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AI 신약개발 기업 신테카바이오가 자사 클라우드 기반의 AI 신약개발 플랫폼 서비스 ‘STB CLOUD’를 미국 시장에 정식 론칭했다고 16일 밝혔다. STB CLOUD는 최초의 클라우드 기반 AI 신약개발 서비스로, 자사의 AI 신약개발 플랫폼을 클라우드상에서 별도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없이도 타깃만 정하면 솔루션을 제공한다. 신약 후보물질 발굴 프로세스를 표준화, 단순화, 자동화해 언제 어디서든 원클릭으로 후보물질 발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신테카바이는 STB CLOUD를 통해 신약개발 프로세스 패러다임의 변화를 목표로 미국 및 글로벌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신테카바이오가 STB CLOUD를 통해 미국 시장에 처음으로 선보이는 서비스는 AI 신약 플랫폼 ‘딥매처(DeepMatcher)’로 합성신약 유효물질(Hit) 후보를 발굴해 주는 ‘딥매처-Hit’를 우선적으로 선보인다. 향후 선도물질 최적화(Lead optimization) 등 자사가 보유 중인 플랫폼을 추가로 탑재해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신테카바이오는 클라우드 론칭을 준비하며 실시한 딥매처-Hit(DeepMatcher-Hit) 플랫폼 성능 평가에서 유의
[더테크 뉴스] 줄기세포 전문기업 메디포스트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구로 GMP공장 내 제3 생산시설이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업 허가를 획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에 허가 받은 제3 생산시설은 CDMO 전용 시설이다. 2020년부터 시행된 ‘첨단 재생의료 및 첨단 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세포치료제와 유전자 치료제 등을 제조하는 기업은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업 허가를 취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메디포스트는 모든 제조소에서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업 허가를 완료했으며, 인체세포 등 관리업 허가를 포함한 국내 GMP 규제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하게 됐다. 이번 허가를 위해 메디포스트는 제조시설 및 기기, 설비와 원료, 자재관리를 위한 독립된 작업소를 확보했으며, 시험에 필요한 장비와 기구, 원료, 자재 및 첨단바이오의약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보관시설과 인력, 운영 시스템 등 충족해야 하는 필수요건을 모두 갖췄다. 이에 따라 메디포스트는 본격적으로 CDMO 사업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메디포스트 홍보 담당자는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업 허가를 통해 허가된 시설에서 품질과 안전성이 입증된 줄기세포 등 첨단바이오의약품 원료 세포 및 완제의약품을
[더테크 뉴스] 이연제약이 코넥스트와의 업무협력을 통해 CDMO 사업 강화에 나선다. 이연제약은 코넥스트와 바이오의약품 CDMO 사업을 위한 포괄적 MOU 업무협력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양사는 재조합단백질 생산시스템을 기반으로, 미생물 발효 기반 CDMO 사업 협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바이오의약품 CDMO 사업 운영에 대한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인 사업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재조합단백질을 활용한 공정개발, 분석법 및 제형개발 등은 코넥스트가 담당하며, GMP 생산은 이연제약에서 진행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제약사 및 바이오 벤처를 고객으로 유치하고 양사의 프로젝트를 연계해 CDMO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코넥스트는 재조합 작용제와 재조합 콜라겐분해효소 두 가지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바이오 신약을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텍이며, 현재까지 128억원의 VC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코넥스트가 보유한 고순도 재조합단백질 제조기술과 파일럿 제조시설을 통해 임상시험용의약품의 공정개발, 스케일업 및 GMP 공정 이전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연제약
[더테크 뉴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ESG 대표 평가 지표인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월드 지수에 2년 연속 편입됐다고 12일 밝혔다. 생명과학 서비스 산업 분야에서는 전체 2위에 달하는 점수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월드 지수는 글로벌 상장기업 중 유동시가총액 상위 기업 2500여 곳을 대상으로 경제적 성과와 함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위 10% 기업을 선정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평가기관 요구사항을 기반한 공시 전략 수립과 ESG 경영활동을 반영한 보고서 발간 및 취약 부문 개선 등을 통해 ESG 역량을 전사적으로 강화했다. 특히 환경 부문에서는 환경 및 안전보건 정책 개정과 환경데이터의 체계적 관리, 사회 부문에서는 인권정책 개정과 공급업체 리스크 완화,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이사회 구성 고도화와 잠재리스크 선제적 관리 부분이 높게 평가 받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외에도 지속가능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각 부문별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먼저 환경부문에서는 바이오 제약 업계 최고 수준을 목표로 글로벌 표준 에너지경영시스템(ISO 50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ISO 45001)을 도입했다. 사업장 내에서는 LED
[더테크 뉴스]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스핀융합연구단 이현정 책임연구원과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곽노균 교수 연구팀이 감각뉴런의 효율적인 정보처리 방식을 모사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파격적으로 향상시키고, 24시간 이상 작동 가능한 웨어러블 땀 센서 패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인간의 감각 뉴런은 외부자극을 받으면 이를 스파이크(spike) 형태로 변환해 정보를 주고받는다. 외부자극의 세기가 강할수록 빠른 주파수의 스파이크 신호가 만들어진다. 뉴런의 이러한 이벤트 기반 스파이크 신호 처리방식은 복잡하고 방대한 외부 자극 데이터를 효율적이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인간의 감각 뉴런처럼 사용자의 건강지표와 관련하여 중요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기반 무선 모니터링 방식을 적용한다면 무선 모니터링의 에너지 소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연구팀은 감각 뉴런의 스파이크 신호 기반 무선 웨어러블 땀 센서 패치를 개발하고 이벤트 기반 무선 모니터링을 통해 크게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기능을 임상시험을 통해 시연했다. 땀 센서는 원뿔 형태의 개방형 수직 땀 채널 상단에 땀 제거 층이 결합되어 채널에 차오르는 땀을 순간적으로
[더테크 뉴스] 종합 미생물 진단 기업 퀀타매트릭스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 이어 은평성모병원에서도 신속 항균제 감수성 검사기기 dRAST 도입이 결정됐다고 6일 밝혔다. 서울성모병원 내에서 dRAST의 임상효용을 인정받은 결과다.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은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부속병원으로써 808병상을 갖춘 지상 17층, 지하 7층 규모의 본관과 연구 중심의 8층 규모의 별관으로 구성돼 있다. 심장혈관병원, 혈액병원, 뇌신경센터, 암센터 등 14개의 전문 센터와 39개의 진료과가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협진 시스템을 바탕으로 중증응급환자를 위한 패스트 케어 시스템 (Fast Care System)과 당일 예약, 진료, 검사가 가능한 원스탑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은 dRAST 도입이 결정된 만큼 빠른 시간 내에 진료코드를 오픈해 신속한 진단을 통한 빠르고 정확한 처방을 요하는 중증 패혈증 환자에게 dRAST 검사를 적용하겠다는 방침이다. 퀀타매트릭스의 dRAST는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패혈증 환자의 진단과 치료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기존 검사 대비 2~3일 빠르게 최적 항균제를 도출할 수 있는
[더테크 뉴스] 제이앤피메디는 개발과 글로벌 분야에 걸쳐 두 자릿수 규모의 신입‧경력사원을 모집한다고 6일 밝혔다. 제이앤피메디는 이번 채용을 통해 자사의 핵심 서비스인 임상 데이터 솔루션을 더욱 고도화하고 기업 가치를 향상시켜 글로벌 유니콘으로 성장해 나가겠다는 포부다. 채용 분야는 개발본부(CXD)와 사업본부(GBP)에서 총 12개 직무 담당자를 모집한다. 먼저, 개발본부에서는 ▲프론트엔드 ▲백엔드 ▲풀스택 ▲프로덕트오너 ▲UX/UI 디자이너를 모집한다. 사업본부 직군은 ▲사업개발 ▲세일즈 ▲전략 ▲마케팅/PR ▲품질보증 ▲재무 부문에서 신입·경력사원을 채용한다. 제이앤피메디에는 분산형 임상시험 플랫폼 ‘메이븐 DCT 스위트(Maven DCT Suite)’, 임상시험 문서관리 솔루션 ‘메이븐 독스(Maven Docs)’ 등 차세대 임상 업계를 이끌어갈 솔루션을 개발한 기업으로, 내년 본격적인 사업 확대를 앞두고 인재 확보에 나서게 됐다. 채용절차는 서류전형, 실무면접, 임원면접 순으로 진행되며, 개발관련 직군은 실무면접 전 별도의 코딩테스트 과정이 추가된다. 정권호 제이앤피메디 대표는 “디지털 임상시험 시장은 이제 시작 단계로 기술 고도화는 물론 시장 혁
[더테크 뉴스] 한국인에 특화된 ‘제2형 당뇨’ 발병 예측을 위한 기계학습 모델이 개발됐다. UNIST 산업공학과 이정혜 교수팀과 고신대학교복음병원 가정의학과 강지훈 교수팀은 대규모 한국인 코호트(cohort)를 바탕으로 제2형 당뇨 발병 예측 성능을 높인 기계학습 모델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한국인에 특화된 다유전자 위험 점수(Genome-wide Polygenic Risk Score, gPRS)를 개발하고, 여기에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임상 정보, 대사체 정보를 함께 활용했다. 당뇨는 30세 이상의 한국인 6명 중 1명이 앓을 정도로 흔한 질병이다. 뇌졸중이나 심혈관계 질환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는 위험한 만성질환이라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 당뇨 발병에는 식생활을 포함한 생활 습관, 유전적 조건 등이 중요하며, 이런 정보를 토대로 한 예측 모델 연구가 꾸준히 진행 중이다. 기존의 당뇨 발병 위험예측 모델 연구는 주로 서양인 집단을 대상으로 했다. 동양인을 대상으로 해도 키와 몸무게, 가족력 같은 인구통계학적 정보나 당화혈색소(HbA1c) 수치, 콜레스테롤 수치와 같은 임상 정보를 위주로 이용했다. 이렇다 보니 한국인에 특화된 유전적‧환경적 요인까지 반영한 당뇨
[더테크 뉴스] 대웅제약의 당뇨병 신약 ‘엔블로정'이 국내 허가를 취득했다 대웅제약이 개발한 저해제 기전의 당뇨병 신약 ‘엔블로정 0.3밀리그램’이 11월 30일 SGLT2(sodium glucose cotransporter 2,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 2) 식약처 품목허가를 취득했다. 적응증은 △단독요법 △메트포르민 병용요법 △메트포르민과 제미글립틴 병용요법 총 세 건이다고 1일 밝혔다. 약 93조원에 달하는 전 세계 제2형 당뇨병 시장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는 SGLT2 저해제 계열 당뇨병 치료제는 2021년 기준 글로벌 약 27조원, 국내 약 1500억원의 시장 규모를 형성했다. 그간 다국적 제약사 위주로 개발 및 허가가 진행됐던 SGLT2 저해제 계열 영역에서 대웅제약은 이번 엔블로정 품목허가 획득을 통해 국내 최초로 해당 계열 당뇨병 신약 개발에 성공한 회사가 됐다. 대웅제약은 엔블로정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도전한다. 국내 시장 출시를 위해 대웅제약은 즉시 엔블로정의 급여 및 약가 관련 절차를 진행해 단독요법, 메트포르민 병용요법, 메트포르민과 제미글립틴 병용요법 모두 2023년 상반기에 급여 등재 한다는 계획이다. 동시에 엔블로정의 글
[더테크 뉴스]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개발명: CT-P13 SC)가 글로벌 시장에서 빠른 속도로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다. 글로벌 특허권 확보 노력이 일부 국가에서 특허 등록 완료 등 가시적 성과를 나타내면서 신약 지위가 한층 강화되고 안정적인 매출 보호 기반도 마련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램시마SC가 세계 최초의 인플릭시맙(Infliximab) 피하주사(SC) 제형인 점을 감안해 지난 2018년부터 선제적으로 미국과 유럽, 아시아 등 주요 국가에 램시마SC의 제형과 투여법에 대해 특허를 출원해 왔다. 램시마SC 제형 특허는 한국, 호주, 대만 등의 국가에 등록돼 특허권을 획득했으며, 이들 국가에선 판매 허가까지 획득해 안정된 시장 진입을 위한 여건이 이미 확보된 상태다. 셀트리온이 출원한 특허는 램시마SC 뿐 아니라, 인플릭시맙 피하주사 바이오시밀러의 시장 진입을 방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벽 특허로, 제품 보호를 위한 선제적 방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셀트리온은 특허가 등록될 경우, 특허 만료시점까지 램시마SC의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면서 안정적 수익 창출을 위한 토대가 만들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셀트리온은 가시적 성과
[더테크 뉴스] 마이크로바라이프사이언스리미티드가 의료 진단 공급업계를 선도하는 소닉 헬스케어 리미티드에 지분 19.99%를 1780만달러에 매각하기로 합의했다고 30일 밝혔다. 소닉은 이번 투자 외에 주주단 승인을 거쳐 지분 5%를 추가 매입하는 옵션을 검토하기로 했다. 추가 지분 매입 옵션이 실행되면 마이크로바는 소닉으로부터 750만달러의 추가 투자를 받게 된다. 마이크로바와 소닉은 마이크로바의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기술을 호주, 뉴질랜드, 독일, 영국, 벨기에, 스위스, 미국에 제공하기 위한 전략적 동맹을 맺는다는 내용의 의무 합의도 체결했다. 마이크로바 최고 경영자 루크 레이드(Luke Reid) 박사는 “세계 의료계를 선도하는 소닉을 전략적 주주이자 파트너로 맞아 기쁘다”며 “소닉은 믿을 수 있는 의료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에서 인정받는 기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파트너십은 전 세계 의사와 환자에게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및 치료를 제공해 표준치료(SoC)를 제고하는 데 대한 두 회사의 관심과 맞아떨어진다”고 말했다. 레이드 최고경영자는 “이번 전략적 파트너십은 1차·전문 진료소와 일상적인 환자 관리에 마이크로바이옴 검사를 도입하는 속도를 앞당
[더테크 뉴스]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가 자사 ADC플랫폼 기술이전 파트너사인 소티오 바이오텍(SOTIO Biotech, 이하 소티오)이 5개 타깃에 대한 독점권리 중 첫 번째 타깃(비공개, 프로그램명 ‘SOT106’) ADC에 대한 옵션을 행사했고 현재 해당 프로그램이 다양한 고형암을 대상으로 전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라고 30일 밝혔다. 소티오는 2021년 11월 레고켐바이오의 ADC링커/톡신 플랫폼을 활용해 최대 5개 타깃을 대상으로 한 ADC치료제의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확보했으며 이번 첫 번째 옵션 행사에 따라 발생하는 마일스톤(비공개)을 레고켐바이오에 지급하게 된다. 소티오의 대표이사 라덱 스피섹(Radek Spisek, M.D., Ph.D.)은 “당사 ADC 분야 리드프로그램 CLAUDIO-01(CLDN18.2-ADC)을 임상1상 용량증대시험 단계로 진입시킨 데 이어, 이번에는 SOT106에 대한 옵션행사를 통해 추가 프로그램을 확보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또한 “ADC는 현재 항암제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치료제 중 하나며 가장 치료가 어려운 고형암종들에 대한 치료제로서의 높은 잠재력을 갖고 있는 SOT106의 전임상시험을 통해 우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