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 열병합발전으로 탄소저감 시스템 구축

울산CLX 산업용 보일러 활용 가스엔진 열병합발전시스템 가동
탄소배출량 연간 4만8000톤 감축, 운용비용 191억 비용 절감 효과

 

[더테크=조재호 기자] SK에너지가 에너지 효율이 높은 가스엔진 열병합발전시스템을 만들어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운용비용까지 줄이고 있다.

 

SK에너지는 4년 전 가동을 중단한 SK 울산Complex(이하 울산CLX) 동력보일러에 가스엔진 열병합발전시스템을 새롭게 설치해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고 13일 밝혔다. 이를 통해 연간 4만8000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보일러 운영 효율화로 191억원의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거둘 전망이다.

 

SK에너지가 지난 2019년 설계한 가스엔진 열병합발전시스템은 가스엔진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해 동력보일러에 원료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그동안 기술 검토와 시운전을 거쳐 최근 효과 검증을 마쳤다. 아울러 울산CXL 가운데 전기 수요가 많은 공정 주변에 가스엔진 발전기와 가은 분산형 발전기를 설치하면 안정적인 전기 공급과 함께 자가 발전량이 많아져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동력보일러는 울산CLX 전체 공정 가동에 필요한 핵심 설비다. 현재 10기의 동력보일러가 있는데 이 중에서 B101 보일러는 지난 1971년 운영을 시작해 노후화로 효율성이 낮아져 2020년 가동을 멈췄다. SK에너지는 해당 보일러의 효율을 높여 재가동하는 방안을 찾다가 가스엔진 발전기의 배기가스 열을 활용한 열병합발전시스템을 고안하게 됐다.

 

울산CLX는 가스엔진 발전기 신설을 통한 자가발전 비중 증대, 보일러 효율 개선 및 온휴 보일러 가치 제고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향후 SK에너지는 울산CLX 내 나머지 동력보일러에 대한 확대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김종화 SK에너지 울산CLX총괄은 “SK에너지는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스엔진 열병합발전시스템을 통해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면서 공정 효율을 높이고 동력비를 절감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공정 효율화를 통해 SK이노베이션 계열 탄소 감축과 자산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