을 소비하며 ABK을 인수하려는 것일까? 콘텐츠 역량 강화라는 이유만으로 물음표를 지우기엔 다소 부족해 보인다. 지난 31일(현지시각) MS는 영국 시장경쟁국(CMA)에 액티비전 인수 승인을 위한 보고서를 제출했다. 앞선 12일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이번 인수에 대한 소송을 중단하면서 인수를 막는 규제 기관은 CMA만이 남았다. 그러나 FTC 소송 중단 이후 MS는 합의를 제안했고 CMA가 수락하면서 인수 가능성이 한층 더 높아진 상황이다. ABK 인수 과정에서 대부분의 이슈는 ‘A’ 액티비전의 간판 타이틀인 ‘콜 오브 듀티’라는 게임에 집중됐다. 하지만 MS가 이번 인수를 진행하는 목적에는 콘솔 시장 외에도 ‘모바일 강화’,
‘주간 Tech Point’는 금주의 소식을 톺아보고 정리한 뉴스 큐레이션 콘텐츠 입니다. 한 주를 돌아보며 독자여러분께 한번 더 알려드리고 싶은 소식과 그 외 이슈들을 함께 모아봤습니다. [더테크=조재호 기자] 7월 넷째 주의 주인공은 삼성전자입니다. 사상 처음으로 서울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행사에 국내외 이목이 쏠렸기 때문입니다. 다소 아쉬운 성적이지만 삼성전자의 2분기 실적발표도 IT업계 주요 이슈 중 하나로 꼽힙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26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갤럭시 언팩2023'을 진행했습니다. Z플립5와 Z폴드5, 갤럭시탭 S9와 갤럭시 워치 시리즈가 이날 행사를 통해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신규 폴더블 폰의 경우, ‘플렉스 힌지’를 적용해 완전히 접히는 구조로 설계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인데요. 특히 '플렉스 윈도우'로 달라진 커버 디스플레이를 선보인 Z플립5에 관심이 모아졌습니다. 삼성전자의 2분기 매출은 60조원(22%↓), 영업이익은 6700억원(95%↓)을 기록했습니다. 2009년 이후 두 번째로 저조한 실적입니다. 하지만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를 유지하면서 향후 반등을 대비하려는 움직임을 보입니다. 언팩 이후 28일 진행된
‘리뷰T’는 더테크의 기자가 다양한 테크 서비스와 기기, 마케팅 현장 등을 직접 체험하는 콘텐츠입니다. 'T'는 더테크와 이야기(Talk)를 동시에 의미합니다. 딱딱한 기사형식에서 다소 벗어나 편안하고 톡톡 튀는 문체로 독자분들에게 편안하게 다가가겠습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기자는 '갤럭시 폰'을 단 한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다. 그동안 쭉 '아이폰 유저'로만 살아왔다. 특별한 이유는 없었다. 애플의 팬이어서도 아니다. 굳이 말하자면 갤럭시 폰만의 뚜렷한 장점을 느끼지 못했던 것 정도다. 그런데 몇해 전 '접히는 폰', 즉 폴더블 스마트폰이 출시되면서 조금씩 생각이 움직였다. 과거 피처폰 시절 폴더폰의 기억을 갖고있는지라 자연스럽게 관심이 갈 수 밖에 없었다. 새로운 폴더블이 시장에 등장할 때마다 흥미롭게 관련 기사들을 읽곤했다. 다만 실구매로 이어지지 않았을 뿐. 사실 원래 폰을 자주 바꾸는 소비자 타입도 아니다. 그런데 지난 26일 삼성전자가 최초로 서울에서 '갤럭시 언팩' 행사를 개최했다. 선배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지만 개인적인 호기심에 온라인으로 행사를 시청했다. 아이브의 장원영이 미국배우 시드니 스위니와 Z플립5로 셀피를 찍는 장면이
[더테크=문용필 기자] LG전자가 또다시 역대급 실적을 달성했다. 2분기 최대 매출 기록이다. B2B 비즈니스의 호조가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LG전자가 27일 발표한 올 2분기 실적에 따르면 매출액은 19조9984억원(연결기준), 영업이익은 8927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회복 지연 및 경쟁 심화에도 불구하고 전장과 냉난방공조 등 B2B 비중이 지속확대됐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관련기사: 또다시 ‘역대급’…LG전자, 2분기 최고 매출액 달성) 영업이익은 연초 진행된 인적 구조 선순환 관련 비경상 요인과 GM ‘쉐보레 볼트 EV’ 리콜 재료비 상승분 등 일회성 비용 영향으로 인해 전년 동기대비 6.2% 감소했다. 이와 관련, LG전자는 플랫폼 기반 사업 성정과 전사 워룸 태스크를 앞세운 체질 개선 노력을 통해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했다고 전했다. 사업본부별로 살펴보면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의 경우 매출 7조9855억원과 영업이익 6001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0% 가까이 늘었다. HE(Home Entertainment)는 3조1467억원의 매
[더테크=문용필 기자] ‘K-배터리’ 3사 중 하나로 꼽히는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이 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기록하고도 전분기 대비 떨어진 영업이익을 기록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관련기사: LG엔솔, 2분기 영업이익 212%↑ 매출액 분기 최대) LG엔솔은 27일 실적설명회를 통해 올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8조7735억원, 영업이익은 4606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5조 706억원) 대비 73% 증가한 수치. 전분기(8조7471억원) 대비로도 소폭(0.3%) 증가했다. 이는 분기 기준 매출 최대치라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LG엔솔은 지난해 1월 유가 증권시장에 상장된 이후 6분기 연속 매출 상승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성장세가 계속되고 있음이 방증되는 대목이다. 반면, 영업이익은 전기(6332억원) 대비 27.3% 줄어들었다. 이달 초 발표한 잠정실적(6116억원)에 비해 1510억원 감소한 수치다. 이에 대해 LG엔솔은 “미국 IRA 세액공제 금액 1109억원이 반영된 수치”라고 밝혔다. “고객사와 합의에 따라 GM리콜 과정에서 발생한 재료비 원가상승분 1510억원을 일회성 충당금으로 추가 반영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 이
[더테크=조재호 기자] 삼성전자의 올해 2분기 실적이 나왔다. 전년 상반기 대비 90%이상 감소한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반도체 적자를 상쇄한 모바일 사업도 실적 개선의 어려움을 겪었다. 다만 하반기 IT 수요가 살아나면서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 기조도 이어갔다. 삼성전자가 27일 발표한 2분기 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60조100억원, 영업이익은 670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DS(Device Solutions, 반도체)부문의 매출 회복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출하 감소 등으로 직전 분기 대비 6% 감소했다. 작년 동기 대비 22.3% 떨어진 수치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5.3% 줄어든 6700억원을 기록했다. DS부문의 적자폭 감소와 함께 디스플레이와 TV, 생활가전의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직전 분기(6000억원)보다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9년 1분기(5900억원) 이후 두 번째로 저조한 실적이다. 매출과 영업이익만 보면 최악은 면한 상황으로 분석된다. 지난 7일 발표된 잠정실적에 비해 영업이익은 소폭 증가했다. (관련기사: 2분기 잠정실적 발표한 삼성전자, 반등 요소는?) 삼성전자는 연구개발비
[더테크=문용필 기자] SK하이닉스가 올 2분기 7조원 대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주요 메모리 기업들의 감산 정책 등으로 반도체 빙하기에 점점 온풍이 불어온다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더 나은 실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K하이닉스는 26일 실적발표회를 열어 2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매출액은 7조3059억원이었는데 전년 동기 대비(13조8110억원)로는 47% 줄었지만, 1분기(5조881억원)보다는 호조를 보였다. 영업손실은 2조8821억원으로 39%의 손실률을 보였으며 순손실은 2조9879억원(순손실률 41%)이었다. 이와 관련, 회사 측은 “챗GPT를 중심으로 한 생성형AI 시장이 확대되면서 AI서버용 메모리 수요가 급증했다”며 “이에 따라 HBM3와 DDR5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가 늘어나, 2분기 매출은 1분기 대비 44% 커지고, 영업손실은 15% 감소했다”고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올 2분기에 D램과 낸드 판매량이 모두 늘었다. 특히 D램의 경우 평균판매가격이 전분기 대비 상승해 매출 증가로 이어졌다. PC와 스마트폰 시장이 약세를 이어가 DDR4 등 일반 D램 가격은 하락세였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