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조재호 기자] 한화오션이 차세대 친환경 선박인 대형 액화 이산화탄소 운반선의 상용화에 성큼 다가섰다. 한화오션은 그리스에서 진행 중인 ‘포시도니아 2024’에서 4만㎥급 대형 액화 이산화탄소 운반선(이하 LCO₂ 운반선)에 대한 기본승인을 ABS로부터 획득했다. 미국 선급인 ABS(American Bureau of Shipping)는 세계 4대 선급 중 하나다. 지난해부터 한화오션은 ABS를 비롯해 그리스의 에코로그, 스코틀랜드의 밥콕LGE와 함께 4만㎥급 대형 LCO₂ 운반선 개발을 위한 4자간 업무 협약을 맺고 운반선의 기본성능 및 구조 안전성, 화물운영시스템의 개념설계 검증 등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액화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화물운영시스템인 LCO₂ 운반선 대형화 핵심으로 꼽힌다. 만일 화물창의 압력 조절에 실패하면 액화 이산화탄소는 드라이아이스를 형성해 선박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이다. 4자간 협력을 주도한 한화오션은 선박의 추진 성능에 관한 종합적 검토와 LCO₂운반선의 핵심인 화물창 등 선박의 상세 설계 업무를 총괄했다. 에코로그는 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 분야에 특화된 업체로 운반선 관련 글로벌 업계의 요구
[더테크=조재호 기자] LS전선이 525kV 초고압직류송전(HVDC) 케이블 양산에 돌입했다고 10일 밝혔다. LS전선이 양산을 시작한 케이블은 현존하는 DC 케이블 중 최고 전압 제품으로 세계적으로도 극소수 업체만 생산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양산된 제품은 테네트(TenneT)의 2GW 규모의 송전망 사업 중 ‘발윈4’와 ‘란윈1’ 프로젝트에 사용될 예정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북해 해상풍력단지와 독일·네덜란드을 HVDC 케이블로 잇는 사업이다. LS전선은 지난해 5월 테네트와 2조원대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세계 케이블업체의 단일 수주금액 중 최대 규모다. HVDC는 AC에 비해 대용량의 전류를 저손실로 멀리 보낼 수 있어 장거리 송전망을 중심으로 도입이 늘어나고 있다. 유럽에서는 송전망 확충을 위한 해상풍력과 국가 간 전력망 연계 사업에 주로 HVDC 케이블을 사용한다. LS전선 관계자는 “최근 유럽연합이 해상풍력 공급 목표치를 2030년 기준 60GW에서 2050년 300GW로 상향한 만큼 시장 규모가 더욱 확대될 것이다”고 말했다. HVDC는 AC(교류)에 비해 대용량의 전류를 저손실로 멀리 보낼 수 있어 장거리 송전망을 중심으로 도입이 늘고 있
[더테크=전수연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삼성전자, LG전자와 함께 한 1996년 CDMA 대규모 상용화가 국제전기전자공학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의 ‘IEEE Milestone(이정표)’에 등재됐다고 10일 밝혔다. IEEE는 1884년 토머스 에디슨, 그레이엄 벨의 주도로 창설된 전기·전자공학분야 글로벌 학회로, 1983년부터 인류 사회, 산업 발전에 공헌한 역사적 업적에 시상하는 IEEE 마일스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IEEE 마일스톤은 글로벌 ICT 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리며 그동안은 북미·유럽·일본과 같은 기술 강국이 업적의 대부분인 90% 이상을 차지해왔다. SKT는 CDMA 사례로 국내 기업 최초로 선정 기업 반열에 이름을 올렸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는 IEEE가 창립 140주년을 맞는 해로 세계 ICT 산업 성장의 기폭제 역할을 한 CDMA 상용화의 IEEE 마일스톤 선정이 더욱 돋보이게 됐다. SKT는 25년 이상 경과한 업적을 심사하는 IEEE의 절차를 고려해 2016년부터 민관합작을 통한 대한민국 CDMA 성공 사례를
[더테크=조재호 기자] 지난 1984년 ‘카폰’ 서비스를 시작으로 올해 40주년을 맞은 한국 이동통신 산업이 연간 78조원 규모에 경제적 유발효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통신 산업의 성장뿐 아니라 디지털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하면서 인프라를 고도화한 결과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지난 9일 국내 이동통신 산업의 연관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내놨다. 지난 2020년 국내 이동통신 산업의 총 생산유발액은 78조2102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이동통신 산업에서 파생된 직접 생산 유발액이 46조7599억원, 통신과 연관성이 큰 다른 산업 생산 유발액도 31조450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985년 2조 4105억 대비 32배 커진 수치다. 이번 조사는 CEO 스코어가 1984년 국내 이동통신 서비스 40주년을 맞아 관련 산업을 비롯해 전후방 산업이 어떤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했는지 조사하기 위해 한국은행이 작성한 산업연관표를 활용해 분석했다. 이동통신 서비스의 자체 생산유발액은 1985년 2조644억원에서 2020년 46조7599억원으로 약 22배 성장했다. 이동전화 시장은 지난 1991년 무선호출 83만7000명, 이동전화 16만3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유플러스(이하 유플러스)가 글로벌 오픈랜 표준화 단체 O-RAN 얼라이언스가 주최한 플러그페스트(PlusFest)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경희대학교 등 국내 산학연 단체와 함께 참가해 기술 개발 성과를 공유했다고 7일 밝혔다. 플러그페스트는 개방형 무선접속망을 뜻하는 오픈랜(Open RAN)의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전 세계 이동통신 사업자, 통신 장비 제조사,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국제 기술 실증 행사다. 유플러스는 2021년부터 국내 이동통신사 중 유일하게 4년 연속 참가하고 있다. 유플러스는 이번 플러그페스트에서 오픈랜 에너지 절감기술, 오픈랜 종단(E2E) 시험 자동화 두 가지 주제로 실증을 진행했다. 실증 작업을 위해 유플러스는 통신 장비 제조사, ETRI(연구기관) 뿐만 아니라 경희대학교와도 손을 잡았다. 경희대학교는 유플러스와 함께 오픈랜 관련 검증, 연구활동을 진행하는 오픈랩을 운영하고 있다. 기지국을 포함한 무선접속망은 전체 이동통신망 전력 사용량의 60%를 차지하는데 이 때문에 통신사, 통신 장비 제조사는 전력 절감을 위해 연구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유플러스는 캡제미니, 비아비솔루션스, 델 테크놀로지스
[더테크=조재호 기자] 네이버가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에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는 스마트폰 앱 안에 신분증을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실물 신분증 대비 높은 편의성과 보안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으로 공공, 금융, 병원, 편의점 등 실물 신분증이 사용되는 온·오프라인 분야 어디서든 현행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지녔다. 현재 행정안전부는 모바일 운전면허증과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을 발급하고 있다. 오는 12월 27일부터는 17세 이상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 주민등록증도 발급할 예정이다. 모바일 신분증은 블록체인 기반 DID(Decentralized Identity) 기술을 적용해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신분증 정보는 이용자의 스마트폰 단말기에서만 안전하게 보관되며 블록체인을 통해 신분증 정보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모바일 신문증은 지문, 안면인식 등 생체 인증 기술이 적용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도난 및 분실 신고 시 신분증이 자동으로 정지되기 때문에 도용 방지에도 효과적이다. 황지희 네이버 전자인증센터 리더는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통해 신분 확인이 필요한상황에서 편리하고
[더테크=전수연 기자] KT가 오픈랜(Open RAN) 환경에서 무선망 지능형 컨트롤러(RAN Intelligent Controller, RIC)를 이용해 전력을 절감하는 기술의 성능을 검증했다고 7일 밝혔다. 오픈랜은 개방형 무선 접속망으로 기지국은 전파를 송수신하는 하드웨어로 만들고 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기능은 장비 대신 소프트웨어를 탑재해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번 테스트에 활용된 오픈랜은 다양한 제조사 장비로 구성됐다. 기술 검증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운영하는 판교 5G 테스트베드 센터에서 진행됐다. KT는 인텔, 델 테크놀로지스, 캡제미니,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등과 협업해 다양한 제조사의 가상화 기지국을 함께 구성하고 무선망 지능형 컨트롤러와 연동했다. 테스트 과정에서 무선망 지능형 컨트롤러를 이용해 기존 대비 약 16%의 기지국 소비전력 절감 효과가 나타났다고 KT는 설명했다. 또 가상화 기지국 전력 절감 기술을 국제 오픈랜 표준화 기구 오픈랜 얼라이언스의 글로벌 실증 행사 플러그페스트 Spring 2024에 주관사 자격으로 참여해 선보였다. KT는 국내 오픈랜 국제공인시험소인 ‘Korea OTIC(Open Testing and Inte
[더테크 뉴스] 카카오를 비롯한 계열사가 ‘세계 환경의 날’을 맞아 다양한 캠페인과 이벤트를 진행한다. 카카오는 5일 이용자들이 2023년 한 해 카카오 내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환경에 기여한 부분을 ‘카카오 카본인덱스’와 ‘사회적 탄소 감축량’으로 산정해 발표했다. 카카오는 환경 문제 해결에 동참하고자 지난 22년 ‘액티브 그린 이니셔티브’를 선언하고 지난해부터 이용자가 카카오 서비스를 통해 환경에 기여한 활동을 계량화한 카본인덱스 수치를 발표했다. 2023년 카본인덱스는 5400만 KUC(Kakao Users’ Carbon reduction)로 집계됐다. 카본인덱스는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의 이용자 환경 기여 데이터가 반영됐다. △카카오페이와 카카오톡 지갑을 통한 전자문서 전환 1억2000만건 △카카오맵 자전거, 카카오T 바이크 이동거리 3700Km △카카오T 전기택시, 전기차 이동거리 4억5000만Km △버려지는 것에서 새로운 쓸모를 찾은 제품 440만개 △카카오톡 선물하기와 카카오메이커스 그린 라벨 구매 290만건 △플라스틱 학생증 대신 휴대폰 속 톡 학생증 사용 등의 활동이 반영됐다. 올해는 서울대 기후테크센터와 함께 이용자가 기업의 서비스나 기능,
[더테크=이지영 기자]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이 큐트론, 큐트론(Q.TRON), 큐피크 듀오(Q.PEAK DUO) 시리즈 중 4종의 모듈 제품의 EPEAT 브론즈(Bronze) 친환경 인증을 획득했다. 향후 미국 연방 조달시장에서의 차별적 지위를 확보해 친환경 제품 수요에 적극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EPEAT(Electronic Product Environmental Assessment Tool)란 미국 GEC(Green Electronics Council)가 운영하는 전자·전기 제품에 대한 글로벌 환경 평가 제도다. 필수 기준을 모두 충족한 제품에 브론즈 인증을 부여한다. 한화큐셀은 제품의 환경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 관리, 투명한 원·부자재 공급망 관리, 재활용 소재 활용, 제조시설에서의 폐수 배출 관리, 친환경 포장재 등의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미국 환경보호국은 한 카테고리에서 2개 이상의 기업이 각각 3개 이상의 제품에 EPEAT 인증을 받아야 미국 연방 정부 조달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다. 한화큐셀은 지난 2월 1개 제품의 인증을 획득한데 이어 최근 3개 제품 인증을 추가로 획득하면서 공공 조달
[더테크=조재호 기자] 두산밥캣의 인도 공장이 글로벌 생산기지를 위한 증설을 진행했다. 두산밥캣은 5일 인도 첸나이 공장에 미니 굴착기 생산동을 구축하고 현지시간 4일 준공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준공식에는 두산밥캣 주요 임직원들이 참석했다. 두산밥캣은 기존 첸나이공장 부지 내 1만1300㎡(3400평) 규모의 미니 굴착기 생산동을 준공했다. 미니 굴착기는 생산라인 설치 및 안정화 등을 거쳐 내년부터 본격 생산될 예정이다. 오는 2028년까지 두산밥캣 인도법인은 연간 8900대의 장비를 판매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기존 생산품목인 백호로더, 스키드-스티어 로더와 신규 제품인 미니 굴착기를 비롯해 벵갈루루 공장에서 제조하는 포터블파워 제품을 포함한다. 이는 지난해 인도법인 판매량 대비 약 2배에 달하는 규모다. 스캇 박 부회장은 “인도는 미래 성장을 뒷받침할 핵심 지역”이라며 “두산밥캣 첸나이 공장은 세계 시장의 눈높이를 충족하는 품질을 바탕으로 ‘글로벌 생산기지’로 도약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게임과 K-컬처를 매개로 프랑스 파리에서 펼친 ‘Life’s Good’ 브랜드 활동이 유럽 YG(Young Generation)의 큰 호응을 얻었다. LG전자는 최근 프랑스 한국문화원과 협력해 ‘Life’s Good, Let’s Play‘를 주제로 LG전자의 혁신 기술과 K-컬처를 체험하는 행사를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유럽 최대 e스포츠 경기장인 이스팟 파리(Espot Paris)에서 열렸다. 행사에 참여한 방문객들은 LG전자의 고성능 게이밍 모니터 LG 울트라기어로 게임을 즐기며 유명 게임 인플루언서들의 코칭을 받았다. 또 달고나 게임, 딱지치기와 같이 K-콘텐츠로 유명해진 전통 놀이에도 참여하는 등 한국의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게임 문화를 폭넓게 체험했다. 특히 유튜버, 전직 프로게이머 등 한국의 게임 인플루언서들이 참여한 이번 행사의 메인 이벤트는 2천여 명의 관람객을 모으는 등 많은 인기를 끌었다. 첫째 날은 리그오브레전드(League of Legends) 세계 대회 우승자 출신인 게임 콘텐츠 크리에이터 강찬용(닉네임 앰비션)이 한국 e스포츠를 조명하는 컨퍼런스를 열었다. 둘째 날 저녁에는 전직 프로
[더테크=전수연 기자] KT가 양자내성암호(Post Quantum Cryptography, PQC) 기술의 상용화 준비를 완료했다고 5일 밝혔다. 양자내성암호는 기존 암호체계가 양자컴퓨팅 기술 발전으로 위협 받는 상황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개키 암호 방식이다. 복잡한 수학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성능 양자 컴퓨터로도 풀어내기 위해서는 수십억 년이 걸리는 암호화 방식이다. KT는 양자암호화 통신 장비인 QENC(Quantum ENCrytor)를 독립형 모델로 자체 개발하고 기술 이전을 통해 양자내성암호 솔루션 서비스를 설계했다. KT PQC 솔루션은 양자암호키 분배장치(Quantum Key Distribution, QKD)에서 생성되는 암호키를 비롯해 PQC 알고리즘으로도 암호키를 제공받을 수 있어 하이브리드형 양자보안망 구축이 가능하다. 하이브리드형 양자보안망은 물리적 회선의 도청 시도를 원천 차단하는 양자 키 분배 기술과 양자컴퓨터로도 해독이 불가능한 보안성을 가진 양자내성암호를 결합해 안전성이 한층 강화된 이중 보안 방식이다. 여기에 네트워크 장비 지원 가능 속도 1G, 10G, 100G까지 사용자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암호