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소셜 앱 시장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갔다. 전 세계 앱 수익 순위를 살펴보면 ‘틱톡’의 성과가 단연 압도적이며 한국은 유튜브의 강세가 계속됐다. 모바일 시장 분석 기업 센서타워가 28일 전 세계 소셜 앱 추세를 살펴볼 수 있는 ‘소셜 앱 시장 인사이트’ 리포트를 발표했다. 소셜 앱의 수익은 다운로드 둔화에도 불구하고 증가세를 보였다. 2024년 1분기 수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증가한 45억달러(6.2조원)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2023년 2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수익도 전년 대비 20% 증가해 170억달러(23.5조원)에 육박했다. 라이브 스트리밍 후원의 강력한 수익 창출 능력에 힘입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틱톡’의 인앱구매는 지난해 대비 26% 증가한 20억달러(2.7조원)를 돌파했다. 이는 소셜 앱 수익 1위의 기록이다. 성장률 부문에선 230% 상승세를 보인 ‘인스타그램’이었다. 전세계 및 주요 국가의 소셜 앱 수익 순위에서 ‘틱톡’의 성과가 눈에 띈다. 글로벌, 미국, 유럽, 중국, 동남아에서 수익 1위를 차지했다. 한국, 일본, 중남미에서도 상위권을 차지했다. 한국 소셜 앱 시장에서 틱톡은 수익 3
주간 'Tech Point’는 금주의 소식을 톺아보고 정리한 뉴스 큐레이션 콘텐츠입니다. 한 주를 돌아보며 독자 여러분께 한 번 더 알려드리고 싶은 소식과 그 외 이슈들을 함께 모아봤습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5월 3주차 ‘주간 Tech Point’는 오픈AI의 신규 AI 모델 소식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오픈AI는 13일(현지시간) 온라인으로 ‘스프링 업데이트’ 행사를 진행하고 최신 AI 모델 ‘GPT-4o’를 공개했습니다. GPT-4o의 o는 모든 것을 뜻하는 라틴어 접두사 Omni(옴니)를 의미합니다. GPT-4o는 텍스트 기반의 대화 방식에서 한 단계 진화해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대화할 수 있으며 텍스트, 시각, 청각 데이터를 종합해 분석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 텍스트로 파악하기 힘든 사용자의 말투, 억양을 인지하거나 수학 문제를 보고 풀이하는 등의 기능도 탑재했습니다. 이날 시연에서는 스마트폰으로 “발표에 앞서 긴장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질문에 “깊이 심호흡을 하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또 개발자가 숨을 몰아쉬자 GPT-4o는 “그런 방식으로 숨을 쉬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추가 답변을 제시했습니다. GP
[더테크=이지영 기자] 인스타그램이 유튜브와 카카오톡에 이어 한국인이 오래 사용한 스마트폰 앱 3위를 차지했다. 기존 3위였던 네이버 앱을 제쳤다. 앱/리테일 데이터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이하 와이즈앱)은 14일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하는 앱’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4월 기준 한국인이 가장 오래 사용한 앱은 ‘유튜브’로 1021억분으로 조사됐다. 2위는 카카오톡으로 325억분, 3위 인스타그램 209억분이었다. 그 뒤로 네이버 200억분, 틱톡 60억분, 네이버웹툰 49억분, 캐시워크 46억분, 티맵 43억분, 넷플릭스 41억분으로 집계됐다. 인스타그램은 와이즈앱이 모바일 앱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6년 3월 이후 처음으로 네이버를 제쳤다. 지난해 4월을 기준으로 네이버 227억분, 인스타그램 150억분에서 격차를 좁힌 인스타그램이 3위에 오른 것이다. 이는 한국에서 숏폼 콘텐츠 및 SNS 사용 시간이 지속해서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인스타그램은 메타에서 운영하는 이미지 중심의 SNS 서비스로 지난 2021년부터 숏폼 콘텐츠 위주의 ‘릴스’ 출시를 기점으로 젊은 세대에서 인기를 끌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와이즈앱이 한국인 안드로이드와
주간 'Tech Point’는 금주의 소식을 톺아보고 정리한 뉴스 큐레이션 콘텐츠입니다. 한 주를 돌아보며 독자 여러분께 한 번 더 알려드리고 싶은 소식과 그 외 이슈들을 함께 모아봤습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2월 2주차 ‘주간 Tech Point’는 이동통신 3사의 실적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SK텔레콤(이하 SKT)은 2023년 연간 실적으로 매출 17조6085억원, 영업이익 1조753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순이익은 1조1459억원으로 지난해부터 추진한 AI 피라미드 전략 하에 △AI인프라 △AIX △AI 서비스 3대 사업영역이 고르게 성장했습니다. SKT는 AI 데이터센터, AI 엔터프라이즈, AI 반도체가 시장 수요와 함께 매출을 확대해 AI 사업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또 지난해 출시한 AI 개인비서(에이닷)는 올해 킬러 서비스를 지속 추가해 AI 에이전트 시장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LG유플러스(이하 유플러스)는 2023년 연간 매출 14조3726억원, 서비스매출 11조6364억원, 영업이익 998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5G 보급률, 해지율 등 사업 질적 성과와 MVNO 양적 확대에 힘입은 모바일 성장, B2B 신사업이 포함
[더테크=전수연 기자] 글로벌 데이터 분석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가 전 세계 비게임 모바일 앱의 수익, 다운로드 추세, 엔터테인먼트, AI, 이커머스 등의 전망을 공개했다. 이를 통해 2023년에 이어 올해도 숏폼 콘텐츠와 AI 관련 앱의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센서타워는 카테고리별 앱 순위, 시장별 성과, 디지털 광고 지출 트렌드 등을 포함한 2024년 전 세계 모바일 앱(비게임) 시장 전망 리포트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우선 2023년 전 세계 비게임 모바일 앱 다운로드 수는 850억 건으로 2022년 다운로드 수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2024년에는 전 세계 비게임 모바일 앱 다운로드 수가 875억 건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2028년까지 약 4.3%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1050억 건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운로드 수는 비슷한 수치지만 전 세계 비게임 모바일 앱의 인앱 구매 수익은 지속 성장했다. 2023년에는 전년 대비 15.2% 상승한 531억 달러를 기록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2024년 전 세계 비게임 모바일 앱의 인앱 구매 수익은 여전히 15%가 넘는 성장세를 보이며 612억 달러에 육박할 것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